||<-3>
[[파일:파이트클럽 로고.png|width=250]] || || [[영상물 등급 제도|{{{#fff '''시청 등급'''}}}]] ||<-2>[[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등급 제도|[[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width=20]] '''{{{#000 15세 이상 시청가}}}''']][* [[카카오TV]] 측 분류다. [[유튜브]]를 통해 송출되는 [[웹예능]] 특성상 별도의 시청 등급은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유튜브]]가 아닌 다른 플랫폼에서 재송출을 하거나 VOD 등 영상물 유통이 이루어질 경우 시청 등급이 정해진다.] || || '''방영 플랫폼''' ||<-2>[[유튜브]], [[카카오 TV]] || || '''방영 기간''' ||<-2>[[2021년]] [[10월 4일]] ~ [[2021년]] [[11월 10일]]|| ||<|3> '''방영 시간''' ||1~2회||매주 [[월요일]] 오후 7시[* 1,2회는 정찬성 유튜브 채널과 [[카카오TV]] 동시 공개] || ||<|2>3회~||[[파일:카카오TV 아이콘.svg|width=20]] 매주 [[월요일]] 오전 9시[*선공개 3회부터 [[카카오TV]]에서 단독 선공개. 카카오TV에서 이틀 먼저 선공개 한다는 것이지 유튜브엔 영상이 그대로 올라온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매주 [[수요일]] 오후 7시 || || '''장르''' ||<-2>[[웹예능]], [[격투기]], [[서바이벌]] || || '''연출''' ||<-2>[[배철순]] || || '''주최''' ||<-2>[[로드 FC]][* [[https://n.news.naver.com/sports/general/article/079/0003527663|관련기사]]]|| || '''제작''' ||<-2>[[쓰리와이코프레이션]] || || '''진행 기간''' ||<-2>6박 7일 || || '''제작 지원''' ||<-2>[[우리은행]], [[랭킹닭컴]] || || '''링크''' ||<-2>[[https://youtube.com/playlist?list=PLHsvc5sGb6BzPkdk_y-gYXf0h5l9vRyw0|[[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https://tv.kakao.com/channel/3887627|[[파일:카카오TV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유튜브 웹예능. [[로드 FC]]와 [[쓰리와이코프레이션]]이 기획, 제작, 주최하고 [[UFC]] [[종합격투기]] 선수인 [[정찬성]]과 콜라보한다. [[우리은행]], [[랭킹닭컴]], [[빡]]의 후원을 받아 UFC와 똑같은 옥타곤 링에서 진정한 강자를 가려내는 약육강식 격투 서바이벌이다. 2021년 10월 4일부터 [[정찬성]]의 [[유튜브]] 채널 『KoreanZombie』와 [[카카오TV]]에서 주 1회 공개된다. == 규칙 == > 1. 모든 참가자는 6박 7일간 파이트 클럽 창고 부지 내에서 1억원을 따 내기 위한 싸움을 하게 된다. > 1. 참가자는 상/중/하 등급으로 분류되며, 모두 하등급인 채로 파이트 머니 500만원을 가지고 시작하게 된다. > 1. 모든 싸움은 '''거절할 수 없다.''' 거절 즉시 '''퇴소''' 처리된다. 싸움은 안전장치가 마련되어 있고 응급 의료진이 근처에 대기하고 있는 옥타곤 링 위에서만 가능하다. > 1.싸움에서 이기면 상대방이 가지고 있는 파이트 머니를 모두 빼앗기/승급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주의해야 할 점은, 파이트 머니는 최종 우승자들만이 가지고 나갈 수 있다. > 1. 파이트 클럽은 주어진 6박 7일 혹은 총 싸움 50회를 넘기 전 최종 우승자가 4명이 나오면 종료된다. 7일의 시간이 다 되거나 총 싸움 횟수가 50회를 넘게 되면 우승자 수가 4명 미만이라도 종료된다. > 1. 최종 우승을 하려면 상등급 참가자가 같은 상등급 참가자와 싸워 이긴 후 승급을 선택해야 한다. 이렇게 되면 지금까지 획득한 파이트 머니와 추가 상금 1천만원을 가지게 된다. > 1. 한 상대하고는 하루에 한 번만 싸울 수 있으며, 한 번 싸운 후에는 해당 참가자에게 4시간의 휴식 시간이 보장된다. 이후 참가자들이 파이트 클럽에 도착해 진행 요원, 심판진, 의료진들이 일렬로 서 있는 상태에서 추가 룰 설명을 듣게 된다. * 시설 내에는 숙소와 화장실과 샤워실과 의무실이 갖추어져 있으며 2층에는 종을 치려고 할 때에만 올라갈 수 있다. 한 방에 최대 5명이 취침할 수 있고 숙소 내에 있는 더블백을 줍는 순간 참가번호가 결정된다. * 모든 싸움은 1라운드 2분, 휴식 2분, 2라운드 2분으로 구성되며 심판진의 공정한 판단 하에 승부가 결정된다. '''K.O 패 시 바로 퇴소 처리된다.''' 또한 '''링 밖에서 물리적 폭력을 행사하는 경우에도 퇴소 처리된다'''.[* 건장한 체격의 남자 여려명이 이래저래 부대끼면서 1주일 간 생활하는터라 서로간의 감정이 상했다는 등의 이유로 공식 대결 외의 주먹다짐이 발생할 확률이 매우 높다. 제작진측에서 사전에 이런 싸움은 하지 말라고 단단히 일러뒀겠지만, 욱하는 감정을 참지 못하고 일을 벌이는 이들을 최고 수준으로 제재 + 그런 개인간 문제는 링 위에서 정식으로 풀라고 만든 룰인 셈.] * 모든 게임의 진행 상황과 50판 중 남은 판 수가 전광판에 그대로 표시된다. * 매일 8시에 아침점호, 21시에 저녁점호를 하며 8시부터 21시까지 모든 참가자들은 자유로운 대결 신청이 가능하다. 대결을 신청하려면 2층에 올라가 종을 치고 싸우고 싶은 사람의 참가번호를 불러야 한다. * 매일 저녁에 가장 약해보이는 사람을 투표하여 다음날 최다 득표자와 그를 투표한 사람들만이 공개된다. 최다 득표자는 식사 배급 및 청소를 노란 조끼를 입고 수행하거나 자신을 투표한 사람 중 한 명을 골라 싸워서 이기면 노란 조끼 역할을 떠넘길 수 있다. * 싸움은 등급에 상관 없이 누구에게든 신청할 수 있다. 단 등급이 낮은 참가자가 등급이 높은 참가자를 이겼을 때 승급을 선택할 경우 승자는 등급이 올라가고 패자는 등급이 강등된다.[* 하등급이랑 상등급이랑 싸워 하등급이 승리했을 시 둘 다 중등급이 된다.] * 의료진에 의해 더 이상 싸움을 진행할 수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도 퇴소 처리된다. == 참가자 == * 1번 [[설영호]] (28) * 181cm / 78kg / 무에타이, 주짓수 * 2번 이길수 (25) * 165cm / 68kg / 복싱[* 복싱 트레이너를 직업으로 삼고 있다.], MMA * 3번 고승범 (24) * ???cm / ??kg / 무에타이 * 4번 이준모 (25) * 177cm / 73kg / 주짓수 * 5번 송지훈 (25)[* 자신을 본명이 아닌 "[[나뭇잎 마을]]에서 온 [[우치하]] 송, [[우즈마키]] 송"(...)이라고 소개했다. 게다가 컨셉을 맞추기 위해 나루토에 나오는 빌런 집단인 [[아카츠키(나루토)|아카츠키]]의 상징과도 같은 붉은 구름이 그려진 검은색 코트를 입고 나왔다.] * 173cm / 93kg / MMA, 복싱 * 6번 차영훈 (34) *???cm / ??kg / MMA, 주짓수 * 7번 [[손지훈]] (28) * 171cm / 65kg / 레슬링 * 8번 [[이청수]] (21) * 181cm / 81kg / 합기도, MMA[* 직업이 대학생, 체육관 코치] * 9번 이장한 (28) * 173cm / 75kg / 킥복싱 * 10번 [[로스(래퍼)|로스]] (35) * 170cm / 77kg / 킥복싱, 태권도(2단) * 11번 정진섭 (25) * 175cm / 100kg / MMA * 12번 [[이성원(종합격투기)]] (23) * 173cm / 75kg / MMA * 13번 이동원 (28)[* 탈락 및 퇴소, 사유: 척추 디스크 질환 때문에 부상 혹은 장애의 위험성으로 인한 대결 거부.][* 본인의 유튜브 악플에 못 이겨 댓글로 한 시청자와 스파링을 뜨려고 했으나, 관장님과 출연자들한테 질타를 받아 파토를 내야한다는 핑계를 하며 돌연취소하였다.] * 182cm[* 본인 피셜 출연 당시 182cm에 78kg이였다고 한다.] / 78kg / 복싱, 킥복싱[* 경기 시작 전 참가자들의 대화("둘 다 타격이래요. 복싱이랑 복싱 킥복싱.")로 미루어보아 복싱, 킥복싱이 베이스로 보인다. 복싱 베이스는 조준이기 때문이다.], * 14번 [[조준(유튜버)|조준]] (28)[* 탈락 및 퇴소, 사유: 지속적인 [[과호흡증후군]]으로 인해 의료진 권고로 퇴소.] * 180cm[* 정확히는 179.6cm] / 88kg / 복싱[* 중학생때부터 취미로 복싱을 6년 동안 하였다. 프로필의 격투 스타일에는 복싱만 기재되어 있지만 조준 스스로 이 대회를 앞두고 단기간으로 레슬링을 수련했다 밝혔다.] == 내용 == [include(틀:스포일러)] === 1화 === [youtube(teW4t31VMMA)] - DAY 0 모든 참가자들이 공장 부지로 보이는 건물에 저녁 8시에 모이게 되었다. 주최자 코리안 좀비와 진행요원, 심판진, 의료진이 한 줄로 서 있었고 참가자들에게 세부적인 규칙을 전해 주었다. 참가자들은 대회에 필요한 물건들이 들어있는 더블백을 집어들어 열어보는 순간 참가번호가 결정되었고 번호가 프린트된 티셔츠를 입게 되었다. 이후 조준은 샤워를 하고 남은 참가자들은 각자의 참가 이유와 포부를 드러내며 잡담을 하다 주최진이 소등을 하자 숙소로 돌아가 잠을 자는 것으로 하루 일과 마무리. 여담으로 송지훈이 [[러브라이브]] 책을 읽고 있었는데[* 해당 서적은 [[러브 라이브! School idol diary]] [[야자와 니코]] 편이다. 만화책이 아닌 [[라이트 노벨]]로 글이 주를 이루고 일러스트가 간혹 포함되어있는 형태이다.] 설영호가 샌드백을 두들기는 소리에 방해를 받아 불평하는 모습이 나왔다. 허나 송지훈이 러브라이브를 읽은 것은 컨셉으로 밝혀졌다. 그 이유는 바로 설영호가 “아니, 저거 컨셉인게 5페이지 밖에 안 읽었다니까요? ㅋㅋㅋㅋ 왜냐고요? 제가 오타쿠거든요. 그래서 저도 같이 보려 하는데 5페이지만 읽고 그 이후로 읽은거 한 번도 못 봤어요”라고 말하는 것이 조준의 1화 리뷰 영상에서 나왔다. ----- - DAY 1 ||<-2> '''경기''' || || '''첫 번째''' ||13번 vs 14번(승리)|| 아침점호 시간. 전 날 저녁 8시에 가장 약해보이는 사람을 고르는 투표에서 13번 이동원이 3표(4번, 12번, 14번)를 받아 선정됐다. 이동원은 '한 번 싸워보겠냐'는 정문홍의 질문에 14번 조준을 선택했고, 이로써 파이트 클럽 공식전 첫 경기로 두 사람의 대결이 성사됐다. 시작 후 몇초간의 탐색전이 펼쳐지는 듯 하다가 복싱 베이스였던 조준의 예상치 못한 로우킥으로 포문을 열었고 조준의 두번째 로우킥과 동시에 이동원의 펀치 러쉬가 들어갔으나 조준은 빠르게 가드를 굳힌 뒤 파고들어 레슬링식 테이크다운을 성공시켰고 이동원은 계속 일어나려 했으나 조준이 힘으로 계속 눌러 자력으로 벗어나기 힘들어했다. 풀마운트는 아니었으나 그라운드의 이해도가 부족한지 주짓수 가드를 잘 활용하지 못하고 계속 깔린 채 파운딩을 맞으며 그라운드에서 조준에게 밀렸다. 조준은 테이크다운을 성공한 뒤 계속 파운딩을 시도했고 파운딩에 있어선 부족한 숙련도를 보여주었지만 얼굴이 아닌 옆구리에도 파운딩을 가하는 등 계속해서 파운딩을 시도했다.(그러다 후두부쪽을 가격해 경고를 받기도 했다.) 2라운드에서도 비슷한 양상으로 타격으로는 서로 재미를 보지 못하고 다시 한번 조준의 테이크다운에 넘어간 뒤 큰 이벤트 없이 조준이 판정승을 가져갔다. 패한 이동원은 무력하게 노란조끼를 입을 수밖에 없었고, 승리한 조준은 승급을 선택하고 중등급을 나타내는 빨간 번호표를 달았다. 그러나 조준이 승리의 기쁨을 느끼는 것도 잠시, [[과호흡 증후군]] 증상이 발현해 불편함을 느끼고 즉각 의료팀에 달려가 진료를 받는 모습을 끝으로 1회가 종료된다. 과호흡이 온 것을 스스로 인지하고 다른 참가자들에게 본인의 약한 모습을 보이지 않기 위해 증상이 심해지기 전 제발로 걸어가 과호흡이 왔다고 말하는 모습이 꽤나 인상적. === 2화 === [youtube(ribyV8JK1tw)] ||<-2> '''경기''' || || '''두 번째''' || 5번 vs 11번(승) || || '''세 번째''' || 6번(승) vs 10번 || || '''네 번째''' || 1번(승) vs 4번 || || '''다섯 번째''' || 8번(승) vs 9번 || || '''여섯 번째''' || 12번(승) vs 3번 || || '''일곱 번째''' || 2번 vs 7번(승) || 두 번째 경기 땐 5번 참가자가 선두로 11번 참가자에게 결투를 신청하여 2일차 때 첫 결투가 시작 되었다. 5번, 11번의 체급은 비슷하고 둘 다 MMA를 전공해서 아마 유전적으로 재능, 즉 누가 더 타고났냐에 따라 승부가 날 것으로 예상 했는데, 두 번째 경기가 시작 됐을 때 5번 참가자의 자신감과 달리 11번이 압도적으로 밀고 들어와 11번이 유리한 쪽으로 흘러갔다. 경기는 전반적으로 11번의 로우킥을 섞은 주먹 타격 위주의 경기가 진행 됐는데, 만두귀를 가져 그래플링 실력자일 것으로 예측되던 5번은 그래플링 시도조차 한번도 보이지 않은 채로 타격전만으로 1,2라운드가 진행 되어서 11번이 압도적으로 타격을 많이 가해 초반 예상과는 달리 11번이 이겼다. [* 오죽하면 1번이 말하기를 5번이 만두귀를 일부러 만들지 않았나 의심할 정도로 예상과 너무 달랐다고 한다.] 다음으로 세 번째 경기는 6번과 10번이 싸우게 되는데, 6번 참가자가 선두로 10번 참가자에게 결투를 신청했다. 세 번째 영상 부터 너무 많이 편집되어 확실하게 경기 과정은 모르나 시작은 10번 참가자가 이기는 듯 싶었으나 중반부에 갈 수록 10번이 밀리고 있어 결국 6번이 승리하게 되었다. 다음으로 네 번째 경기는 4번 참가자가 선두로 1번 참가자에게 결투를 신청했다. 1번 참가자의 체급만 알려져서 4번 참가자의 체급은 어떻게 되는지 모르겠으나 키는 170 중반대로 추정된다 4번 참가자의 태클을 1번이 매번 잘 막아내고 무난하게 1번이 이겼다. || 남은 판수 || '''43판''' || ||<-2> '''2화 기준 1일차 계급 결과''' || || '''계급''' || '''참가번호''' || || '''우승''' || 없음 || || {{{#red '''상등급''' }}} || 없음 || || {{{#white '''중등급''' }}} || 1번, 6번, 8번, 11번, 12번, 14번 || || '''하등급''' || 2번, 3번, 4번, 5번, 7번, 9번, 10번, 13번 || ||<-15> 상금 결산 || || 참가 번호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 상금(단위: 만 원) || 500 || 0 ||<-4> 500 || 1000 ||<-7> 500 || === 3화 === [youtube(WEUq5K_K8qE)] ||<-2> '''경기''' || || '''여덟 번째''' || 5번(승) vs 14번(퇴소[* 사유는 과호흡증후군으로 인한 의료진의 닥터스탑, 퇴소 조치]) || || '''아홉 번째''' || 11번 vs 13번(기권, 즉 퇴소[* 사유는 척추 디스크 질환 때문에 부상 및 장애 위험이 크다고 생각해 퇴소]) || || '''열 번째''' || 1번(승) vs 3번 || || '''열한 번째''' || 8번(승) vs 2번 || || '''열두 번째''' || 4번 vs 12번(승) || || '''열세 번째''' || 9번(승) vs 10번 || 여덟 번째 경기 땐 5번이 13번의 패배를 복수 해주겠다면서 14번에게 결투를 신청했다. 14번은 이를 받아들였고 경기가 시작 됐다. 초반엔 서로 잽, 훅, 스트레이트를 날려가며 티키타카를 했으나 후반가서 5번이 그래플링을 걸어 14번을 넘어 뜨려 타격을 가했다. [* 지난 경기에서와 달리 그래플링을 시도하여서 재평가를 받고 있다.] 키, 몸무게, 리치, 어깨, 인심과 같은 전체적인 피지컬이 14번이 압도적으로 좋은데도 그래플링을 걸어서 그런지 큰 반격을 하지 못 했다. [* 아마도 체내 골격근이 너무 많아 에너지 소모가 컸던 모양이다. 실제로 골격근량이 많으면 많을 수록 기초대사량이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결국 경기는 종료되고 14번은 또 한 번 [[과호흡증후군]]이 오게 됐는데, 이 때문에 14번은 본인의 계속해서 프로그램에 참가하고 경기를 더 뛰고 싶어했으나 두번의 과호흡증상으로 인해 의료진이 더이상은 무리라고 판단, 퇴소하게 되었다. 열 번째 경기는 3번이 1번에게 결투를 신청하여 1번과 3번이 경기를 치렀는데, 확실히 둘 다 무에타이를 전공해서 그런지 로우킥을 많이 활용했다. 이 때문에 3번이 로우킥을 엄청 많이 썼는데 그 때문인지 에너지 소모가 커 오래 싸우지 못 하고 1번이 승리하였다. 열한 번째 경기는 4번이 12번에게 결투를 신청하여 4번과 12번이 경기를 치렀다. 4번은 항상 먼저 상대에게 결투를 신청하여 참가자 중에서 깡이 제일 쎄다는 평가가 많다. 허나 여기서 끝나는 게 아니라 정강이 ~ 발등의 통증까지 생겨 아마 당분간 킥을 차진 못 할 것이다. [* 이 때문에 1번과 12번이 킥은 차지 말자고 서로 약속을 했다(…)] || 남은 판수 || '''37판''' || ||<-2> '''1일차 계급 결과''' || || '''계급''' || '''참가번호''' || || '''우승''' || 없음 || || {{{#red '''상등급''' }}} || 1번, 8번, 12번 || || {{{#white '''중등급''' }}} || 5번, 6번, 11번, ~~14번~~[*퇴소] || || '''하등급''' || 2번, 3번, 4번, 7번, 9번, 10번, ~~13번~~[*퇴소] || ||<-15> 상금 결산 || || 참가 번호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퇴소] || ~~14~~[*퇴소] || || 상금(단위: 만 원) || 500 || 0 ||<-4> 500 || 1000 ||<-3> 500 ||<-1> 1000 ||<-1> 500 ||<-3> 0 || === 4화 === [youtube(UhrhUBMY6aU)] 열 네번째 경기 땐 1번과 12번이 경기를 치루었다. 둘 다 상등급이었던만큼 둘 중 승자가 우승 및 퇴소하는 상황이었기에 마지막 경기라고 생각하고 결투를 했다. 상등급자다운 난투전이었지만 결국 1번이 승리해서 우승 상금을 획득하고 퇴소하게 된다. 모두의 부러움을 산 것은 덤. 이후 1번의 우승이 자극이 되었는지 열 다섯번째 경기는 11번이 빨리 우승을 해야 유리하단 것을 깨닫고 승급을 노리고 4번을 지목해 경기가 펼쳐진다. 역시나 체급 차이를 이기지 못하고 4번이 패배. 그래서 11번은 상등급이 된다. 16번째 경기로 5번이 승급을 노리고 8번을 지목해 경기를 하지만 오히려 8번이 이기게 되어 5번은 강등된다. 그러나 8번은 같은 상등급끼리의 경기가 아닌 관계로 우승 자격은 주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다음 5화 정도에 8번과 같은 상등급인 11번과 싸울 것으로 예상이 된다.11번과의 경기 이후 손가락 부상이 계속된 4번은 퇴소를 결정한다. 12번이 부상 때문에 목발을 짚고 다니자 사람들은 모두 부상자와는 되도록 경기를 피하자고 제의. ~~ 그 와중에 11번의 냉소어린 콧방귀.~~ -------- 2일차 그리고 2일차. 결국 12번이 형광 조끼 착용자로 낙찰된다. 그리고 늑골 통증을 호소하는 7번과 허리 통증 때문에 6번의 파이팅 제안을 10번이 거부, 퇴소를 결정한다. ~~이로써 래퍼 2명이 모두 퇴소한다.~~ 2번은 ~~개그를 열심히 친 게 복선이었다~~ 형광 조끼를 입은 ~~먹잇감이라고 생각한~~ 12번에게 도전했으나 복싱 수련자다운 펀칭 능력에도 불구하고 12번의 그래플 운영에 말려 패배, 형광 조끼를 넘겨받는 굴욕을 맛보게 된다. 이어지는 3번과 9번의 경기는 이번에도 지목을 당한 ~~은둔고수~~9번의 승리로 마무리되어 이로써 상급자는 4명으로 늘어난다. 마지막으로 6번이 5번을 지목하나 신경전을 벌이는 듯 하면서 마무리. || '''남은 판수''' || '''32판''' || ||<-2> '''4화 기준 2일차 계급 결과''' || || '''계급''' || '''참가번호''' || || '''우승''' || 1번 || || {{{#red '''상등급''' }}} || 8번, 9번, 11번, 12번 || || {{{#white '''중등급''' }}} || 5번, 6번, || || '''하등급''' || 2번, 3번, ~~4번~~[*퇴소], 7번, ~~10번~~[*퇴소] || ||<-15> 상금 결산 || || 참가 번호 || ~~1~~[*수료] || 2 || 3 || ~~4~~[*퇴소] || 5 || 6 || 7 || 8 || 9 || ~~10~~[*퇴소] || 11 || 12 || ~~13~~[*퇴소] || ~~14~~[*퇴소] || || 상금(단위: 만 원) || 0 || 0 || 500 ||<-2> 0 || 500 ||<-2> 1000 || 500 || 0 ||<-1> 1000 ||<-1> 500 ||<-3> 0 || === 5화 === [youtube(-IBw-5o8xOM)] 약간의 욕설과 신경전이 오가고 결국 6번과 5번의 경기가 시작된다. 6번은 날렵한 스텝을 이용해 회피하면서 카운터를 잘하는 스타일이고 5번은 공격적이지만 움직임이 다소 느린 스타일이었기에 5번이 공격적으로 나오자 6번이 백스텝을 한 뒤 제대로 오른손 스트레이트를 적중해 5번은 초살 KO패를 당한다.[* 다운되기 전 심판이 제지를 했기 때문에 실제 복싱 경기 KO처럼 기절하지는 않았다.] 결국 하급으로 밀려나버린 5번. 7번은 늑골 골절로 인해 퇴소를 결심한다. 그리고 상급인 11번은 같은 상급인 12번을 지목해 경기해 결국 우승에 성공한다. 8번과 9번 상급자끼리에서의 경기에서도 8번이 승리해 우승. 이로써 우승자는 1번, 8번, 11번 총 3명이 된다. ~~열심히 개그를 치던~~ 2번은 연이은 패배 때문에 현타를 맞고 자진퇴소를 결정한다. 그리고 중급자 9번과 12번의 경기를 예고하며 끝. ||<-2> '''5화 기준 2일차 계급 결과''' || || '''계급''' || '''참가번호''' || || '''우승''' || 1번, 8번, 11번 || || {{{#red '''상등급''' }}} || 6번 || || {{{#white '''중등급''' }}} || 9번, 12번 || || '''하등급''' || ~~2번~~[*퇴소], 3번, 5번, ~~7번~~[*퇴소] || ||<-15> 상금 결산 || || 참가 번호 || ~~1~~[*수료] || ~~2~~[*퇴소] || 3 || ~~4~~[*퇴소] || 5 || 6 || ~~7~~[*퇴소] || ~~8~~[*수료] || 9 || ~~10~~[*퇴소] || ~~11~~[*수료] || 12 || ~~13~~[*퇴소] || ~~14~~[*퇴소] || || 상금(단위: 만 원) || 0 || 0 || 500 ||<-2> 0 || 500 ||<-2> 0 || 500 ||<-2> 0 ||<-1> 500 ||<-3> 0 || === 6화 (마지막화) === [youtube(VBayZYEyQAs)] 9번과 12번 참가자가 싸워 12번 참가자가 승리해 다시 상급으로 올라가고 9번이 자진퇴소하며 6,12번 참가자가 상급/3,5번 참가자가 하급인 상태로 2일차가 끝났다. 3일차에 3,5번 참가자가 기상하자마자 빠르게 대결을 신청해서 상등급 참가자를 끌어 내리는 전략이 사용 될 수 도 있었으나 6번 참가자가 전날 투표로 최다 득표를 하여 무산되었고 6번 참가자는 12번 참가자를 대결상대로 지목, 결국 6번과 12번 참가자가 마지막 싸움을 하게 되었고 12번 참가자가 승리후 수료를 선택, 4번째로 최종우승하며[* 12번 참가자는 최종우승까지 무려 7번의 싸움을 하였다. 가장 많은 분량 확보와 격려는 덤] 대장정이 마무리 되며 파이트 클럽이 폐쇄되었다. == 여담 == * 쇼의 호스트로 정문홍 前 [[로드 FC]] 대표가 주관을 하고 있으며, 대회 진행 및 생활관 일상에 필요한 세부적인 공지사항 발표는 [[김대환(1979)|김대환]] 現 대표가 맡고 있다. * 1화 방영후 [[엠바고]]가 해제되어 몇몇 출연진들이 스포일러가 안되는 선에서 후기를 남기고 있는데, 세트장 내부를 감싸는 더위 때문에 힘들었다고 한다. 이를 보건데 폭염이 한창 기승을 부리던 2021년 7~8월 즈음에 촬영한 것으로 추정된다. * 샤워실이나 화장실 등, 기본적인 시설들이 다 갖춰져 있지만 심리적인 불편함[* 건강하고 혈기왕성한 성인남성들을 5인 1실에 배치하고, 세트장 내부를 굉장히 덥고 습하게 설정하고, 생활관의 경우 에어컨도 비치 되어 있지 않은데다가 모기가 너무 많아 참가자들이 새벽까지 정상적인 취침을 못했다고 한다.]을 유발하는데 이게 쌓이면서 심리적 불만감이 생기며 '''걸어오는 싸움은 거부할 수 없다'''는 룰까지 추가해 서로 싸움을 하기 위한 일종의 장치로 보여진다. 세트장이 공사장, 산업 현장에서 볼 법한 컨테이너와 철조망, 철막대, 간이 화장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 최소한의 숙식과 옥타곤 링 위에서의 공정한 경기만이 보장되고 심리적으로 편하고 안정감이 드는 구조는 아니다. 게다가 이런 공사장 같은 공간의 바닥도 콘크리트 맨바닥인지라 참가자들이 경기전후 할거없이 맨발로 활보하다 보니 발바닥이 새카맣게 먼지로 뒤덮히기 일쑤 그야말로 최악의 조건들이다. * 방영중에 알려진 내용이지만 9번 참가자 이장한은 [[특전사]] 출신으로 [[강철부대]] 출연자 박도현의 후배라고 한다.[* 그래서 인지 박도현이 본인의 인스타로 파이트클럽을 홍보하고 이장한을 응원하는 글을 남겼다.] 그 외로 1번 참가자 [[설영호]]는 [[대한민국 육군/수색대|육군 수색대]]를 나왔고 12번 참가자 이성원은 [[SDT]] 출신이며, 13번 참가자 이동원은 [[해병대]] 출신이다. 7번 참가자 손지훈은 공익 출신이고 5번 참가자 송지훈은 육군 출신인데 [[전문하사]]를 하고 전역하였다고. *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했던 것인지 촬영 내내 참가자의 휴대전화 사용이 제한된 것으로 보인다. 일괄적으로 수거했을 가능성이 있고, 긴급한 용무가 있을 때에만 전화를 허용해 줄 것으로 보인다. * 2층 컨테이너는 주최자 및 심판진 숙소로 보이며, 종을 치는 순간 밖으로 나오는 듯하다. * 평소 3Y 제작 웹예능은 주 2회 업로드 일정을 잡았으나 이번작은 주 1회로 줄어들었다. 이에 많은 시청자들이 업로드 일정을 당겨 줄 것을 요청했으나 제작사 측은 아직 후반부 작업이 끝나지 않아 업로드 일정을 당기기 어렵다고 밝혔다. * 11번과 2번이 중학교 [[동창]]이라고 한다. * 본편에서 편집된 경기의 풀버전 영상이 [[카카오TV]]에서 독점 공개된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카카오TV 오리지널 예능)] [[분류:웹예능]][[분류:격투기 예능]][[분류:서바이벌 프로그램]][[분류:대한민국의 예능 프로그램]][[분류:카카오TV 오리지널]][[분류:2021년 방송 프로그램]][[분류:2021년 종영]][[분류:정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