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남아시아의 통화)] [Include(틀:대한민국에서 취급하는 외국 통화)] پاکستانی روپیہ ([[우르두어]]) [[파일:StateBankofPakistan.png|align=right&width=200]] [목차] == 개요 == [[파키스탄]]의 [[루피]]계열 통화로, [[ISO 4217]] 코드는 PKR, 기호는 Rp.[* 간혹가다 Rs로 쓰는 경우도 있다. 다만 이 경우 타 루피화와 구분시 PRs로 쓴다.]로 쓴다. 파키스탄 국경과 맞닿은 [[아프가니스탄]]의 일부 지역에서도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순전히 [[아프가니스탄 아프가니|당국의 통화]]가 막장이라서 비공식적으로 쓰고 있는 수준이다. 그러나 이 파키스탄조차도 인플레이션은 26.9%(2023년)로 높다. 보조단위는 [[인도 루피]]와 마찬가지로 파이사(Paisa)가 있었으나 현재는 쓰이지 않는다. == 환전 == 환율은 2023년 7월 29일 기준 4.5원 이전에는 [[하나은행]]을 비롯한 시중 은행에서 [[취급]]했으나 최근 파키스탄 루피, [[인도 루피]], [[방글라데시 타카]]화와 함께 국제 [[외환시장]]에 [[거래]]가 어렵게 되자 2018년 6월 1일부터 환전이 중단되었다. 파키스탄 현지 은행 및 환전소에서 환전 가능 통화 목록[* 목록에 있더라도 일부 사설환전소이나 은행에서만 가능하다.] 2022년 12월 기준 파키스탄 경제와 치안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 환전으로 사기 치는 파키스탄 현지인들이 많기 때문에 필요한 금액만 사설환전소에서 하고 고액권은 수수료가 비싸더라도 현지 시중은행에서 하는 것이 좋다. [[https://www.linkexchange.com.pk/|링크 환전소 환율 창(아래쪽에 있다.)]] * 아시아: [[싱가포르 달러]], [[태국 바트]], [[중국 위안]], [[일본 엔]] * 중동: [[아랍에미리트 디르함]], [[사우디아라비아 리얄]], [[오만 리알]] * 유럽: [[유로]], [[영국 파운드]][* 잉글랜드 발행권만 가능], [[스위스 프랑]], [[노르웨이 크로네]] * 아메리카: [[미국 달러]], [[캐나다 달러]] * 오세아니아: [[호주 달러]] * 아프리카: [[남아프리카 공화국 랜드]] == 지폐 == 1, 2루피를 제외한 모든 지폐에는 파키스탄의 국부인 [[무함마드 알리 진나]]가 그려져 있고, 옆에는 حصول رزق حلال عبادت ہے (정직함을 추구하는 삶은 신에게 제를 드리는 것이다.)라는 문구가 우르두어로만 쓰여진 것이 특징. === 1964 ~75 === 파키스탄이 독립하기 이전인 1942년부터 [[라호르]]에 조폐국이 개설되어 그곳에서 화폐를 발행했었다. 물론 이때는 [[인도 제국]] 시절이었으므로, 영국령 인도 루피를 발행했으며, 민트마크는 알파벳 L이었다. 그리고 1948년 4월 1일에 파키스탄 루피가 첫 등장을 하였으나, 워낙에 기반시설이 부족했던 파키스탄으로선 수요의 상당량을 적대국이었던 [[인도]]에게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그래서인지 이때의 동전들은 [[인도 루피]]와 규격이 완전히 동일했다. 사실 이렇게 될 수밖에 없었던 게, 인도 제국 내에 조폐국은 봄베이,캘커타,라호르 딱 3곳밖에 없었는데, 라호르를 제외한 두 곳은 모두 인도로 넘어갔고, 그나마 파키스탄 영토에 있는 라호르 조폐국은 전술했듯 1942년 개설되었는데 캘커타 조폐국은 1757년, 봄베이 조폐국은 1829년 개설되어서 라호르 조폐국과는 규모와 역사에서부터 상대가 되지 않으니 당연한 일이었다. ||||<:> || 뒷면 || || [[파일:attachment/파키스탄 루피/pakirp01.jpg|width=100%]] || Rp.1 || 나울라카 파빌리온 || || [[파일:attachment/파키스탄 루피/pakirp03.jpg|width=100%]] || Rp.5 || 계단식 밭 || || [[파일:attachment/파키스탄 루피/pakirp04.jpg|width=100%]] || Rp.10 || 샬리마 정원 || || [[파일:attachment/파키스탄 루피/pakirp05.jpg|width=100%]] || Rp.50 || 다우 || || [[파일:attachment/파키스탄 루피/pakirp07.jpg|width=100%]] || Rp.100 || 바드샤히 모스크 || || [[파일:attachment/파키스탄 루피/pakirp08.jpg|width=100%]] || Rp.500 || 국영은행 건물 || * 초창기에는 [[동파키스탄]]도 사용범위에 포함되어 [[벵골어]]가 병기되었다. === 1976 ~ 88 === 초기에 채택한 [[영국 파운드]]의 고정환이 실상에 맞지 않자 1982년부터 계획변동환율로 바뀌었는데, 그 직후 갑작스런 사태 변화에 적응하지 못한 환율이 수요를 참지 못하고 '''40%씩 폭락'''이 '''두 번이나''' 일어났다.(1982년, 1987년) 이로 인해 수입품의 가격이 말도 안되게 폭등, 발전은 커녕 현상유지도 어려워지고 말아 부토정권을 흔들게 만든 요인 중 하나가 되었다. ||||<:> || 뒷면 || || [[파일:attachment/파키스탄 루피/pakirp20.jpg|width=100%]] || Rp.1 || 파키스탄 독립 기념탑 || || [[파일:attachment/파키스탄 루피/pakirp21.jpg|width=100%]] || Rp.1[br](신권) || [[무함마드 이크발]]의 무덤 || || [[파일:attachment/파키스탄 루피/pakirp22.jpg|width=100%]] || Rp.2 || 바드샤히 모스크 || || [[파일:attachment/파키스탄 루피/pakirp23-1.jpg|width=100%]] || Rp.5 || 코야크 터널 || || [[파일:attachment/파키스탄 루피/pakirp24.jpg|width=100%]] || Rp.10 || [[모헨조다로]] || || [[파일:attachment/파키스탄 루피/pakirp25.jpg|width=100%]] || Rp.50 || 알람기리 문 || || [[파일:attachment/파키스탄 루피/pakirp26.jpg|width=100%]] || Rp.100 || 페샤와르 이슬람 대학 || || [[파일:attachment/파키스탄 루피/pakirp27.jpg|width=100%]] || Rp.500 || 중앙은행 본청사 || || [[파일:attachment/파키스탄 루피/pakirp28.jpg|width=100%]] || Rp.1,000 || 자한기르의 무덤 || === 2006 ~ 08(현행권) === 2006년 5월 27일에 첫 등장하여 2008년 7월 8일에 완성된 시리즈. 과거 부토의 막장행보와 장기적인 전쟁물자([[핵]]을 포함해서) 소모로 인해 2002년부터 심각한 무역적자에 시달리던 파키스탄은 정권이 교체된 2008년 초중반, 이를 메꾸기 위해 환율조작을 감행했다. 2007년 말 60루피/USD 내외로 방어하고 있었지만 2008년이 되면서 80루피/USD까지 떨어졌고, 이후로는 꾸준하게 떨어지면서 2013년 9월 105루피/USD까지 떨어졌으며 2017년까지는 105루피/USD 내외에서 움직였지만, 2018년 새해부터 다시 파키스탄 루피화 가치가 급락하기 시작하였고, 경제난과 IMF 구제금융, [[코로나 19]]등의 악재가 겹쳐 2020년 3월에는 기어이 160루피/USD를 돌파했다. 그리고 2020년 후반~2021년 중반까지 유지하다가 2021년 10월을 기점으로 다시 하강해 2022년에는 240루피/USD, 심지어 2023년에는 300루피/USD로 떨어졌다. ||||<:> 현행권 || 도안 || || [[파일:attachment/파키스탄 루피/pakirp31.jpg|width=100%]] || --Rp.5-- || [[과다르]] 항 || || [[파일:attachment/파키스탄 루피/pakirp32.jpg|width=100%]] || Rp.10 || 바브-울 카이베르[* 카이베르 고개를 지나는 대문] || || [[파일:attachment/파키스탄 루피/pakirp33.jpg|width=100%]] || Rp.20 || [[모헨조다로]] || || [[파일:attachment/파키스탄 루피/pakirp34.jpg|width=100%]] || Rp.50 || [[K2(산)]] || || [[파일:attachment/파키스탄 루피/pakirp35.jpg|width=100%]] || Rp.100 || 무함마드 알리 진나 관저 || || [[파일:attachment/파키스탄 루피/pakirp36.jpg|width=100%]] || Rp.500 || 바드샤히 모스크 || || [[파일:attachment/파키스탄 루피/pakirp37.jpg|width=100%]] || Rp.1,000 || 페샤와르 이슬람 대학 || || [[파일:attachment/파키스탄 루피/pakirp38.jpg|width=100%]] || Rp.5,000 || 파이살 모스크 || * 새 액면인 20루피가 추가되었는데, 처음엔 갈색이었으나 2007년부터 주황색으로 변경해서 발행하고 있다. * 5루피는 가장 늦게 등장했으나 (2008년 7월 8일) 가장 일찍 사장되었다. 2013년 1월 1일 부터 인쇄가 중단된 것. 일단 사용은 가능하다. == 주화 == 현재는 1, 2, 5, 10루피 4종이 쓰인다. [[파일:Pakistan 4 Pieces Coin, 2017-2021, KM 67-77, Mint,.jpg]] * Rp.1 - 랄 샤바즈 칼란다르 영묘, [[무함마드 알리 진나]](뒷면) * Rp.2 - 바드샤히 모스크(500루피와 동일) * Rp.5 - 별 * Rp.10 - 파이살 모스크(5000루피와 동일) == 여담 == 파키스탄에서는 "100,000 = 라크(lakh)", "10,000,000 = 크로레(crore)"라고 부르고 있다. 이건 인도도 마찬가지. == 둘러보기 == [Include(틀:파키스탄 관련 문서)] [각주] [[분류:통화]][[분류:파키스탄의 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