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파파 에그 셸}}}[br]Papa Egg Shell''' || || '''본명''' ||로런스 케이시[br]Lawerance Casey|| ||<|2> '''이명''' ||파파 에그 셸 케이시[br]Papa Egg Shell Casey|| ||파파 슬릭 헤드[br]Papa Slick Head|| ||<|2> '''출생''' ||1892년 12월|| ||[[미국]]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 || '''사망''' ||미상|| || '''직업''' ||가수, 기타리스트|| || '''장르''' ||[[블루스]]||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가수 및 기타리스트. == 생애 == 1892년 12월, [[세인트루이스]]에서 태어났다. 본명은 그대로 따온 바에 의하면 로런스 (Lawerance) 케이시다.[* Bob L. Eagle · Eric S. LeBlanc, "Blues: A Regional Experience" (ABC-CLIO · 2013.5.1.), 138쪽] 그런데 [[https://www.youtube.com/watch?v=KRiS2zgWSHs|I'm Goin' Up The Country Part 1]]에선 자신이 [[앨라배마주]] 출신이고 [[테네시주]]에서 자랐다고 언급했다. 이른 나이에 대머리가 된지라 파파 슬릭 헤드란 별명을 얻었다고 한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론 그에 대한 언급이 없다.[* "[[http://www.thebluestrail.com/artists/eggshell%20casey.htm|LAWRENCE Papa Egg Shell CASEY]]", thebluestrail.com, 2022년 10월 24일 확인][* Paul Oliver, "The Story Of The Blues: The Making of Black Music (New Updated Edition)" (Random House · 2015.2.26.), 97쪽, [[https://books.google.co.kr/books?id=1oIyBgAAQBAJ&lpg=PT97&dq=Papa%20Egg%20Shell&hl=ko&pg=PT97#v=onepage&q&f=false|#]]] 그는 헨리 브라운 (Henry Brown) 과 같이 일한 바 있다.[* Jeff, "[[https://sundayblues.org/?p=21715|Big Road Blues Show 11/29/20: Lieutenant Blues – St. Louis Blues for Charlie O’Brien]]", sundayblues.org, 2020.11.29., 2022년 10월 24일 확인] 1929년 5월 7일, 솔로로 5곡을 [[시카고]]에서 녹음했다.[* 시카고 서술은 각 음반의 Matrix No.란 링크 참조. / "[[https://adp.library.ucsb.edu/index.php/mastertalent/detail/336309/Casey_Lawrence_Papa_Egg_Shell|Lawrence "Papa Egg Shell" Casey]]", adp.library.ucsb.edu, 2022년 10월 24일 확인] [[분류:미국 남가수]][[분류:블루스 음악가]][[분류:미국의 기타리스트]][[분류:1892년 출생]][[분류:몰년 미상]][[분류:세인트루이스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