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판도라 하츠)] ||<-2>
{{{#ffffff,#ffffff '''{{{+1 판도라 하츠}}}''' (2009)[br]パンドラハーツ[br]PandoraHearts}}}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판도라 하츠_애니.jpg|width=100%]]}}} || ||<-2> {{{#ffffff,#ffffff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ffffff,#ffffff 장르}}}''' ||[[다크 판타지]], [[미스터리]] || || '''{{{#ffffff,#ffffff 원작}}}''' ||[[모치즈키 준]] || || '''{{{#ffffff,#ffffff 감독}}}''' ||[[카토 타카오]] || || '''{{{#ffffff,#ffffff 시리즈 구성}}}''' ||[[세키지마 마요리]] || || '''{{{#ffffff,#ffffff 캐릭터 디자인}}}''' ||코바야시 치즈루(小林千鶴)[br]야마오카 신이치(山岡信一) || || '''{{{#ffffff,#ffffff 프롭 디자인}}}''' ||카게하라 한조(影原半蔵) || || '''{{{#ffffff,#ffffff 미술 감독}}}''' ||와타나베 케이토(わたなべけいと) || || '''{{{#ffffff,#ffffff 색채 설정}}}''' ||세키모토 미츠코(関本美津子) || || '''{{{#ffffff,#ffffff 촬영 감독}}}''' ||쿠도 유키(工藤友紀) || || '''{{{#ffffff,#ffffff 편집}}}''' ||사카모토 쿠미코(坂本久美子) || || '''{{{#ffffff,#ffffff 음향 감독}}}''' ||타카데라 타케시(高寺たけし) || || '''{{{#ffffff,#ffffff 음악}}}''' ||[[카지우라 유키]] || || '''{{{#ffffff,#ffffff 프로듀서}}}''' ||타나카 고(田中 豪)[br]이와사키 아츠시(岩崎篤史)[br]치노 타카토시(千野孝敏)[br]나카야마 케이코(中山佳子)[br]마츠나가 유이치(松永裕一)[br]아이다 타케이치로(相田武一郎) || || '''{{{#ffffff,#ffffff 애니메이션 제작}}}''' ||[[XEBEC]] || || '''{{{#ffffff,#ffffff 제작}}}''' ||Pandora Project[br][[TBS 테레비|TBS]] || || '''{{{#ffffff,#ffffff 방영 기간}}}''' ||[[애니메이션/2009년 4월|2009. 04. 03.]] ~ 2009. 09. 25. || || '''{{{#ffffff,#ffffff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TBS 테레비|TBS]] / (금) 01:29[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원방송]] || || '''{{{#ffffff,#ffffff 편당 러닝타임}}}''' ||24분 || || '''{{{#ffffff,#ffffff 화수}}}''' ||25화 || || '''{{{#ffffff,#ffffff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등급 제도#관련 규정|[[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width=20]] {{{#373a3c 15세 이상 시청가}}}]] || || '''{{{#ffffff,#ffffff 관련 사이트}}}''' ||[[http://www.tbs.co.jp/anime/ph/|[[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 || [목차] [clearfix] == 개요 == [[모치즈키 준]]의 만화 [[판도라 하츠]]의 [[TV 애니메이션]]. [[애니메이션/2009년 4월|2009년 4월 3일]]부터 9월 25일까지 총 25화의 애니메이션으로 방영되었다. 감독은 [[카토 타카오]], 음악은 [[카지우라 유키]], 제작사는 [[XEBEC]]. == 공개 정보 == 《월간 G판타지》 공식 홈페이지 및 2008년 12월호에 TV 애니화를 발표했다. 애니메이션은 8권의 [[쟈크시즈 브레이크]]의 과거편까지를 원작에 따라 애니화가 되었고, 이후 사블리에로 가는 부분이 애니 오리지널 스토리로 사용되며 [[열린 결말]]로 마무리가 되었다.[* 원작에선 사블리에의 비극으로 진실을 찾으러 떠나 새로운 에피소드가 시작되지만, 애니에선 뜬금없이 사슬의 붕괴가 일어나 체인들이 나타나고(원작 22권에 해당하는 부분) 사블리에로 가서 오즈의 아버지인 자이를 만나게 된다.] 여담으로 스페셜 라디오 CD Vol.3에선 오즈 역 [[미나가와 준코]]와 길버트 역 [[토리우미 코스케]]가 한국 서울로 로케를 왔었다. 고기도 먹고 [[감자탕]]도 먹고 [[한강]]도 건너고 [[남대문]]도 가고 재밌게 즐기고 간 듯. == [[판도라 하츠/등장인물|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판도라 하츠/등장인물)] == [[판도라 하츠#설정|설정]]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판도라 하츠, 앵커=설정)] == 음악 == === 주제가 === ==== OP ==== ||<-2>
'''{{{#ffffff,#ffffff OP[br]Parallel Hearts}}}'''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ffffff,#ffffff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3Ac01YI0X2Q, width=100%)]}}} || ||<-2> '''{{{#ffffff,#ffffff Full ver.}}}''' || || '''노래''' || FictionJunction || || '''작사''' ||<|2> [[카지우라 유키]] || || '''작곡'''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 야마오카 신이치(山岡信一) || || '''작화감독''' || 코바야시 치즈루(小林千鶴)[br]야마오카 신이치(山岡信一) || }}}}}}}}} || ||<-2> {{{#!folding 가사 ▼ ||
'''僕らは 未来を変える力を 夢に見てた''' || || 보쿠라와 미라이오 카에루치카라오 유메니미테타 || || 우리들은 미래를 바꿀 힘을 꿈꾸었어 || || '''ノイズの中 聞こえてきた君の泣き声''' || || 노이즈노나카 키코에테키타 키미노나키고에 || || 노이즈 속에서 들려온 너의 울음소리 || || '''笑っていた 僕の弱さを暴いた''' || || 와랏테이타 보쿠노요와사오 아바이타 || || 웃고 있던 나의 약함을 들추어냈어 || || '''君の行く道は 君にしかわからない''' || || 키미노유쿠미치와 키미니시카와카라나이 || || 네가 갈 길은 너밖에 알 수 없어 || || '''違う空 追いかけて''' || || 치가우소라 오이카케테 || || 서로 다른 하늘을 쫓아서 || || '''僕らは未来へ 向かう勇気を 欲しがって''' || || 보쿠라와 미라이에 무카우유우키오 호시갓-테 || || 우리들은 미래로 향할 용기를 원하기에 || || '''過去に迷う 君が笑う本当の現在へ還り着くまで''' || || 카코니마요- 키미가와라우혼토-노이마에 카에리츠쿠마데 || || 과거를 헤매며 네가 웃는 진정한 현재로 돌아올 때까지 || || '''원어 가사 출처: ''' || }}} || ==== ED1 ==== ||<-2>
'''{{{#ffffff,#ffffff ED1 {{{-2 (1~15화)}}}[br]Maz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ffffff,#ffffff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v-pVf1EM8WQ, width=100%)]}}} || ||<-2> '''{{{#ffffff,#ffffff Full ver.}}}''' || || '''노래''' || savage genius feat. 오오미 토모에(近江 知永) || || '''작사''' || 아아(ああ) || || '''작곡''' || [[오쿠이 마사미]]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작화감독''' || 코바야시 치즈루(小林千鶴)[br]야마오카 신이치(山岡信一) || }}}}}}}}} || ||<-2> {{{#!folding 가사 ▼ ||
'''永遠不変の愛なんて 信じられるのかしら?''' 에-엔후헨노 아이난테 신지라레루노 카시라? 영원불변의 사랑같은 거 믿을 수 있는걸까? '''甘い紅茶に溶かす溜息模様''' 아마이 코-챠니 토가스 타메이키모요 달콤한 홍차에 녹아 들어 한숨 나오는 상황이야 '''もう待ちくたびれたのよ''' (모오 마치쿠 타비레타노요) 이제 지칠 만큼 기다렸어 '''貴方を追い掛けて落ちる Wonderland''' 아나타오 오이카케테 오치루 Wonderland 당신을 뒤쫓아 떨어진 Wonderland '''どこまで行けばいいの? 色とりどりの闇を抜け''' 도코마데 유케바 이-노? 이로토리도리노 야미오 누케 어디까지 가면 될까? 가지각색의 어둠을 빠져 나와 '''道標の旋律 心が騒ぎだす''' 미치시루베노 센리츠 코코로가 사와기다스 이정표의 선율이 마음을 떠들썩하게 해 '''時計仕掛けの定めならば 壊してしまえ 私は自由''' 토케-지카케노 사다메나라바 코와시테시마에 와타시와 지유- 시계장치 같은 숙명이라면 부숴버려 그럼 나는 자유야 '''あなたが真実 Catcher in a maze''' 아나타가 신지츠 Catcher in a maze 당신이 진실 Catcher in a maze '''生きる証''' 이키루 아카시 살아가는 증표 || || '''원어 가사 출처: ''' || }}} || ==== ED2 ==== ||<-2>
'''{{{#ffffff,#ffffff ED2 {{{-2 (14~25화)}}}[br]私をみつけて。[br]나를 발견해줘.}}}'''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ffffff,#ffffff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4Y9kBWQPGcw, width=100%)]}}} || ||<-2> '''{{{#ffffff,#ffffff Full ver.}}}''' || || '''노래''' || savage genius || || '''작사''' || 아아(ああ) || || '''작곡''' || [[오쿠이 마사미]]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 야마오카 신이치(山岡信一) || || '''일러스트레이션''' || 코바야시 치즈루(小林千鶴) || }}}}}}}}} || ||<-2> {{{#!folding 가사 ▼ ||
'''金色の午後はママレイドティーとビスケット''' 킨이로노 고고와 마마레이도티-토 비스켓토 금색의 오후는 마멀레이드 차와 비스켓 '''散らかったトランプでさぁ夢の続きを占いましょう''' 치라캇타 토란프데 사아 유메노 츠즈키오 우라나이마쇼오 흩어진 트럼프로 꿈의 연속을 점쳐보자 '''いくつのドア 開くのでしょう''' 이쿠츠노 도아 히라쿠노데쇼- 몇 개의 문을 열면서 '''...サガシモノ 何処ニアル?''' ...사가시모노 도코니아루? ...찾는 것은 어디에 있어? '''君だけを見てた、君だけ追いかけて''' 키미다케오 미테타, 키미다케 오이카케테 너만을 봤어, 너만 쫓아가다가 '''気付けば 私は迷子で''' 키즈케바 와타시와 마이고데 깨달으면 나는 미아가 돼서 '''秘密の暗号 君だけに送ってる''' 히미츠노 안고- 키미다케니 오쿳테루 비밀의 암호를 너에게만 보내고 있어 '''はやく見つけて、「私はここだよ。」''' 하야쿠 미츠케테, 「와타시와 코코다요.」 빨리 찾아줘, 「나는 여기에 있어.」 '''真っ赤な薔薇には 鋭い棘と甘い蜜''' 맛카나 바라니와 스루도이 토게토 아마이 미츠 새빨간 장미에는 날카로운 가시와 달콤한 꿀 '''うっかり誘われては 私 また傷ついてしまう''' 웃카리 사소와레테와 와타시 마타 키즈츠이테 시마우 무심코 유혹당하면 나는 또 상처를 입어 버렸어 '''未完成のパズルのよう''' 미칸세-노 파즈루노요- 미완성의 퍼즐처럼 '''散り散りの道しるべ''' 치리지리노 미치시루베 흩어진 이정표 '''寂しさに慣れた そんなフリをしてた''' 사비시사니 나레타 손나 후리오 시테타 외로움에 익숙해진 척 했어 '''いつから 私は強がり?''' 이츠카라 와타시와 츠요가리? 언제부터 나는 강한 척 하게 됐을까? '''心の声なら 素直になれるのに...''' 코코로노 코에나라 스나오니 나레루노니... 마음의 소리라면 솔직하게 될 수 있을 텐데... '''いつも 君の名前を呼んでるよ''' 이츠모 키미노 나마에오 욘데루요 언제나 너의 이름을 부르고 있어 '''君の夢を見る 何度も目が覚める''' 키미노 유메오 미루 난도모 메가 사메루 너의 꿈을 꾸다가 몇 번이나 깨어났을 때 '''気付けば 睫毛が濡れてる''' 키즈케바 마츠게가 누레테루 알아차리면 속눈썹이 젖어 있어 '''心の声なら 素直になれるのに...''' 코코로노 코에나라 스나오니 나레루노니... 마음의 소리라면 솔직하게 될 수 있을 텐데... '''はやくみつけて、「私はここだよ。」''' 하야쿠 미츠케테、「와타시와 코코다요.」 빨리 찾아줘, 「나는 여기에 있어.」 || || '''원어 가사 출처: ''' || }}} || === 삽입곡 === ||<-2>
'''{{{#ffffff,#ffffff 25화 삽입곡[br]Everytime you kissed m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IV6s7IKxocU, width=100%)]}}} || ||<-2> '''{{{#ffffff,#ffffff Full ver.}}}''' || || '''노래''' || Emily Bindiger || || '''작사''' ||<|2> [[카지우라 유키]] || || '''작곡''' || ||<-2> {{{#!folding 가사 ▼ ||
'''everytime you kissed me''' 당신이 나에게 키스를 할 때마다 '''I trembled like a child''' 난 아이처럼 떨곤 했죠. '''gathering the roses we sang for the hope''' 장미를 모으며 희망을 노래했어요. '''your very voice is in my heartbeat''' 당신의 목소리는 나의 고동에 '''sweeter than my dream''' 꿈보다도 달콤하게 울려 퍼졌어요. '''we were there, in everlasting bloom''' 그 지지 않는 꽃들의 사이에, 우리가 있었죠. '''roses die, the secret is inside the pain''' 장미는 죽어서, 비밀은 고통 안에 감춰져 '''winds are high up on the hill''' 언덕 위의 바람이 너무 세서 '''I cannot hear you''' 당신의 목소리가 들리지 않아요. '''come and hold me close''' 여기에 와서 끌어안아 줘요. '''I`m shivering cold in the heart of rain''' 빗 속에서 차가움에 떨고 있는 나를 '''darkness falls, I`m calling for the dawn''' 어둠이 찾아와, 전 새벽을 부르고 있어요. '''silver dishes for the memories, for the days gone by''' 추억에, 지나간 날들에 은쟁반을 바쳐보아요. '''singing for the promises tomorrow may bring''' 내일이면 이루어질 지도 몰라요. 약속을 위해 노래하는 나는 '''I harbour all the old affection roses of the past''' 과거의 장미와, 빛바랜 사랑을 여기에서 지키고 있는 거랍니다. '''darkness falls, and summer will be gone''' 어둠이 찾아와, 여름은 곧 가버리겠죠. '''joys of the daylight''' 햇빛의 기쁨 '''shadows of the starlight''' 별빛의 그림자 '''everything was sweet by your side, my love''' 당신의 곁에선 모든 게 아름다웠어요. '''ruby tears have come to me, for you last words''' 당신의 마지막 말에 루비의 눈물을 흘리며 '''I`m here just singing my song of woe''' 난 그저 슬픔을 노래하며 여기에 있어요. '''waiting for you, my love''' 당신을 기다리고 있는 거예요. '''「now let my happiness sing inside my dream......」''' 「행복이여, 꿈속에서 노래해줘요......」 '''everytime you kissed me''' 당신이 나에게 키스할 때마다 '''my hearts was in such pain''' 내 마음은 고통으로 신음했죠. '''gathering the roses''' 장미를 모으며 '''we sang of the grief''' 탄식을 노래해 '''your very voice is in my heartbeat''' 당신의 목소리는 나의 고동에 '''sweeter then despair''' 절망보다도 달콤하게 울려 퍼졌어요. '''we were there, in everlasting bloom''' 그 지지 않는 꽃들의 속에 우리들은 있었던 거에요. '''underneath the stars''' 별들의 아래에서 '''shaded by the flowers''' 꽃들에 숨어서 '''kiss me in the summer day gloom, my love''' 여름의 우울 속에서 나에게 키스를 해요. '''you are all my pleasure, my hope and my song''' 당신은 나의 기쁨, 모든 노래와 희망 '''I will be here dreaming in the past''' 난 여기서, 과거 속에서 잠들 거예요. '''untill you come''' 당신이 찾아올 때까지 '''untill we close our eyes''' 우리들이 눈을 감는 그때까지 || || '''원어 가사 출처: ''' || }}} || * [[https://www.youtube.com/watch?v=T2jd3OE9w6U|'''레이시(Lacie orgel ver.)''']]의 원곡을 편곡한 OST. == 회차 목록 == ||
'''회차''' || '''제목''' || '''각본'''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총작화감독''' || '''방영일''' || || {{{-3 제1화}}} || {{{-3 罪なき平穏[br]죄 없는 평온[br]''Innocent Calm''}}} || {{{-3 [[세키지마 마요리]]}}} || {{{-3 [[카토 타카오]]}}} || {{{-3 [[우에다 시게루(うえだしげる)|우에다 시게루[br](うえだしげる)]]}}} || {{{-3 호리 타에코[br](堀たえ子)}}} || {{{-3 코바야시 치즈루[br](小林千鶴)}}} || {{{-3 日: 2009.04.03.[br]韓: }}} || || {{{-3 제2화}}} || {{{-3 断罪の嵐[br]단죄의 폭풍[br]''Tempest of Conviction''}}} || {{{-3 쿠보타 마사시[br](久保田雅史)}}} ||<-2> {{{-3 나카무라 사토미[br](中村里美)}}} || {{{-3 타카하시 아키라[br](高橋 晃)}}} || {{{-3 코바야시 치즈루[br]야마오카 신이치[br](山岡信一)}}} || {{{-3 日: 2009.04.10.[br]韓: }}} || || {{{-3 제3화}}} || {{{-3 迷い子と黒うさぎ[br]고아와 흑토끼[br]''Prisoner&Alichino''}}} || {{{-3 아라키 켄이치[br](荒木憲一)}}} ||<-2> {{{-3 [[타카하시 히데야]]}}} || {{{-3 나가야 유리코[br](長屋侑利子)[br]오오나미 후토시[br](大浪 太)}}} ||<|3> {{{-3 코바야시 치즈루}}} || {{{-3 日: 2009.04.17.[br]韓: }}} || || {{{-3 제4화}}} || {{{-3 朝日影の場所[br]아침 햇살이 있는 곳[br]''Rendezvous''}}} || {{{-3 키타지마 히로아키[br](北嶋博明)}}} || {{{-3 [[니시모리 아키라]]}}} || {{{-3 [[이와나가 아키라]]}}} || {{{-3 나가마츠 히사요시[br](永松久芳)[br]MANASITA}}} || {{{-3 日: 2009.04.24.[br]韓: }}} || || {{{-3 제5화}}} || {{{-3 時計回りの悪夢[br]시계 주위의 악몽[br]''Clockwise Doom''}}} || {{{-3 마루카와 나오코[br](丸川直子)}}} ||<-2> {{{-3 카미츠보 료키[br](上坪亮樹)}}} || {{{-3 노리타 타쿠모[br](乗田拓茂)}}} || {{{-3 日: 2009.05.01.[br]韓: }}} || || {{{-3 제6화}}} || {{{-3 食い違った現在地[br]엇갈린 현재의 자리[br]''Where am I?''}}} || {{{-3 쿠보타 마사시}}} ||<-2> {{{-3 쿠로다 유키오[br](黒田幸生)}}} || {{{-3 [[나카타니 유키코]][br]와타나베 나츠키[br](渡辺奈月)}}} || {{{-3 [[타카미 아키오]][br]코바야시 치즈루}}} || {{{-3 日: 2009.05.08.[br]韓: }}} || || {{{-3 제7화}}} || {{{-3 深淵からの呼び声[br]심연에서 부르는 소리[br]''Whisperer''}}} || {{{-3 아라키 켄이치}}} || {{{-3 코사카 하루메[br](小坂春女)}}} || {{{-3 우에다 시게루[br](うえだしげる)}}} || {{{-3 타케야 쿄코[br](竹谷今日子)}}} ||<|3> {{{-3 코바야시 치즈루}}} || {{{-3 日: 2009.05.15.[br]韓: }}} || || {{{-3 제8화}}} || {{{-3 隠者の問い掛け[br]은둔자의 질문[br]''Question''}}} || {{{-3 키타지마 히로아키}}} ||<-2> {{{-3 손승희[br](孫承希)}}} || {{{-3 나가야 유리코[br]오오나미 후토시}}} || {{{-3 日: 2009.05.22.[br]韓: }}} || || {{{-3 제9화}}} || {{{-3 呪いの言葉[br]저주의 말[br]''Malediction''}}} || {{{-3 세키지마 마요리}}} || {{{-3 니시모리 아키라}}} || {{{-3 오카 요시히로[br](岡 佳広)}}} || {{{-3 마츠이 유코[br](松井祐子)}}} || {{{-3 日: 2009.05.29.[br]韓: }}} || || {{{-3 제10화}}} || {{{-3 重なる影[br]무거운 그림자[br]''Grim''}}} || {{{-3 마루카와 나오코}}} ||<-2> {{{-3 타카하시 히데야}}} || {{{-3 타카하시 아키라}}} || {{{-3 코바야시 치즈루[br]야마오카 신이치[br]호리 타에코}}} || {{{-3 日: 2009.06.05.[br]韓: }}} || || {{{-3 제11화}}} || {{{-3 堕とされた鴉[br]추락한 까마귀[br]''A Lost Raven''}}} || {{{-3 키타지마 히로아키}}} || {{{-3 니시모리 아키라}}} || {{{-3 이와나가 아키라}}} || {{{-3 나가마츠 히사요시[br]허혜정}}} || {{{-3 호리 타에코}}} || {{{-3 日: 2009.06.12.[br]韓: }}} || || {{{-3 제12화}}} || {{{-3 鏡の国[br]거울의 나라[br]''Welcome to Labyrinth''}}} || {{{-3 쿠보타 마사시}}} ||<-2> {{{-3 쿠로다 유키오}}} || {{{-3 와타나베 나츠키}}} || {{{-3 야마오카 신이치[br]호리 타에코}}} || {{{-3 日: 2009.06.19.[br]韓: }}} || || {{{-3 제13화}}} || {{{-3 歪んだ記憶の住人[br]왜곡된 기억의 주인[br]''Keeper of the secret''}}} || {{{-3 아라키 켄이치}}} || {{{-3 니헤이 유이치[br](二瓶勇一)}}} || {{{-3 카미츠보 료키}}} || {{{-3 노리타 타쿠모}}} || {{{-3 코바야시 치즈루}}} || {{{-3 日: 2009.06.26.[br]韓: }}} || || {{{-3 제14화}}} || {{{-3 紅き隻眼の悪魔[br]붉은 외눈박이 악마[br]''Hollow socket eye''}}} || {{{-3 세키지마 마요리}}} ||<-2> {{{-3 우에다 시게루[br](うえだしげる)}}} || {{{-3 타카하시 아키라}}} || {{{-3 야마오카 신이치[br]호리 타에코}}} || {{{-3 日: 2009.07.03.[br]韓: }}} || || {{{-3 제15화}}} || {{{-3 誰がための言葉[br]누군가를 위한 말[br]''Who killed poor Alice?''}}} || {{{-3 아라키 켄이치}}} ||<-2> {{{-3 나카무라 사토미}}} || {{{-3 타케야 쿄코[br]사노 요코[br](佐野陽子)}}} || {{{-3 코바야시 치즈루}}} || {{{-3 日: 2009.07.10.[br]韓: }}} || || {{{-3 제16화}}} || {{{-3 英雄と少年[br]영웅과 소녀[br]''His name is...''}}} || {{{-3 쿠보타 마사시}}} ||<-2> {{{-3 쿠로다 유키오}}} || {{{-3 코타니 쿄코[br](小谷杏子)}}} || {{{-3 호리 타에코}}} || {{{-3 日: 2009.07.17.[br]韓: }}} || || {{{-3 제17화}}} || {{{-3 懐旧の旋律[br]회고의 선율[br]''Hello my sister!''}}} || {{{-3 키타지마 히로아키}}} || {{{-3 히구치 카오리[br](樋口香里)}}} || {{{-3 타카하시 히데야}}} || {{{-3 쿠마가이 카츠히로[br](熊谷勝弘)}}} || {{{-3 야마오카 신이치[br]호리 타에코}}} || {{{-3 日: 2009.07.24.[br]韓: }}} || || {{{-3 제18화}}} || {{{-3 とある従者の死について[br]어떤 종자의 죽음에 대해[br]''Eliot & Leo''}}} || {{{-3 마루카와 나오코}}} ||<-2> {{{-3 히라오 미호[br](平尾みほ)}}} || {{{-3 코바야시 치즈루}}} || - || {{{-3 日: 2009.07.31.[br]韓: }}} || || {{{-3 제19화}}} || {{{-3 涙の池[br]눈물의 연못[br]''The Pool of Tears''}}} || {{{-3 아라키 켄이치}}} || {{{-3 손승희}}} || {{{-3 우에다 시게루[br](うえだしげる)}}} || {{{-3 타카하시 아키라}}} || {{{-3 야마오카 신이치[br]호리 타에코}}} || {{{-3 日: 2009.08.07.[br]韓: }}} || || {{{-3 제20화}}} || {{{-3 うつりゆく音[br]옮겨가는 소리[br]''Modulation''}}} || {{{-3 쿠보타 마사시}}} ||<-2> {{{-3 카미츠보 료키}}} || {{{-3 나가야 유리코[br]무라카미 마키[br](村上真紀)[br]미나미 린[br](南 凛)}}} || {{{-3 코바야시 치즈루[br]야마오카 신이치[br]호리 타에코}}} || {{{-3 日: 2009.08.14.[br]韓: }}} || || {{{-3 제21화}}} || {{{-3 純白のくろ[br]순백의 흑[br]''Snow #ffffff Chaos''}}} || {{{-3 세키지마 마요리}}} ||<-2> {{{-3 쿠로다 유키오}}} || {{{-3 나가마츠 히사요시[br]허혜정}}} || {{{-3 호리 타에코}}} || {{{-3 日: 2009.08.28.[br]韓: }}} || || {{{-3 제22화}}} || {{{-3 失意の対価[br]실의의 대가[br]''Counter Value of Loss''}}} || {{{-3 키타지마 히로아키}}} || {{{-3 나카무라 사토미}}} || {{{-3 타카하시 히데야}}} || {{{-3 에모리 마리코[br](江森真理子)[br]카도 토모아키[br](門 智明)}}} || {{{-3 코바야시 치즈루[br]야마오카 신이치}}} || {{{-3 日: 2009.09.04.[br]韓: }}} || || {{{-3 제23화}}} || {{{-3 軋む世界[br]흔들리는 세계[br]''A Warp in the World''}}} || {{{-3 쿠보타 마사시}}} || {{{-3 히구치 카오리}}} || {{{-3 우에다 시게루[br](うえだしげる)}}} || {{{-3 나가야 유리코[br]오오나미 후토시}}} ||<|3> - || {{{-3 日: 2009.09.11.[br]韓: }}} || || {{{-3 제24화}}} || {{{-3 憐れみの讃歌[br]연민의 찬가[br]''Kyrie''}}} || {{{-3 아라키 켄이치}}} || {{{-3 에노모토 아키히로[br](榎本明広)}}} || {{{-3 쿠로다 유키오}}} || {{{-3 야마오카 신이치[br]호리 타에코}}} || {{{-3 日: 2009.09.18.[br]韓: }}} || || {{{-3 제25화}}} || {{{-3 否定の彼方へ[br]부정의 저편에[br]''Beyond the winding road''}}} || {{{-3 세키지마 마요리}}} || {{{-3 카토 타카오}}} || {{{-3 타카하시 히데야}}} || {{{-3 코바야시 치즈루}}} || {{{-3 日: 2009.09.25.[br]韓: }}} || == 해외 공개 == === 대한민국 === 한국 방영은 [[2010년]] [[10월 4일]]에 [[애니박스]]에서 방영되었고, 동년 12월에는 [[챔프TV]]에서도 방영되었다. == 평가 == 애니메이션 자체의 평가는 박한 편에 속한다. 열린 결말과 작화 붕괴, 그리고 작품 후반의 일부 설정 변경[* 길버트가 처음 나이트레이에 들어왔을 때 어린 [[리오(판도라 하츠)|리오]]가 있었다던가, 원작 2권에서 브레이크가 어비스를 장악하는 힘이라고 언급한 적이 있긴 하지만 오즈의 힘을 '어비스를 장악하는 힘' 이라고 하는 등 원작과 다른 점이 일부 존재한다.]으로 인한 원작과의 괴리감 등 가장 재밌어질 때 작품을 종영시켜 아쉬움이 많이 남는 작품으로 평을 받고 있다. 음악은 [[카지우라 유키]]가 맡았는데 OST의 퀄리티는 평가가 상당히 좋으며 이 덕에 시계 속의 오르골(레이시/Lacie) 곡은 상당히 유명세를 탔다. 애니의 OST는 애니뿐만 아니라 원작과도 조화를 이루기 때문에 틀어놓고 원작을 보면 엄청난 시너지가 느껴진다. OST가 원작자의 마음에 들었는지 판도라 하츠의 최종화의 부제는 판도라 하츠의 OST 중 하나인 [[https://www.youtube.com/watch?v=UQkxNbgohPg|Will]]에서 따왔다. == WEB 라디오 == * {{{+1 『 [ruby(판도라 라디오, ruby=パンドララジオ)] [ruby(~ 어비스의 사자가 온다!? ~, ruby= ~アヴィスの使者がやってくる!?~)] 』 }}} * 퍼스널리티 : [[미나가와 준코]] {{{-2 ([[오즈 베델리우스]] 역)}}}, [[토리우미 코스케]] {{{-2 ([[길버트 나이트레이|레이븐]] 역)}}} * 배포일 : 2009년 3월 13일 - 2009년 10월 30일 (전 15회) * 갱신일 : 격주 금요일 갱신 * 배포 사이트 : Medifa Cladio ---- * 2009년 3월 13일부터 10월 30일까지 진행되었던 TV 애니메이션 공식 WEB 라디오. * [[https://www.amazon.co.jp/s?k=%E3%83%91%E3%83%B3%E3%83%89%E3%83%A9%E3%83%A9%E3%82%B8%E3%82%AA+%E3%82%B9%E3%83%9A%E3%82%B7%E3%83%A3%E3%83%AB&i=popular&ref=nb_sb_noss|[[파일:Amazon.co.jp 로고.svg|width=80]]]] 에서 CD로 구매해 소장할 수 있으며, [[https://www.nicovideo.jp/search/%E3%83%91%E3%83%B3%E3%83%89%E3%83%A9%E3%83%A9%E3%82%B8%E3%82%AA?f_range=0&l_range=0&opt_md=&start=&end=|[[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width=25]]]] 로 통해서 들을 수도 있다. == 기타 == * 2021년 11월/2022년 1월 상/하권으로 나뉘어진 블루레이가 독일 독점으로 [[https://www.amazon.de/dp/B098RS6BQR|출시되었다.]] 디스크 매수는 각 권 1매씩으로 총 2매. 블루레이로서는 특이하게도 720/23.976p[* 고전 영상물의 경우 간혹 480i나 480p SD 블루레이가 출시되는 경우가 있지만 720p는 극히 희소하다. 그런 포맷이 가능하다는 사실조차 사람들이 잘 모를 정도.]이며 오디오는 독일어/일본어 모두 2채널 DTS-HD MA이다. 실구매자에 따르면 화질이 전반적으로 불량하고 닷크로울링이 움직이는 장면 거의 전부에서 발생할 정도로 심한 데다 IVTC 오류도 많아서 독일어 더빙이 꼭 필요한 게 아닌 이상 구매 가치는 없다고 한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판도라 하츠, version=312, paragraph=7.3)] [[분류:판도라 하츠]][[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2009년 2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2009년 3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다크 판타지 애니메이션]][[분류:일본 만화 원작 애니메이션]][[분류:시간여행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