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판잔러}}}'''[br]'''潘展乐 | Pan Zhanl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중국 수영선수 판잔러.jpg|width=100%]]}}} || ||<|2> '''출생''' ||[[2004년]] [[8월 4일]] ([age(2004-08-04)]세) || ||[[저장성]] 원저우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 || '''신체''' ||189cm[* 프로필이 198cm로 표기된 곳도 있고, 189cm인곳도 있으나, [[황선우]]보다 조금 큰 것으로 보아 189cm로 추정된다.], [[윙 스팬]] 210cm || || '''학력''' ||[[상하이교통대학]] {{{-2 (체육학 22 / 재학)}}}[* 2004년생인데도 23학번이 아닌 22학번인데 그 이유는 중국은 9월에 새학기가 시작하기 때문이다.] || || '''종목''' ||[[수영]] || || '''주 종목''' ||[[자유형(수영)|자유형]] '''100m''', 200m[* 참고로 라이벌로 꼽히는 [[황선우]]도 주종목이 자유형 100m, 200m인데 더 우위인 종목은 황선우는 200m, 판잔러는 100m이다.] || || '''링크''' ||[[https://weibo.com/7247957528?refer_flag=1001030103|[[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instagram.com/panzhanle/|[[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의 [[수영]] 선수. == 선수 경력 == === 어린 시절 === 4살때 윈저우시소년수영학교에 입학하면서 수영을 시작했다. 2014년 만 10살 때 저장성 수영 대회에 나가 '''7관왕'''을 달성했다. === 2022년 === ==== [[2022 부다페스트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2022 세계 선수권]] ==== 만 17세의 나이로 자유형 100m에서 중국 타이 기록을 만들어내면서 이름이 알려지기 시작했다. === 2023년 === ==== [[2023 후쿠오카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2023 세계 선수권]] ==== 자유형 100m에서 4위에 올랐다. 3위와의 격차는 불과 0.01초 차.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면서 기존 아시아 최강자로 평가받던 [[황선우]]의 기록을 깨고 아시아 신기록을 달성, 두 선수의 주종목이라 할 수 있는 100, 200m 분야의 [[라이벌]]로 떠올랐다.[* 다만 판잔러는 100m, 황선우는 200m가 좀 더 주종목이긴 하다.]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2022 아시안 게임]] ==== 2023년 열린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남자 100m에서 아시아 신기록으로 여유롭게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기록이 대단한 것이 2023 세계선수권 100m 우승자 기록이 47.15초였는데 판잔러는 46.97초를 찍었다. 이 정도 기량을 유지한다면 [[2024 파리 올림픽]] 금메달도 충분히 노려볼만한 기록. 그러나 판잔러는 신기록을 모두 중국에서 세우는 등 홈에서 유독 강한 편이고, 단거리이기에 올림픽 금메달을 장담하기엔 변수가 많긴 하다. 참고로 해당종목의 세계 신기록은 동갑이자 라이벌인 [[다비드 포포비치]]가 세운 46.86초이다. 판잔러 본인이 밝히길, 한가지 목표는 [[2024 파리 올림픽]]에서 해당 기록을 깨고 금메달을 따내는 것이라고 한다. ---- 자유형 50m에서는 동메달을 획득했다. 언론 인터뷰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지유찬]] 선수가 대단하다고 인터뷰했다. 그리고 황선우 선수와의 200m 대결을 앞두고 어떻냐는 질문에 본인은 둘이 친구라 누가 이기고 지든 그런건 큰 의미없고 실전에서 자기 자신의 기량을 온전히 발휘하는게 더 중요하다고 답변했다.[[https://www.youtube.com/shorts/EepbUT-1bv8|#]] 같은 날 열린 계영 4×200에서는 [[앵커]]로 나서서 라이벌 황선우와 맞대결을 펼쳤으나, 이미 본인이 출발하기도 전에 양 팀 차이가 많이 나 결과적으로 은메달을 획득하는 데 만족해야 했다. 다만 다음 날 열린 혼계영[* '혼(混, 섞일 혼)' 계영이다. 영문 명칭도 Medley로 되어 있으며 자유형, 접영, 배영, 평영을 각 주자들이 번갈아 가면서 수영한다. 계영은 이어달리기와 비슷하게 바톤 터치하는 것처럼 이어서 수영하는 걸 뜻한다. 참고로 판잔러가 은메달을 획득한 계영 종목은 '자유형' 200m × 4(총 800m)이다.] 400m 릴레이에서는 중국팀이 은메달을 딴 한국팀 대신 금메달을 가져갔다. 28일 열린 자유형 400m(4x100m) 릴레이에서도 금메달을 가져갔다. ---- 9월 27일 열린 자유형 200m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경기 직후 금메달을 딴 황선우의 손을 들며 축하해줬다. 단거리인 100m, 200m가 주종목인 선수임에도 자유형 50/100/200/400m에 모두 출전하고 메달을 따냈다. 특히 400m는 거의 재미삼아 출전했고 물살을 많이 받아 불리한 레인인 7레인에, 영법과 호흡법 모두 전형적인 단거리 식인데도 은메달을 따 더 신기함을 불러왔다. == 수상 기록 == ||<-3> {{{#white 세계 선수권}}} || || 은메달 || 2023 후쿠오카 || 혼계영 4×100m || ||<-3> {{{#white 아시안 게임}}} || || 금메달 || 2022 항저우 || 자유형 100m || || 금메달 || 2022 항저우 || 혼계영 4×100m || || 금메달 || 2022 항저우 || 계영 4×100m || || 은메달 || 2022 항저우 || 계영 4×200m || || 은메달 || 2022 항저우 || 자유형 200m || || 은메달 || 2022 항저우 || 자유형 400m || || 동메달 || 2022 항저우 || 자유형 50m || == 여담 == * 수영 초반에는 장거리 선수였다고 한다. * 성격이 꽤나 진지하다고 한다. 인터뷰도 보면 꽤나 진중한 편이다. * [[크러쉬]]랑 닮은 꼴이다(...) * [[황선우]] 선수와는 [[2023 후쿠오카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에서 수영모를 교환하며 처음 친해졌다고 한다. * 경기에 입장할때 양 손가락 엄지와 검지로 Z모양의 시그니처포즈를 한다. * 하도 사진을 많이 찍다 보니 대회 후반부에는 아예 한국 선수단이 단체사진을 찍는데 같이 껴서 사진을 찍었다. --프로참석러?-- * 이름을 '''핀잔러'''로 오해하는 한국인들이 꽤나 있다.(...) [[분류:2004년 출생]][[분류:원저우시 출신 인물]][[분류:중국의 남자 수영 선수]][[분류:상하이교통대학 출신]][[분류:중국의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