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八高祖圖 특정인의 가계(家系)를 본인으로부터 위로 고조까지 소급했을 때 8명의 고조부가 기재되는 세계도(世系圖). == 상세 == 개인의 혈연관계를 위로 올라가 보면, 부(父)대에서는 부모 2명이 되고, 조(祖)대에서는 4명([[할아버지]], [[할머니]], [[외할아버지]], [[외할머니]])이 되며, 증조대에서는 8명이 되고, 그리고 고조대에서는 16명이 된다. 고조대(高祖代)의 16명 중 8명은 고조부이고 8명은 고조모에 해당한다. 따라서 자신을 기준으로 하여 위로 조상을 소급해 올라갈 경우 고조대에 해당하는 조상이 사실은 16명이지만 남성인 8명의 고조부들만을 지칭하여 팔고조도라 하는 것이다. 옛 선현들에게는 이 팔고조도의 이름을 모두 반드시 숙지하고 있어야 하는 것이 기본 상식이었다. 자신을 포함해 총 31명이 나타난다.[* 의미가 없어 보이지만 '''현행''' 민법상 팔고조 중 같은 고조부/모가 있을 경우 법적으로 친족이다. 당연한 사실이지만 부계 조상이건 모계 조상이건 상관이 없다. 즉, 자신의 아버지의 아버지의 아버지의 아버지뿐만 아니라 어머니의 어머니의 어머니의 어머니까지 외워야 했다.] ||<-16><:> '''팔고조도''' || || 고高[br]조祖[br]모母[br] || 고高[br] 조祖[br]부父[br] || 고高[br]조祖[br]모母[br] || 고高[br] 조祖[br]부父[br] || 고高[br]조祖[br]모母[br] || 고高[br] 조祖[br]부父[br] || 고高[br]조祖[br]모母[br] || 고高[br] 조祖[br]부父[br] || 고高[br]조祖[br]모母[br] || 고高[br] 조祖[br]부父[br] || 고高[br]조祖[br]모母[br] || 고高[br] 조祖[br]부父[br] || 고高[br]조祖[br]모母[br] || 고高[br] 조祖[br]부父[br] || 고高[br]조祖[br]비妣[br] || 고高[br] 조祖[br]고考[br] || ||<-2> 증曾[br]조祖[br]모母[br] ||<-2> 증曾[br]조祖[br]부父[br] ||<-2> 증曾[br]조祖[br]모母[br] ||<-2> 증曾[br]조祖[br]부父[br] ||<-2> 증曾[br]조祖[br]모母[br] ||<-2> 증曾[br]조祖[br]부父[br] ||<-2> 증曾[br]조祖[br]비妣[br] ||<-2> 증曾[br]조祖[br]고考[br] || ||<-4> 조祖[br]모母[br] ||<-4> 조祖[br]부父[br] ||<-4> 조祖[br]비妣[br] ||<-4> 조祖[br]고考[br] || ||<-8> 비妣[br][* 어머니. 부계 혈통으로만 이어지는 어머니는 비(妣), 그 외 혈통으로 어머니는 모(母)라고 칭했다.] ||<-8> 고考[br][* 아버지. 부계 혈통으로만 이어지는 아버지는 고(考), 그 외 혈통으로 아버지는 부(父)라고 칭했다.] || ||<-16> (기己)[* 자기] || == 명명법 == || '''명칭''' || '''관계''' || || 본가 || 아버지의 친가 || || 증외가 || 할아버지의 외가 || || 진외가 || 할머니의 친가 || || 진외증외가 || 할머니의 외가 || || 외가 || 어머니의 친가 || || 외증외가 || 외할아버지의 외가 || || 외외가 || 외할머니의 친가 || || 외외증외가 || 외할머니의 외가 || 위 표의 구분법을 기준으로 뒤에 호칭이 붙는다. || '''윗대''' || '''윗윗대''' || '''3대 위''' || '''4대 위''' || '''명칭''' || ||<|8> 아버지(父) ||<|4> 할아버지(祖) ||<|2> 증조할아버지(曾祖) || 고조할아버지(高祖) ||<|2> 본가(本家) || || 고조할머니(高祖母) || ||<|2> 증조할머니(曾祖母) || 증외고조할아버지(曾外高祖) ||<|2> 증외가(曾外家) || || 증외고조할머니(曾外高祖母) || ||<|4> 할머니(祖母) ||<|2> 진외증조할아버지(陳外曾祖) || 진외고조할아버지(陳外高祖) ||<|2> 진외가(陳外家) || || 진외고조할머니(陳外高祖母) || ||<|2> 진외증조할머니(陳外曾祖母) || 진외증외고조할아버지(陳外曾外高祖) ||<|2> 진외증외가(陳外曾外家) || || 진외증외고조할머니(陳外曾外高祖母) || ||<|8> 어머니(母) ||<|4> 외할아버지(外祖) ||<|2> 외증조할아버지(外曾祖) || 외고조할아버지(外高祖) ||<|2> 외가(外家) || || 외고조할머니(外高祖母) || ||<|2> 외증조할머니(外曾祖母) || 외증외고조할아버지(外曾外高祖) ||<|2> 외증외가(外曾外家) || || 외증외고조할머니(外曾外高祖母) || ||<|4> 외할머니(外祖母) ||<|2> 외외증조할아버지(外外曾祖) || 외외고조할아버지(外外高祖) ||<|2> 외외가(外外家) || || 외외고조할머니(外外高祖母) || ||<|2> 외외증조할머니(外外曾祖母) || 외외증외고조할아버지(外外曾外高祖) ||<|2> 외외증외가(外外曾外家) || || 외외증외고조할머니(外外曾外高祖母) || 명명법의 원리는 아래의 조합식에 따라 순서대로 앞에서부터 붙여 나가는 것이다. 1. 배우자 구분( X(본인) / 시(남편) / 처(아내) ) + 1. 아버지 쪽의 가문이면 X, 어머니 쪽의 가문이면 (+)외+ 1. 친할머니의 가문이면, (+)진외+ 아니면 X 1. 외할머니의 가문이면, (+)외외+ 아니면 X 1. 조부모 세대 외가이면, (+)증외+ 아니면 X 1. 가문이나 조상님 호칭, +가(가문) 또는 +호칭(사람인 경우 나를 기준으로 호칭한다 : 고조/증조/조/부모) == 기타 == {{{+2 실례}}} [[파일:31 Ancestors of King Sejong.jpg|width=100%]] 사진은 세종대왕팔고조도. 조상을 알 수 없는 경우 세종과의 관계만 쓰고 관직, 휘는 적지 않았다.[* 빨간 종이는 [[피휘]]를 위해서 붙여놨다. ] {{{+2 사증조가}}} 본가, 진외가, 외가, 외외가만을 따로 모아 4증조가라 한다. {{{+2 다른 외가}}} 8고조도를 제외하고도 있는 다양한 외가들. 현대 사회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는 용어이다. 고외가(高外家) : 고조모의 친정 증외고외가(曾外高外家) : 증외고조모의 친정 진외고외가(陳外高外家) : 진외고조모의 친정 외외고외가(外外高外家) : 외외고조모의 친정 선외가(先外家) : 고조 이상 선조의 외가를 통칭.[* 고조부모대의 외가쯤 되면 그냥 남이다.] 생외가(生外家) : 양자로 간 사람의 생가 쪽의 외가 처외가(妻外家) : 아내의 외가, 장모의 친정 양외가(養外家) : 양어머니의 친정 계외가(繼外家) : 계모의 친정 === 유사사례 === 서양권에서도 팔고조도와 거의 똑같은 체계가 있는데, 아넨타펠([[https://en.wikipedia.org/wiki/Ahnentafel|Ahnentafel]])이라고 부른다. == 관련 문서 == * [[친척]] * [[인척]] * [[호칭]] * [[할아버지]] * [[할머니]] * [[증조할아버지]] * [[증조할머니]] * [[고조]] * [[현조]] * [[조상]] [[분류:가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