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태양계)] ||<:><-5><#999999>{{{#ffffff MPC 번호 순 [[소행성체|{{{#ffffff 소행성체(Minor Planet)}}}]] }}}|| ||<:>1 [[세레스(왜행성)|세레스]]||←||<:>'''2 팔라스'''||→||<:>3 [[주노(소행성)|주노]]|| ||<-3><:> {{{#FFFFFF '''2'''[br]{{{+3 '''팔라스'''}}}[br]Pallas}}} || ||<-3> [[파일:5Txx8yq.jpg|width=100%]][br]{{{#FFFFFF {{{-3 촬영: [[허블 우주 망원경|{{{#LightBlue Hubble Space Telescope}}}]] ([[NASA|{{{#FFFFFF NASA}}}]], 2007)}}}}}} || ||<-3> {{{#FFFFFF '''분류'''}}} || ||<-2><:> {{{#FFFFFF '''MPC 지정'''}}} || (2) Pallas (智神星) || ||<-2><:> {{{#FFFFFF '''천문 기호'''}}} || {{{+5 '''⚴'''}}} || ||<-2><:> {{{#FFFFFF '''소행성체 분류'''}}} || 소행성대 천체[br]팔라스 소행성족 || ||<-3> {{{#FFFFFF '''궤도 특성'''}}} || ||<-2> {{{#FFFFFF '''궤도 장반경'''}}} || 2.773841435 [[AU]] || ||<-2> {{{#FFFFFF '''궤도 경사각'''}}} || 34.8329315912° || ||<-2> {{{#FFFFFF '''이심률'''}}} || 0.2299722589 || ||<-2> [[원일점|{{{#FFFFFF '''원일점'''}}}]] || 3.4117480154 [[AU]] || ||<-2> [[근일점|{{{#FFFFFF '''근일점'''}}}]] || 2.1359348544 [[AU]] || ||<-2> {{{#FFFFFF '''공전 주기'''}}} || 1685.371678 일 (4.6143 년) || ||<-3> {{{#FFFFFF '''물리적 성질'''}}} || ||<-2> {{{#FFFFFF '''분광형'''}}} || B형 소행성 || ||<-2> {{{#FFFFFF '''크기'''}}} || 550(±8)×516(±6)×476(±6) km[*출처1 [[https://arxiv.org/abs/0912.3626|Physical Properties of (2) Pallas]]] || ||<-2> {{{#FFFFFF '''지름'''}}} || 512(±6) km || ||<-2> {{{#FFFFFF '''질량'''}}} || (2.01±0.13)×10^^20^^kg || ||<-2> {{{#FFFFFF '''표면적'''}}} || (8.3±0.2)×10^^5^^km^^2^^ || ||<-2> {{{#FFFFFF '''표면 중력'''}}} || 0.21m/s^^2^^ || ||<-2> {{{#FFFFFF '''자전 주기'''}}} || 7.8132 시간 || ||<-2> {{{#FFFFFF '''자전축 기울기'''}}} || 84(±5)°[*출처1] || ||<-2> {{{#FFFFFF '''평균 온도'''}}} || 168K (-105도) || ||<-2> {{{#FFFFFF '''최고 온도'''}}} || 265K (-8도) || ||<-3> {{{#FFFFFF '''광학적 성질'''}}} || ||<-2> {{{#FFFFFF '''겉보기 등급'''}}} || 6.49 ~ 10.65 || ||<-2> {{{#FFFFFF '''절대 등급 '''}}} || +4.2 || ||<-2> {{{#FFFFFF '''[[반사율|{{{#FFFFFF 기하학적 반사율}}}]]'''}}} || 0.159 || [목차] == 개요 == {{{+1 Pallas}}} '''팔라스'''는 [[세레스(왜행성)|세레스]]에 이어 두 번째로 발견된 [[소행성]]이다. 여기서 '[[팔라스]]'는 [[아테나]]를 가리키는 말이다. 팔라스는 소행성대의 소행성들 중에서 3번째로 크고, 소행성대 질량의 약 7%를 차지한다. 또한 가장 큰 B형 소행성이기도 하다. 공전 궤도의 기울기가 34.84°에 달해 크기에 비해서도 큰 편이고 [[소행성#s-3.1|소행성대]]의 대부분의 천체들에 비해 매우 큰 경사각의 궤도를 그리고 있다. 그래서 [[돈 탐사선]]의 연장 임무 목표로 알려졌지만 궤도 경사각이 큰 편이라 많은 추력이 소모되므로 돈 탐사선으로는 도달하는 게 불가능했다. 발견은 1802년 3월 28일 올베로스에 의해 발견되었다. 사실 그 이전에 이미 한 번 [[샤를 메시에]]가 발견하여 기록한 적이 있었다. 크기는 [[베스타(소행성)|베스타]]보다는 약간 작으며 표면에 대해서도 자세히 알려진 바가 없다. [[천왕성]]과 유사하게 수직 방향으로 자전하며, 엄청난 궤도 기울기로 인하여 향후에 탐사가 이루어질 가능성은 매우 희박하다. == 팔라스 소행성족 == 대부분이 B형 소행성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심률이 높고 궤도 경사각이 큰 특징이 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의 천체가 팔라스 소행성족에 포함될 수 있다. * B형 소행성이다. * 평균 거리가 2.71 [[AU]] ~ 2.79[[AU]] 정도이다. * 주요 천체는 궤도의 기울기가 32°~34°정도이고 넓게 보면 30°~38° 사이의 소행성도 포함된다. * 주요 천체는 이심률이 0.25~0.31이며 넓게 보면 0.13~0.37 사이의 소행성도 포함된다. 애초에 팔라스처럼 궤도 경사가 큰 소행성이 많이 드문 편이고 거기다가 또 여러 조건까지 부합하는 팔라스 소행성족은 그리 많지 않다. 그러나 [[소행성#s-3.1|소행성대]] 천체 중에 거의 3분의 1이 소행성족을 가지고 있고 팔라스 같이 큰 소행성이 소행성족을 가지는 것은 이상한 일이 아니다. [[분류:소행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