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TheMysteriousAndLackadaisicalPush, 합의사항1=동물 서열을 조장하는 서술 금지)] [include(틀:넓적사슴벌레)] [[분류:넓적사슴벌레아속]][[분류:애완동물/딱정벌레목]] ||<-2> '''{{{#fff {{{+1 팔라완왕넓적사슴벌레}}}}}}'''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orcus titanus palawanicus.jpg|width=100%]]}}} || || [[학명|{{{#000 '''학명'''}}}]] || ''' ''Dorcus titanus palawanicus'' ''' || ||<-2> {{{#000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절지동물문(Arthropoda)||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곤충강(Insecta)||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딱정벌레목(Coleoptera)||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사슴벌레과(Lucanidae)||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왕사슴벌레속(''Dorcus'')|| ||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넓적사슴벌레(''D.titanus'')|| || {{{#000 '''아종'''}}} ||'''팔라완왕넓적사슴벌레(''D. t. palawanicus'')'''|| [[파일:팔라완왕넓적사슴벌레.jpg|width=400]] [[파일:팔라완왕넓적사슴벌레 암수.jpg|width=400]] 팔라완왕넓적사슴벌레 한 쌍 [목차] [clearfix] == 개요 == [[필리핀]] [[팔라완]] 섬과 그 인근 섬에 서식하는 [[넓적사슴벌레]]의 아종. 넓적사슴벌레 아종 중 최대이며 사슴벌레 과에서 손에 꼽히는 초대형 사슴벌레이다. 대표적인 산지는 팔라완 섬 중남부 브룩스포인트 근방, 간톤산, 만타리가항, 발라박섬 등이다. 크기는 수컷이 30~115 mm.[* 사육 기네스 기록은 115.3mm 야생 기네스 111 mm.] 암컷이 30~57 mm 정도이다. 공식적인 기록으로는 세계에서 3번째로 체장이 긴 사슴벌레로 알려졌다. 하지만 길이가 가장 긴 사슴벌레는 아니다. 최대 121mm까지 자라는 [[기라파톱사슴벌레]]와 2위인 [[만디블라리스큰턱사슴벌레]][* 기네스 118 mm.]가 더 길다. 체중과 체폭은 더 우월하기 때문에 이쪽이 세계 최대의 사슴벌레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큰 동물의 기준은 길이가 아닌 무게가 기준이므로. 한국의 넓적사슴벌레를 크게 키워놓은 듯, 생김새가 매우 유사하다. 대신 팔라완왕넓적사슴벌레는 넓적사슴벌레보다 덩치가 더 크며 이마방패의 간격이 넓은 데다 내치가[* 큰턱 안에 돋은 이빨 같은 부분을 지칭한다.] 한국종에 비해 더 크고 날카롭게 발달되었으므로 구분이 쉽다. 암수 불문하고 굉장히 사납다. 주변에서 움직이는 모든 것에 예민하게 반응한다. 피지컬적인 특징으로는 힘이 매우 세고 크기에 걸맞지 않게 날렵함을 들수 있다. 이로 인하여 인위적인 짝짓기를 시도할 때 암컷을 물어 죽이는 일이 잦다. 당연히 싸움 실력도 뛰어나다. 일설에 의하면 시중에 유통되는 사육산 대형 국산 넓적사슴벌레 중 이 종과 섞인 교잡개체가 있을 수도 있다고 한다. 유전자풀 오염과 생태계 교란 문제가 있지만 유전자 검사가 필요하기 때문에 일반인은 식별이 불가능하고 왕사슴벌레와 다르게 아직 확실한 증거도 없다. == 사육 == [[파일:팔라완왕넓적사슴벌레 112 mm_1.jpg|width=400]] [[파일:팔라완왕넓적사슴벌레 112 mm_2.jpg]] [[파일:팔라완왕넓적사슴벌레 112 mm_3.jpg]] [* 일본 브리더 쿠니(KUNI) 혈통의 기네스 112 mm 개체이다. 아래 사진들은 작출자인 쿠니의 이웃인 열대야의 113.2 mm. 당시 쿠니는 112 mm 개체를 우화시킨 후 기뻐했으나 자신의 제자인 열대야가 그를 넘음에 상당히 고무되었(?)다고...] 외국곤충의 수입이 금지된 국내에는 해당 사항이 없지만,[* 단순히 외국곤충이라서보단 한반도에 서식하는 [[넓적사슴벌레]](Dorcus titanus castanicolor)와 같은 종이라서 [[왕사슴벌레]]처럼 두 아종간의 교잡으로 유전자풀이 오염되는게 더 큰 문제이다. 그래서 후에 외국곤충이 수입허가가 나더라도 넓적사슴벌레와 왕사슴벌레 아종들만큼은 계속 규제될 가능성이 높다.] 해외에서의 인기는 매우 높다. [[파일:팔라완왕넓적사슴벌레 108mm.jpg]] 일본 유명 외국 사슴벌레 전문 채집가 T-TOP이 채집한 108 mm WD 개체. 100mm 이상의 야생 개체가 드문 [[수마트라왕넓적사슴벌레]]와 다르게 야생개체 임에도 100 mm가 흔한 팔라완의 가격대가 비교적 저렴하게 형성되어 있다. 대략 40~60만 원 전후이다. 하지만 흔치 않은 110mm가 넘는 개체는 100만 원을 우습게 넘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