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스타크래프트]]에서 [[프로토스]]의 전략으로, [[1게이트 로보틱스]] 상태에서 곧바로 [[로보틱스 서포트 베이]]를 건설하고 리버를 할 수있는 만큼 빨리 뽑아내는 [[빌드 오더]]이다. == 노 사업 [[1게이트 로보틱스]] → 패스트 리버 == [[더블 넥서스]]가 없는 것과 파일런의 개수를 보고서 [[1팩 더블]]이나 [[1배럭 더블]] 이후에 아카데미 건설을 해서 엔베를 짓고 스캔으로 보고 터렛을 두를수도 있기 때문에, 현재는 리버가 그냥 막히는 상황이 자주 나와서 잘 쓰지 않는다. === [[테프전]] === ==== [[전진 로보]] → 패스트 리버 ==== ===== 본진 1겟 → 전진 로보 → 패스트 리버 ===== || [[2001 SKY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2001.12.14[br]8강 B조 5경기 (사일런트 볼텍스) [[김동수(프로게이머)|김동수]] vs [[김대건(프로게이머)|김대건]] || || [youtube(-0EYF_O-NEo?start=1039)] || 최근에는 보통 리버를 사용 할 경우 원게이트 상태에서 드라군으로 상대의 정찰을 차단하고 3번째 파일런을 테란과 가까운 쪽에 전진해서 짓고 거기에 [[전진 로보틱스]]를 지어서, 셔틀이 테란이 터렛을 두르기 전에 빠르게 도달 할 수 있도록 한다. ===== 전진 1겟 → 전진 로보 → 패스트 리버 ===== ||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5]] 2006.02.10[br]8강 A조 3세트 (라이드 오브 발키리즈) [[박지호]] vs [[전상욱]] || || [youtube(i6a7V_7_C2k?start=304)] || ==== 본진 로보 → 패스트 리버 ==== ===== 본진 1겟 → 본진 로보 → [[https://www.youtube.com/watch?v=KEMRKzIZul8&t=1078s|셔틀,리버,옵]] ===== || [[2003 Mycube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2003.09.26[br]8강 A조 4세트 (신 개마고원) [[강민]] vs [[임요환]] || || [youtube(KEMRKzIZul8?start=937)] || == 사업 → [[1게이트 로보틱스]] → 패스트 리버 == === [[프프전]] === ==== 1겟 로보 → 2겟 → 패스트 리버 ==== ===== 1겟 로보 → 2겟 → 셔틀,옵,리버(선 옵 리버) ===== || [[Clubday Online MSL 2008]] [br]결승전 4세트 ([[메두사(스타크래프트)|메두사]]) [[김택용]] vs [[허영무]] || || [youtube(4bXqi6KyJeg?start=146)] || 양쪽 선수 모두 '[[https://www.youtube.com/watch?v=4bXqi6KyJeg&t=146s|코어의 건설을 시작]] → [[https://www.youtube.com/watch?v=4bXqi6KyJeg&t=185s|코어의 건설이 완료]] → [[https://www.youtube.com/watch?v=4bXqi6KyJeg&t=199s|사업]] → [[https://www.youtube.com/watch?v=4bXqi6KyJeg&t=270s|#]][[1게이트 로보틱스]][* 구조물의 건설 중 체력 수치를 참조.] → [[https://www.youtube.com/watch?v=4bXqi6KyJeg&t=288s|2겟]][* 구조물의 건설 완료 시간을 참조.] → [[https://www.youtube.com/watch?v=4bXqi6KyJeg&t=300s|옵저버토리]] → [[https://www.youtube.com/watch?v=4bXqi6KyJeg&t=320s|서포트 베이]]'까지는 흡사하다. 그러나 허영무가 앞마당 2넥을 선택한데다가 셔틀의 생산을 등한시한데다가 앞마당 넥서스를 방패막이로 활용하는 구성도 염두에 두지 않은 반면, 김택용은 '셔틀,옵,리버(선 옵 리버)'를 구성하여 승리하였다. ===== 1겟 로보 → 2겟 → 셔틀,리버(노 옵 리버) ===== ||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4]] [br]16강 C조 승자전 [[김택용]] vs [[김윤중(프로게이머)|김윤중]] || || [youtube(mCf_EgtlyzQ?start=4322)] || 김택용은 '[[https://www.youtube.com/watch?v=mCf_EgtlyzQ&t=4222s|코어]] → [[https://www.youtube.com/watch?v=mCf_EgtlyzQ&t=4262s|사업]] → [[https://www.youtube.com/watch?v=mCf_EgtlyzQ&t=4322s|로보]] → [[https://www.youtube.com/watch?v=mCf_EgtlyzQ&t=4328s|2겟]]'으로 대응하여 승리하였다. 다른 경우인 '1겟 로보 → 2겟 셔틀 옵 리버'의 경우에는 다크 등에 대처가 용이하지만, '1겟 멀티 3겟' 빌드를 상대할 때에는 약하다. 또한 상대가 '2겟 로보'를 가려다가 프로브 정찰로 상황을 파악하면 도중에 '[[3게이트 드라군]]으로 본진을 봉쇄 → 2넥 로보'로 전환해서 자원 격차가 급격하게 벌어질 확률이 매우 높다. 때문에 상대가 '1겟 2넥 → 3겟'을 시도하는 빈틈이 발견될 경우, 옵저버를 생략하고 '1겟 로보 2겟' 이후에 셔틀,리버 순서로 뽑고 압박을 가는 빌드이다. [[분류:스타크래프트/전략전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