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373a3c '''{{{+1 패왕애인}}}'''[br]覇王 ♥ 愛人}}} || || '''{{{#373a3c 장르}}}''' ||[[순정만화]] || || '''{{{#373a3c 작가}}}''' ||[[신조 마유]] || || '''{{{#373a3c 출판사}}}'''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쇼가쿠칸]][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서울미디어코믹스]] || || '''{{{#373a3c 연재처}}}''' ||[[Sho-Comi|소녀 코믹]] || || '''{{{#373a3c 레이블}}}''' ||플라워 코믹스 || || '''{{{#373a3c 연재 기간}}}''' ||[[2002년]] 5월호 ~ 2004년 8월호 || || '''{{{#373a3c 단행본 권수}}}'''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9권 ,,(2004. 05. 26. 完),,[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9권 ,,(2004. 11. 25. 完),, || [목차] [clearfix] == 개요 == 작가는 [[신조 마유]]. 믿기 힘들겠지만 일단 분류상으로는 [[순정만화]]다. 전 9권 완결. == 줄거리 == >아르바이트하고 돌아오는 길에 난데없이 수상한 남자한테 키스 당한 쿠루미. 누군가에게 쫓기던 그를 집에 데려와 상처를 치료해주는 동안, 쿠루미는 하쿠론이라고 이름을 밝힌 그를 좋아하게 된다. 그로부터 며칠 뒤, 쿠루미는 하쿠론에게 납치되어 [[홍콩]]으로 향하는 자가용 비행기 안에서 눈을 뜨는데, 과연 그의 정체는 무엇일까?! >''― [[http://www.comixest.com/manainfo.php?no=624|출처]]'' 좀 더 상세하게 풀어보자면 이렇다. 쿠루미라는 어느 소녀가 알바 후 퇴근길에서 어떠한 남자와 어깨를 부딪혀 넘어져 저녁밥이었던 [[도시락]]을 쏟게 된다. 그것에 화가 나 쿠루미가 소리 치려는 순간, 남자는 쿠루미의 [[성추행|입을 키스로 막더니]] 급기야 조용히 하지 않으면 [[강간|강제로 범하겠다]]며 협박까지 한다. 알고 보니 남자는 누군가에게 쫓기고 있었던 것. 잠시 뒤 남자를 쫓던 의문의 세력들이 잠잠해지니 그제야 남자는 언제부터 다친 상태였는지 팔에 피를 흘리며 그 자리에서 쓰러진다. 쿠루미는 당황하다 이내 담담하게 자신의 옷을 뜯어[* 이때 옷의 일부를 작게 뜯는 것이 아니라 팔 한쪽을 아예 통으로 뜯어낸다. --상여자 쿠루미--] 지혈해 주더니 남자를 자신의 집으로 데려가 치료한다. 남자는 자신의 이름을 하쿠론이라 소개하고는 또 다시 쿠루미에게 키스하는 법을 알려주겠다며 반강제로 키스하는데, 알고 보니 그것은 쿠루미를 강제로 재우기 위해 키스하는 척 입으로 수면제를 먹인 것이었다. 그렇게 수면제로 잠든 쿠루미를 뒤로 한 채 하쿠론은 자취를 감춘다. 다음 날 쿠루미는 잠에서 깬 뒤 하쿠론의 행방을 궁금해하나 이내 평소의 일상에 적응해가기 시작한다. 그러다 며칠 뒤, 쿠루미는 하굣길에서 검은 외제차와 누군가의 수행원으로 보이는 듯한 정장 차림에 선글라스를 쓴 남자들이 수두룩 학교 교문 앞에 서 있는 것을 목격한다. 쿠루미는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고 지나가려 하는데, 남자들이 잡아세우고는 밑도 끝도 없이 "모시러 왔습니다" 한 마디 하곤 쿠루미를 [[납치|강제로 차에 태운다.]] 쿠루미가 당황해 반항하자 한 남자 수행원이 쿠루미에게 조용히 해주셔야겠다며 수면제 성분이 발린 손수건으로 입을 막아 재운다. --아니...-- 그리고 잠시 뒤 눈을 뜬 쿠루미의 앞에 펼쳐진 것은 하늘과 구름 그리고 하쿠론이었다. 놀랍게도 하쿠론의 수행원들이 잠 든 쿠루미를 [[홍콩]]행 비행기에[* 그것도 무려 [[전용기]]다.] 탑승시킨 것. 그렇게 쿠루미는 '''"환영한다... 용왕사 전용기에 탑승한 걸..."''' 이라는 하쿠론의 주옥 같은 대사와 함께 뜬금없이 홍콩에 가게 된다.[* 비유적인 의미로 쓰이는 그 홍콩이 아니라 진짜로 [[홍콩]]에 간다.] 그 후 쿠루미는 홍콩에서 하쿠론의 자택인 것으로 보이는 삐까번쩍한 고층 아파트에 살게 되며 --가족들은 어쩌고?-- 하쿠론의 정체까지 알게 되는데, 알고 보니 하쿠론은 곧 [[아시아]]를 재패할 만큼의 힘을 가진 홍콩 최대 규모 [[마피아]] 조직 ''''용왕사'''' 의 탑[* 탑이라는 게 조직 내의 보스라는 건지 아니면 실력이 대단한 행동대장이라는 건지 명확하지 않다. 그냥 탑이라고만 불린다.]이었다는 것. 이것이 이 만화의 도입부다. --도입부부터 골 때린다-- 이 이후에도 골 때리는 내용들이 계속 나온다. 홍콩 최대 규모 마피아의 탑이라는 하쿠론의 나이는 고작 18살이며, 마피아라는 정체를 숨기고 홍콩의 학교에 다니는 중이란 어이 없는 설정이 나온다. 더 웃긴 건 주인공 쿠루미는 [[일본]]에서 홍콩으로 납치되어 온 상태인데도 어떻게 입학 절차를 밟은 건지 하쿠론과 함께 같은 학교에 다니며, 이 학교에는 하쿠론을 보좌하는 사천왕이란 존재들이 각각 학생과 교사로 위장해있다. 이 외에도 하쿠론이 마피아 보스이다 보니 쿠루미와 놀이공원에서 데이트를 하다 저격을 당할 뻔한 위기를 겪기도 하고,[* 전설의 그 [[창작물의 반영 오류|오류]] 투성이인 저격수 씬이 바로 이것이다.] 학교에서도 쿠루미를 증오하는 한 부잣집 여학생의 사주로 남학생 무리들이 쿠루미를 납치해 [[폭행]]을 동반해 덮치려는 장면까지 등장하며, 이해하기 힘든 감정선으로 한 캐릭터가 죽임을 당하거나 쿠루미가 계단에서 넘어져 [[기억상실]]증에 걸리기도 하는 등 [[인소]]급으로 자극적이고 난해하고 유치한 전개가 계속해서 펼쳐진다.[* 짤막한 개그도 하나하나 골때리는데 쿠루미가 부끄러워서 홍조를 띄자 하쿠론이 머리 식혀주겠다고 들고있던 음료수를 끼얹고는 미네랄 워터라 끈쩍거리지 않을거라고 웃는다.(...) 일단 쿠루미도 이게 하쿠론이 일부러 장난치는거란걸 알고 있고 하쿠론이 웃는 모습은 드물기에 같이 웃어넘겼지만.] 결말도 나름 충격적이게 끝나게 되는데, 바로... ===# 결말 #=== '''하쿠론이''' 쿠루미와의 결혼식 입장을 앞두고 '''총에 맞아 죽는다'''는 것. 쿠루미와 놀이공원에서 데이트 할 적만 해도 멀리서 저격해오는 살인 청부업자조차 어떻게든 귀신 같은 감으로 알아채 한 방에 권총으로 쏴 제압한 하쿠론이었는데, 결혼식장인 교회 앞에서 난데없이 난입한 한 남자[* 이 남자는 '카파이'라는 아이이다. 스토리 중반부쯤 쿠루미가 살인을 일삼는 하쿠론에게 크게 실망해 --그럼 마피아인데 어쩌란 건지...-- [[가출]]하였을 때 만난 남자 아이다. 어머니가 운영하는 가게에 종업원으로 일하고 있으며, 갈 곳 없는 쿠루미를 알바생으로 맞아 함께 지내다가 결국 쿠루미를 좋아하게 되고, 쿠루미도 카파이에게 마음을 열어갈 때 쯤 하필 하쿠론이 찾아와 쿠루미를 데려가버려 쿠루미와의 사랑을 이루지 못한 인물. 이때 하쿠론이 굳이 한술 더 떠 쿠루미를 다시 데려가는 것과 동시에 카파이까지 납치해가서는 카파이의 몸과 입을 구속시키곤 자신과 쿠루미가 관계하는 모습을 강제로 보여준다. 그러면서 하쿠론은 카파이에게 '나에게서 쿠루미를 뺏아보라, 나를 뛰어넘어 보라'며 도발하는데, 이것이 카파이 마음 속에 하쿠론을 향한 증오심을 싹트게 했고, 하쿠론을 죽이겠다 마음 먹게 한 것이다. 하쿠론을 쏠 때의 카파이의 의상을 보면 모자까지 갖춰쓴 제복의 모습인데, 이것이 그새 카파이가 [[경찰]]이 되었음을 작가가 표현하고 싶었던 것인지 뭔지 확실하지가 않다. 아무튼 한 마디로 하쿠론의 죽음은 그냥 하쿠론이 자신이 자초한 셈.]에게 권총 맞고 죽는다. 천하의 [[신조 마유]] 작가도 이 전개만큼은 개연성이 떨어진다고 생각했는지, 이를 보완하는 장면을 여럿 넣었다. 하쿠론이 자신들의 부하 사천왕들에게 "쿠루미와 둘만의 결혼식을 올리고 싶어. 귀찮은 건 사절이다." 라며 경비도 호위도 결혼식에 배치하지 말라고 말하는 장면, 결혼 당일에도 "나는 한 사람의 남자로서 결혼을 하고 싶은 것이니 호신용 권총은 필요 없다"며 수행원에게 권총을 맡겨두는 장면 등 결혼식엔 쿠루미와 하쿠론 단 둘만 있을 것이고, 그 어떠한 호위도 호신용품도 없단 것을 보여주는 내용을 여러 차례에 걸쳐 그려놓았다. --아니 아무리 그래도 그렇지 오지 말랬다고 진짜 아무도 안 오냐...-- 권총에 맞아 죽어가는 하쿠론의 모습도 압권인데, 가슴에 피가 나는 것을 보아 [[심장]]에 맞은 게 분명한데도 하쿠론은 즉사하지 않고 끝까지 표정 하나 변하지 않은 채 똥폼 잡으며 걸어다닌다. 심지어 쿠루미에게 마지막으로 전해줄 들꽃까지 꺾어 결혼식장인 교회로 들어간다. 기척을 듣고 쿠루미는 반갑게 돌아봤다가 이내 피범벅 된 하쿠론의 모습을 보고 놀라며 구급차를 부르자고 소리친다. 그러자 하쿠론은 가지 말고 내 곁에 있어달라며 손을 뻗는데, 이상하게도 바로 옆에 쿠루미가 있음에도 허공에 손을 뻗는다. 그 순간 쿠루미가 슬퍼하며 "안 보여요?" 라고 묻는데... --하...-- 그렇다. 도대체 어떻게 된 까닭인진 모르겠지만 하쿠론은 '''심장에 총을 맞으면서 시력까지 상실'''했던 것(...) 그러다 하쿠론은 마침내 고통스러운지 쿠루미에게 어깨를 빌려달라고 하며, 쿠루미와 하쿠론은 교회 한 켠에 앉아 이런저런 담소를 나눈다. --그러고 있을 시간에 병원을 가...-- 피범벅이 된 남편을 어깨에 기대놓고는 웃으면서 "하쿠론이 건강해지면 다시 결혼식을 올려요!", "애들은 많이 갖고 싶어요!", "[[요리]]도 많이 배울 거예요" 라고 얘기하는 쿠루미는 약간 무서울 정도... 아무튼 그런 쿠루미의 수다를 들으며 하쿠론은 눈물을 흘리며 조용히 눈을 감고, 쿠루미는 하쿠론에게 죽지 말라며 절규한다. 그 후 3년 뒤 모습이 전개되는데, 쿠루미는 [[일본]]에 돌아와 식당을 차려 생계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던 어느 날 용왕사의 사천왕들이 쿠루미의 가게로 찾아와 올해의 하쿠론 추도식만큼은 찾아와달라 이야기하고, 그렇게 3년만에 추도식 참석을 위해 홍콩을 찾은 쿠루미는 하쿠론과 결혼식을 올리려던 교회 역시 찾아가본다. 거기서 추억을 회상하며 눈물을 흘리던 쿠루미는 다시금 하쿠론을 위해 웃으며 살겠다며 웃어보이고는 마중 나온 사천왕들과 함께 퇴장한다. 그런 쿠루미의 뒷모습을 하쿠론의 환영이 지켜보고 미소 지으며 완결. --여러 모로 처음부터 끝까지 실소가 터지는 막장 전개...-- == 특징 == 한 줄로 정리하면 매일 [[성관계|쿵떡쿵떡을 친다는]] 내용. 심의 기준이 대체로 낮은 [[순정만화]]답게 직접 삽입 장면의 묘사는 없지만 대신 교묘한 [[성관계|섹스]]신이 많이 나오며, 여주인공의 [[유두]]도 노출된다. 게다가 스토리 전개 또한 주옥 같은 대사로 가득 차있으며, 일본인들조차 이해하기 힘든 내용이 쏟아진다. '''어쨌든 진행시키고 보는''' 전개와 '''어쨌든 던지고 보는''' 대사와 '''어쨌든 그려놓기는 하는''' 작화와 상황이 '''어쨌든''' 안드로메다로 '''뭐가 되든 간에''' 날아가는 내용. DC 떡밥이라고 재미 없을 거란 인상이 퍼져있지만, 한 번쯤 보고 정신이 붕괴되어 보는 것도 좋다. 사실 센스가 괴상해서 그렇지 의외로 재미있고 그림도 평균 이상은 된다. 작가의 다른 작품 <러브 세레브>에서 밝혀진 바에 따르면 [[쾌감 프레이즈]]와 패왕애인과 러브 세레브는 동일 세계관이다. 러브 세레브를 기준으로 쾌감 프레이즈는 이미 완결된 이야기고, 패왕애인은 작품 내용이 시작되기 전이다. 2005년에 투표로 뽑힌, [[만화 갤러리|DC 만화 갤러리]]의 [[만화 갤러리#s-4.4.1|소문난 떡밥 만화]] 중 하나였다. 대사, 컷, 전개 하나하나가 전혀 이해할 수 없다. 특히 그 [[창작물의 반영 오류|저격 장면]] 덕에 군필에게 추천하면 파괴력이 업그레이드 된다. 사실 이 만화는 다른 [[만화 갤러리|만갤]] 추천작에 비해선 꽤 정상인 편으로, 잘 생각하면 그나마 견디고 넘길 수 있다. 그러나 다른 건 일단 사람에 따라서는 책임 못 진다. 그 외에 인터넷에 화제가 되는 것은 위에서 언급했듯이, 이 대사나 스토리보다는 아래 장면의 [[소총/사격술#s-2.7|이상한 사격 자세]]일 것이다. [[파일:attachment/gunmipil.jpg]] [* 그림에서 묘사한 총기는 [[XM177]]로 추정된다. [[M16 소총]]이 제식화된 직후 [[베트남전]]의 특수전에 사용될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나, 정식 채용되지는 못했다(XM은 시험 개발품이라는 의미). 거대한 소염기가 특징으로 [[K1 기관단총|K1A 기관단총]]의 소염기에 큰 영향을 끼쳤다. [[M4 카빈]]의 선배 격으로, 비교하자면 M4보다 총열덮개(핸드가드)가 얇은 편이다.] 해당 장면을 지적하는 사람이 많아지자 작가는 직접 모델건을 구매하고 다음과 같은 후기를 남겼다. >"스나이퍼 라이플 무겁잖아! 어깨에 안 올리면 쏠 수가 없어! 색히들아! 내가 정의다!!" >- [[https://twitter.com/shinjomayu/status/22851791974|원문]] 대단한 팬 서비스 정신.[* [[H&K PSG1]]은 실총 기준으로 8.1kg이니까 실제로 무거운 총이 맞다. 다만 원본 만화에서 쓰인 총은 총열덮개 길이라든가 소염기 쪽 모양새 등을 봤을 때 M16A2가 아니라 [[XM177|XM177E2]]로 추정되는데, XM177E2의 무게는 2.43kg으로 매우 가벼운 소총이다.] 사실 총기 관련 지식 없이 소총을 들 경우 저 자세를 취하는 경우가 의외로 꽤 있다. 보기보다 무거운 데다 어쨌든 조준을 위해서 눈은 바짝 갖다 대야 한다는 생각 때문인 듯. 물론 실제로 저런 자세로 사격을 했다가는 한 발 쏘는 순간 뒤로 밀린 총에 자기 눈이 실명할 수가 있다(...). 한국과 달리 [[일본]]은 징병제가 아니어서 저 자세를 교정해줄 수 있는 사람도 적고,[* 사실 그보단 작가가 밀리터리 오타쿠가 아니었던 점이 더 크다. 일본이 징병제 국가는 아니지만 밀덕이라면 만만찮게 존재하는 나라인지라 작가들 중에도 밀덕은 많이 있고, 이런 사람들은 최신 유행하는 장비나 자세까지 나름 재현하는 편이다.] 오락실에서도 체구가 작은 여성 게이머들이 총이 너무 큰 건슈팅 게임을 할 때 이런 자세를 취하기도 한다. 거기다 조준경도 안 달린 총을 가늠자로 조준하고 있는데 웬 크로스헤어가 보인다는 문제도 있다. 사실 조준경이라고 해도 저렇게 아담하게 십자에 원 붙은 크로스헤어가 보이는 물건은 없고, 무슨 스나이퍼 라이플을 쓴 것도 아닌데 먼 곳에 있는 표적의 얼굴이 저렇게 확대되어 나올 리도 없다. 현실에서 비슷한 자세로 어깨에 살짝 개머리판을 걸치다시피 하고 쏘는 자세가 있기는 한데, 방탄복이 두꺼워서 긴 개머리판으로는 견착이 애매할 때 쓰는 자세다. [[http://bbs.ruliweb.com/community/board/300713/read/30708818|이 링크]]에서는 기동성을 위한 조준법이라고 하는데 잘못된 설명이다. 다만 그린베레 원사 출신 CIA 컨트랙터의 설명을 들어보면 기동성을 위함이기도 한 것 같다. [[https://www.youtube.com/watch?v=efKvIG9H-Aw|링크]]. 2000년대 초반 정도에는 드물게 보였는데 이후로는 방탄복도 견착이 쉽게 나오고[* 90년대 RBA 같은 경우는 견착 문제로 방탄판의 오른쪽 위 귀퉁이를 살짝 잘라놓기도 했다. [[https://en.wikipedia.org/wiki/Ranger_Body_Armor#/media/File:Ranger_Body_Armor_(PS-930).jpg|이미지]].] 개머리판이 길이 조절이 되는 총도 많아서 구형 장비를 여전히 쓰는 경우가 아닌 한 보기 어려워졌다. 그리고 이 경우도 어깨 위에 올리는 게 아니라 반 정도만 갖다대는 거라 일단 반동 흡수 목적에는 부합한다. 국내뿐만 아니라 [[일본]] 현지에서도 히트를 쳤으며 '간단하군'의 원어 'ちょろいもんだぜ'는 구글 자동검색어에도 올라가있다. 2022년에 기어코 굿즈화까지 됐다. 신조 마유 본인의 자학 섞인 트윗과 함께 친히 자세를 재현해주는 서비스를 선보였다.[[https://twitter.com/shinjomayu/status/1543120681990508544?t=yLjKMdxsbe51k3GYWshJSw&s=19|#]] == [[패러디]] == 위의 장면을 [[칼카나마]]가 3월 22일자 LFP Weekly에서 [[패러디]]해 선량한 남성들에게 [[충격과 공포다 그지 깽깽이들아|충공깽]]을 주었다. [[http://sports.news.nate.com/view/20110322n06584?mid=s1004&isq=4562|보러가기]]. [[http://sports.news.nate.com/view/20121009n08721?mid=s1004&isq=3906|2012년에도 한 번 더 써먹었다]]. 이 장면을 문택수가 10월 9일 [[우리들은 푸르다]]에서 패러디해 댓글란은 혼돈에 빠졌다.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243315&no=54|보러가기]].[* "미필의 자세네" 나 "갑자기 얼굴이 달라졌음ㅋ" 이런 반응. 중간중간에 패왕애인이나 그 패러디를 아는 뉘앙스 댓글 또한 있다.] [[불암콩콩코믹스]]에서는 [[http://sports.news.nate.com/view/20121019n04264?mid=s1004|유광잠바를 입은 두 개의 심장을 지닌 하이브리드 바깥양반 잉금 앉아쏴를 쓰러뜨릴 때 전준우가 취한 사격 자세]]로 나왔다. [[코즈믹 브레이크]]의 린카 링크스 [[http://www.pixiv.net/member_illust.php?mode=medium&illust_id=34609080|버전(일본산)]]. 코브의 핸드머신건은 생긴 것도 짜리몽땅해 다소 우스꽝스럽지만, 머신건 중에서도 가장 등급이 낮아서 칼 닿는 거리 밖에서 쏘면 안 맞는 무기다(...) [[http://bbs2.ruliweb.daum.net/gaia/do/ruliweb/default/community/325/read?articleId=23932753&bbsId=G005&itemId=143|그리고 견착 방법을 알게 된 작가지만 다음 만화에서도 거짓말 같이...]] [[파일:topgang.png|width=50%]] 인디 공포 게임 '''[[사이코로사이코]]'''에서도 비슷한 장면이 나왔다. 위 장면은 1편의 배드 엔딩 중 하나로, 패러디인지는 불명이며 단순히 [[CHARON|제작자]]가 이 작가처럼 견착법을 몰라서 저렇게 그렸을 가능성이 높다. 차이점이라면 저격하는 상황이 아니고 총기류가 샷건이며, 쇄골로라도 견착을 하고 있다는 점이다. 팔다리의 길이가 이상하다든가, 이상한 회피 동작을 취한다든가 하는 등등 짤방이 주가 된다. 패왕애인 꺽다리 댄스는 이미 세계적으로 유명하다. [[파일:attachment/1211175704_dlanjqud.gif]] [[이런 영웅은 싫어]]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400742&no=19|18화]]에서는 콤비네이션 타격기(...)로 등장. ~~근데 묻혔다~~ [[이말년씨리즈]]에서도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03759&no=125|패러디]]했다! 여기서는 회피 테크닉. 참으로 기술적인 범용성이 뛰어나다. * [[http://bbs2.ruliweb.daum.net/gaia/do/ruliweb/family/217/read?articleId=13583665&objCate1=&bbsId=G005&searchKey=daumname&itemGroupId=&itemId=64&sortKey=depth&searchValue=alice2&platformId=&pageIndex=1|하리랑 에그타르트 팬아트]]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597466&no=7&weekday=thu|매지컬고삼즈]] * [[http://horobi.egloos.com/5724201|스랄 횽님도 가능하다]]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58526&no=112&weekday=mon|연민의 굴레]] [[디시인사이드]] [[게임 갤러리]]에서는 두 장면 모두 'XCOM: Enemy Unknown' 으로 패러디되었다. 일명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game1&no=1175989|패왕씬맨]]. 2014년에 [[라인(메신저)|라인]] [[http://nlab.itmedia.co.jp/nl/articles/1403/24/news105.html|스탬프]]가 발매되었다. [[분류:2002년 만화]][[분류:일본 만화/목록]][[분류:일본 로맨스 만화]][[분류:디시인사이드]][[분류:짤방/만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