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건국의 아버지들)]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D1635 0%, #0D164A 20%, #0D164A 80%, #0D1635)" '''[[주지사|{{{#ffc224 초대·6대 버지니아 주지사}}}]][br]{{{#ffc224 {{{+1 패트릭 헨리}}}[br]Patrick Henry}}}'''}}}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440px-Patrick_henry.jpg|width=100%]]}}} || ||<|2> '''출생''' ||[[1736년]] [[5월 29일]] || ||[[그레이트브리튼 왕국]] [[13개 식민지|버지니아 식민지]][br]하노버 카운티 스터들리[* 現 [[미국]] [[버지니아|버지니아 주]] 스터들리] || ||<|2> '''사망''' ||[[1799년]] [[6월 6일]] (향년 63세) || ||[[미국]] [[버지니아 주]] 브루크닐 || ||<|3> '''재임기간''' ||초대·6대 버지니아 주지사 || ||[[1776년]] [[7월 5일]] ~ [[1779년]] [[6월 1일]] || ||[[1784년]] [[12월 1일]] ~ [[1786년]] [[12월 1일]] || || '''서명''' ||[[파일:Patrick_Henry_Signature.png|width=150&bgcolor=#fff]] || [목차] [clearfix] == 개요 == >Give me liberty, or give me death! > 나에게 자유를 달라, 아니면 죽음을 달라! [[미국]]의 [[정치인]]. 일명 건국의 아버지들 중 한 명이다. 변호사였던 그는 영국을 상대로 한 각종 소송을 맡았고 영국의 식민지정책을 비판하며 독립론자들의 지도자들 중 한 명이 되었고 독립전쟁 당시 버지니아군의 사령관으로 활약하였다. 이후 초대 버지니아 주지사를 맡았으며 독립이 된 후에 6대 버지니아 주지사를 맡게 되었다. == 생애 == 1736년 5월 29일 버지니아 식민지 하노버 카운티의 스터들리라는 곳에서 군인과 재판관 등을 지냈던 스코틀랜드계 출신인 존 헨리의 아들로 태어났다. 근처의 학교에서 초등교육을 받은 그는 아버지로부터 개인교습을 받으며 자랐고 농사도 하고 상점도 운영을 하며 젊은 시절을 보냈다. 1754년에는 새러 셸턴과 결혼을 하였고 그 후 변호사가 되기 위해 법률을 공부하기 시작하였다. 그 후 1760년에 변호사 면허를 얻게 되면서 그는 변호사의 길을 걷게 되었다. 변호사였던 그는 날렵한 기지와 타고난 웅변술 등을 이용하여 각종 소송들을 모두 승소로 이끌게 되었다.[*출처 [[http://premium.britannica.co.kr/bol/topic.asp?article_id=b25h0719a|패트릭 헨리-브리태니커온라인]]] 그가 활약한 대표적인 소송사건은은 바로 '사제의 소송'이었다. 그가 맡았던 소송은 흉년으로 인해 담배가격이 급상승하자 사제의 봉급을 인상시키며 담배가 아닌 현금으로 지급하게 한다는 법을 다룬 것이었다. 당시 영국은 이를 허락하고 있지 않았으며 이에 패트릭 헨리는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양도할 수 없는 권리를 가지고 태어났다는, 기본권이라는 개념을 제시하였고 이를 통해 그는 승소할 수 있게 되었다.[*출처] 그 후 헨리는 본격적으로 영국에 맞서는 행보를 보이기 시작하였다. 1765년 버지니아 식민지 의회에 하원의원이었던 그는 영국이 식민지에 대해 제정한 인지세법을 강력히 비판하고 나섰고 동시에 영국의회에 식민지세력을 대표하는 목소리가 없다면서 식민지의회에게 독자적인 입법권을 부여해야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영국에서 거의 모든 문제에서 초강경적 입장을 취했고 이로 인해서 반역자라는 공격도 받았다.[*출처] 이후 그는 미국의 독립을 주장하며 대영강경론자들의 지도자들 중 한 사람으로서 영향력을 지니게 되었다. 그는 버지니아 연락위원회의 위원을 맡아 각 식민지간의 협력과 연락을 위해 노력하였으며 [[보스턴 차 사건]]이 일어나자 영국이 만든 악법들을 철폐시키기 위해 1774년에 개최된 대륙회의에 버지니아 주 대표로 참석하였다. 1775년 영국과의 전쟁을 코앞에 둔 상황에서 헨리는 버지니아 민병대를 창설해야한다고 주장하였고 '''나에게 자유를 달라, 아니면 죽음을 달라'''는 유명한 어록을 남기게 되었다. 이후 버지니아 민병대가 창설되었고 패트릭 헨리는 버지니아군의 사령관으로 임명되어 [[미국 독립 전쟁]]에서 활약하였다. 1776년에 그는 버지니아 주헌법의 작성에 참여하였고 같은 해 버지니아 주지사로 선출되어 3년간 주지사로서 재직하였다.[*출처] 1780년 주의회에 진출한 이후 4년간 공직에서 활동하였고 1784년에 다시 주지사로 선출되었다. 한편 이 시절 반연방주의자였던 그는 연방헌법 비준에 반대하고 나섰다. 주지사에서 물러난 후 1787년에 그는 다시 주의회에 진출하였다. 1799년 그는 다시 주의원 후보로 출마하였고 당선되었으나 임기가 시작되기도 전에 브루크닐에 있던 자신의 집에서 위암으로 사망하였다.[*출처] [[분류:건국의 아버지들]][[분류:미국의 남성 정치인]][[분류:버지니아 주지사]][[분류:해노버 카운티 출신 인물]][[분류:1736년 출생]][[분류:1799년 사망]][[분류:위암으로 죽은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