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NGC|{{{#FFFFFF '''NGC/IC 천체'''}}}]] || ||<:> [[NGC 280|{{{+1 '''NGC 280'''}}}]][br]안드로메다자리의 정상나선은하 ||<:> {{{+1 ←}}} ||<:> {{{#000000 {{{+1 ''' NGC 281'''}}}[br]카시오페이아자리의 발광성운 }}} ||<:> {{{+1 →}}} ||<:> [[NGC 282|{{{+1 '''NGC 282 '''}}}]][br]물고기자리의 타원은하 || ||<:> [[IC 10|{{{+1 '''IC 10'''}}}]][br]카시오페이아자리의 불규칙은하 ||<:> {{{+1 ←}}} ||<:> {{{#000000 {{{+1 ''' IC 11'''}}}[br]카시오페이아자리의 발광성운 }}} ||<:> {{{+1 →}}} ||<:> [[IC 12|{{{+1 '''IC 282 '''}}}]][br]물고기자리의 정상나선은하 || ||||<-3><:> {{{#FFFFFF '''NGC 281'''[br]{{{+3 '''[[팩맨|{{{#FFFFFF 팩맨}}}]] 성운'''}}}[br]Pacman Nebula}}} || ||<-3> [[파일:PacMan_Nebula.jpg|width=300%]] || ||<-3> {{{#FFFFFF '''관측 정보'''}}} || ||<|3> {{{#FFFFFF '''위치'''}}} || {{{#FFFFFF 적경}}} || 00h 52m 59.3s || || {{{#FFFFFF 적위}}} || +56° 37′ 19″ || || {{{#FFFFFF 별자리}}} || [[카시오페이아자리|{{{#3366aa 카시오페이아자리 }}}]] || ||<-3> {{{#FFFFFF '''물리적 성질'''}}} || ||<-2><:> {{{#FFFFFF '''형태'''}}} || [[발광성운|{{{#3366aa 발광성운}}}]] || ||<-2> {{{#FFFFFF '''거리'''}}} || 약 9,500 [[광년|{{{#3366aa 광년}}}]][br] 2,900 [[파섹|{{{#3366aa 파섹}}}]] || ||<-3> {{{#FFFFFF '''광학적 성질'''}}} || ||<-2> [[겉보기 등급|{{{#FFFFFF '''겉보기 등급'''}}}]] || ?[* 알려지지 않았으며 대부분의 사이트에 있는 7.4의 겉보기 등급은 팩맨 성운 내부에 있는 IC 1590 성단의 겉보기등급으로 성운의 겉보기등급과는 관련이 없다.] || ||<-3> {{{#FFFFFF '''규모'''}}} || ||<-2> {{{#FFFFFF '''지름'''}}} || 96 [[광년|{{{#3366aa 광년}}}]][br] 14.7 [[파섹|{{{#3366aa 파섹}}}]] || ||<-2> {{{#FFFFFF '''겉보기 크기'''}}} || 35' || ||<-3> {{{#FFFFFF '''명칭'''}}} || ||<-3> 팩맨 성운, [[NGC|{{{#3366aa NGC}}}]] 281, [[IC |{{{#3366aa IC }}}]]11, [[Sh2]]-184, LBN 616, LBN 123.17-06.28 || [목차] == 개요 == {{{+1 Pacman Nebula/NGC 281}}} 팩맨 성운(NGC 281)은 [[카시오페이아자리]]방향으로 약 9,500 광년 떨어진 [[발광성운]]이다. == 상세 == E.E 바너드가 1883년에 발견했으며 태양이 위치한 나선팔인 오리온자리 팔이 아닌 [[이중성단]], [[하트성운]]등이 있는 페르세우스자리 팔에 위치해 있다. 성운은 880 광년에 이르는 분자운 복합체의 일부로 추정되며 대략 440만년 전에 분자운 복합체의 성간가스와 [[O형 주계열성]]이 폭발하면서 생긴 [[초신성잔해]]가 서로 충돌하면서 성운이 처음 만들어졌다고 추정된다. 이 과정에서 발생한 [[O형 주계열성]]과 [[B형 주계열성]]이 100만년 전쯤에 연쇄적으로 폭발하면서 [[G형 주계열성]]등의 저질량항성들이 생성되기 시작했다고 한다. 그때문에 중심 성단인 IC 1590에는 과거에 생성된 [[O형 주계열성]]과 최근에 생성된 [[B형 주계열성]] 및 저질량 항성의 나이와 금속량등이 다르다고 한다. 성운은 중심에 위치한 [[전리수소영역]]과 [[산개성단]] IC 1590, 팩맨 모양의 입부분에 위치한 서쪽 분자운(NGC 281 West), 성운의 서쪽 끝에 위치한 분자운(NGC 281 East)[* 상술한 두 분자운의 방향과 명명된 이름의 방향이 다른데 이는 성단을 기준으로 분자운의 이름을 지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되지만 확실한 정보가 없다.]으로 3개의 주요 하위 성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외에도 성운 북서쪽과 북동쪽 끝부분에도 분자운이 있으나 잘 알려지진 않았다.] 이중 산개성단 IC 1590에서 나오고 있는 [[자외선]]으로 인해 분자운과 전리수소영역이 분산되고 있어 향후 500만년 안에는 성간가스가 완전히 흩어져 성운이 사라질 것이라고 한다. == IC 1590 == ||<-5><:> [[IC-|{{{#FFFFFF '''IC 천체'''}}}]] || ||<:> [[IC 1589|{{{+1 '''IC 1589'''}}}]][br]조각가자리의 이중성 ||<:> {{{+1 ←}}} ||<:> {{{#000000 {{{+1 ''' IC 1590'''}}}[br]카시오페이아자리의 발광성운 }}} ||<:> {{{+1 →}}} ||<:> [[IC 1591|{{{+1 '''IC 1591 '''}}}]][br]고래자리의 막대나선은하 || ||||<-3>
<:> {{{#FFFFFF {{{+3 '''IC 1590'''}}}}}} || ||<-3> [[파일:The_Pacman_Nebula.jpg|width=300%]] || ||<-3> {{{#FFFFFF '''관측 정보'''}}} || ||<|3> {{{#FFFFFF '''위치'''}}} || {{{#FFFFFF 적경}}} || 00h 52m 49.0s || || {{{#FFFFFF 적위}}} || +56° 37′ 42″ || || {{{#FFFFFF 별자리}}} || [[카시오페이아자리|{{{#3366aa 카시오페이아자리 }}}]] || ||<-3> {{{#FFFFFF '''물리적 성질'''}}} || ||<-2><:> {{{#FFFFFF '''형태'''}}} || [[발광성운|{{{#3366aa 발광성운}}}]] || ||<-2> {{{#FFFFFF '''거리'''}}} || 약 9,500 [[광년|{{{#3366aa 광년}}}]][br] 2,900 [[파섹|{{{#3366aa 파섹}}}]] || ||<-3> {{{#FFFFFF '''광학적 성질'''}}} || ||<-2> [[겉보기 등급|{{{#FFFFFF '''겉보기 등급'''}}}]] || 7.4 || ||<-3> {{{#FFFFFF '''규모'''}}} || ||<-2> {{{#FFFFFF '''지름'''}}} || 21 [[광년|{{{#3366aa 광년}}}]][br] 6.5 [[파섹|{{{#3366aa 파섹}}}]] || ||<-2> {{{#FFFFFF '''겉보기 크기'''}}} || 6.3' || ||<-3> {{{#FFFFFF '''명칭'''}}} || ||<-3> [[IC |{{{#3366aa IC }}}]] 1590, [[콜린더 목록|Cr]] 8 || === 개요 === {{{+1 IC 1590}}} IC 1590은 팩맨성운(NGC 281) 내부의 [[산개성단]]이다. == 상세 == 앞서 NGC 281의 상세 문단에서 상술했듯 1차적으로 발생한 나이가 많은 [[O형 주계열성]], [[B형 주계열성]] 및 극소수의 저질량 항성들로 구성된 하위 성단과 후에 생성된 저질량 항성들과 [[B형 주계열성]]으로 구성된 하위 성단으로 나눌 수 있으며 그중 전자는 NGC 281의 전리수소영역 중간에 위치하고 있으며 후자는 NGC 281의 전리수소영역과 북서쪽, 북동쪽에 위치한 분자운 경계에 위치해 있다고 한다. 1차적으로 형성된 성단은 사실상 NGC 281을 이온화시키는 성단으로 350만년의 나이를 가지고 있으며 성단에서 가장 밝은 항성은 7.78등급의 [[O형 주계열성]]으로 구성된 사중성계인 HD 5005이다. 이 HD 5005는 성단의 중앙 지역에 성간먼지와 가스를 전부 밀어내버린 주범이라고 한다. 두번째로 형성된 성단은 서쪽 분자운과 전리수소영역 사이에 위치해 있으며 상술한 HD 5005가 속해 있는 하위 성단과는 분리되어 있다고 한다. 또한 이 두번째로 형성된 성단은 북쪽과 남쪽에 위치한 성단으로 한번더 나눌 수 있다고 하며 이 두 성단은 서로 생성 원인이 다른 분리된 항성이라고 한다.[* 상술한 두 성단중 전자는 서쪽 분자운의 북동쪽과 북서쪽 경계에 위치해 있으며 후자는 서쪽 분자운의 남쪽 경계에 위치해 있어 서로 다른 원인으로 생성된 개별적인 성단이라고 한다. ] 상술한 두 하위 성단(IC 1590)이외에도 NGC 281 내부의 분자운들인 서쪽 분자운, 동쪽 분자운에서도 별 생성이 일어나고 있으며 이 분자운들 별 형성과 IC 1590간에 관련이 있는지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다만 IC 1590에서 시작된 이온화 전선이 14광년 떨어진 젊은 성단의 남쪽 경계에 위치한 하위 성단으로 이동할려면 젊은 성단 내부의 전주계열성의 나이가 최소 50만년이내여야 하지만 측정결과 55만년이라는 나이를 가지고 있어 관련이 없다는 주장이 우세하다. 하지만 북동쪽, 북서쪽 경계에 위치한 하위 성단은 이온화 전선의 도달 시간과 나이가 거의 일치해 IC 1590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앞의 각주에서 얘기했듯 IC 1590과 북서쪽, 북동쪽 경계에 위치한 하위 성단은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것으로 거의 확정되었지만 남쪽 경계에 위치한 성단의 발생 기원은 아직도 미궁에 빠져 있으며 아마 성운의 기원이 되는 초거품과는 다른 이미 사라져버린 초거품이 성운을 통과하면서 충격파가 발생해 이온화되면서 별 형성이 시작되었다는등 추측만 하고 있는 중이라고 한다.] 또한 아직도 활발한 별 형성을 하고 있는 만큼 성단 내부[* 대부분이 최근에 형성된 성단에 위치해 있으며 동쪽 분자운, 서쪽 분자운에도 몇개의 전주계열성과 [[보크 구상체]]가 위치해 있다.][* 동쪽 분자운과 전리수소영역의 경계에 위치해 있는 전주계열성의 나이는 100만년으로 어린 반면 성단 내부에 위치한 전주계열성의 나이는 100만년에서 150만년 사이, 서쪽 끝부분에 위치한 전주계열성의 나이는 200만년으로 꽤나 차이가 크며 이는 과거 폭발한 1세대 항성들의 폭발 잔해와 동쪽, 서쪽에 위치한 분자운이 서로 충돌하면서 2차적으로 별 형성이 시작되었다는 가설의 결정적인 증거중 하나라고 한다.]에는 수많은 원시성과 전주계열성이 있으며 이 YSO(젊은 항성체)들중 일부는 먼지디스크를 가지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IC 1590의 중심에 위치한 늙은 하위 성단에서는 질량분리[* 항성들간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무거운 항성은 성단의 중심으로, 가벼운 항성은 성단의 바깥쪽으로 이동하는 현상이다.]가 일어난 것이 밝혀졌는데 정작 관측결과에서는 질량분리된 성단의 특징들[* 항성들간의 에너지 균등 분배등이 있다.]이 IC 1590에선 발견되지 않았다. 이는 아직까지 이유가 밝혀지지 않았다. == 다른 천체 목록 == === NGC 281 === ||<-5><:> [[샤플리스 목록|{{{#FFFFFF '''샤플리스 천체'''}}}]] || ||<:> [[Sh2-183|{{{+1 '''Sh2-183'''}}}]][br]카시오페이아자리의 발광성운 ||<:> {{{+1 ←}}} ||<:> {{{#000000 {{{+1 '''Sh2-184'''}}}[br]카시오페이아자리의 발광성운 }}} ||<:> {{{+1 →}}} ||<:> [[Sh2-185|{{{+1 '''Sh2-185'''}}}]][br]카시오페이아자리의 반사성운 || === IC 1590 === ||<-5><:> [[콜린더 목록|{{{#FFFFFF '''콜린더 천체'''}}}]] || ||<:> [[Cr 7|{{{+1 '''Cr 7'''}}}]][br]카시오페이아자리의 산개성단||<:> {{{+1 ←}}} ||<:> {{{#000000 {{{+1 ''' Cr 8'''}}}[br]카시오페이아자리의 산개성단 }}} ||<:> {{{+1 →}}} ||<:> [[Cr 9|{{{+1 '''Cr 9'''}}}]][br]카시오페이아자리의 산개성단 || == 관련 문서 == * [[성운]] * [[카시오페이아자리]] * [[NGC]] [[분류:나무위키 천문학 프로젝트]][[분류:성운]][[분류:NG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