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팰컨 9/버전 및 발사 기록)] [include(틀:스페이스X)] [include(틀:21세기의 우주 개발)] ||<-2> '''{{{+2 팰컨 9 v1.1 }}}'''[br]Falcon 9 v1.1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paceX_Falcon_9 v1.1.jpg|width=100%]]}}} || || '''용도''' || 재사용 가능한 궤도 우주발사체 || || '''제작''' || [[스페이스X]] || || '''사용국''' || 미국 || || '''cpl-year''' || 2006 || ||<|2> '''가격''' || $56.5M (2013) || || $61.2M (2015) || ||<-2> '''제원''' || || '''전장''' || 68.4m (224 ft) || || '''직경''' || 3.7m || || '''중량''' || 505,846 kg (1,115,200 lb) || || '''단수''' || 2 || ||<-2> '''능력 ''' || || '''[[LEO]] 페이로드''' || 13.150 kg (28,990 lb) || || '''[[GTO]] 페이로드''' || 4,850 kg (10,690 lb) || ||<-2> '''발사 역사''' || || '''상태''' || 퇴역 || || '''발사장''' || [[케이프 커내버럴 우주군 기지]] SLC-40[br][[반덴버그 우주군기지]] SLC-4E || || '''최초 발사일''' || 2013년 8월 29일 || ||<-2> '''1단 로켓''' || || '''엔진''' || 9 x 멀린 1D || || '''추력''' || 5,885 kN (1,323,000 lbf) || ||<|2> '''비추력(SI)''' || '''해면:''' 255sec (2.6 kN/kg) || || '''진공:''' 304 sec (3.0 kN/kg) || || '''연소 시간''' || 180 초 || || '''추진제''' || LOX/RP-1 || ||<-2> '''2단 로켓''' || || '''엔진''' || 1 x 멀린 1D 진공 || || '''추력''' || 801 kN (180,000 lbf) || || '''비추력(SI)''' || '''진공:''' 342 sec (3.45 kN/kg) || || '''연소 시간''' || 375 초 || || '''추진제''' || LOX/RP-1 || [목차] [clearfix] == 개요 == '''팰컨 9 v1.1'''은 미국 스페이스X가 제작한 우주발사체이다. [[팰컨 9]] 계열의 로켓으로, 2011~2013년 사이에 개발되어 2013년 9월에 첫 발사를 했으며, 2016년 1월 마지막 발사를 끝으로 팰컨 9 FT(Full Thrust)로 업그레이드되어 현재는 사용하지 않는[* 현재는 다 팰컨 9 블록 5로 대체되었다.]버전의 로켓이다. == 발사 기록 == ===# 팰컨 9 v1.1의 발사 기록 #=== || '''날짜''' || '''발사 장소''' ||'''부스터 번호''' || '''페이로드''' || '''발사 성공 여부''' || '''부스터 착륙 여부''' || || 2013년 9월 29일 16시 00분 || [[반덴버그 공군기지]][br]SLC-4E 발사장 || B1003[* B1001~1002, 1009는 테스트용 시제품으로 발사에 사용되지 않았다.] || CASSIOPE[br][[지구 저궤도|저궤도]] 과학, 통신 위성 || '''성공''' || '''실패'''[* 엔진 재점화 테스트 진행] || || 2013년 12월 3일 22시 41분 || [[케이프 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케이프 커내버럴 공군 기지]][br]SLC-40 발사장 || B1004 || SES-8[br][[정지궤도]] 통신 위성 || '''성공''' || 시도 안 함 || || 2014년 1월 6일 22시 06분 || [[케이프 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케이프 커내버럴 공군 기지]][br]SLC-40 발사장 || B1005 || Thaicom 6[br][[정지 궤도]] 통신 위성 || '''성공''' || 시도 없음 || || 2014년 4월 18일 19시 25분 || [[케이프 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케이프 커내버럴 공군 기지]][br]LC-40 발사장 || B1006 || [[드래곤 1]][* 2014년 4월 20일 [[ISS]] 도킹 성공]CRS-3[* 페이로드 질량은 도합 약 6,000kg] || '''성공''' || 1단 엔진 제어 성공[* 역사상 최초로 1단부를 수면 위에 안정적으로 착수시키는 데 성공.] || || 2014년 7월 14일 15시 15분 || [[케이프 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케이프 커내버럴 공군 기지]][br]LC-40 발사장 || B1007 || Orbcomm-OG2-1(6개)[br][[지구 저궤도|저궤도]] 통신 위성 || '''성공''' || 1단 엔진 제어 성공 || || 2014년 8월 5일 08시 00분 || [[케이프 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케이프 커내버럴 공군 기지]][br]LC-40 발사장 || B1008 || AsiaSat 8[br][[정지궤도]] 통신 위성 || '''성공''' || 시도 없음 || || 2014년 9월 7일 05시 00분 || [[케이프 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케이프 커내버럴 공군 기지]][br]LC-40 발사장 || B1010 || AsiaSat 6[br][[정지궤도]] 통신 위성 || '''성공''' || 시도 없음 || || 2014년 9월 21일 05시 22분 || [[케이프 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케이프 커내버럴 공군 기지]][br]LC-40 발사장 || B1011 || [[드래곤 1]][* 2014년 9월 23일 [[ISS]]에 도킹 성공](CRS-4)[* 페이로드 질량은 도합 약 6,000kg] || '''성공''' || '''실패'''[* 수면 위로 부드러운 착륙을 시도했지만 액체 산소 부족으로 실패] || || 2015년 1월 10일 09시 47분 || [[케이프 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케이프 커내버럴 공군 기지]][br]LC-40 발사장 || B1012 || [[드래곤 1]][* 2015년 1월 12일 [[ISS]] 도킹 성공]CRS-5[* 페이로드 질량은 도합 약 6,000kg] || '''성공''' || '''실패'''[* 바지선 착륙을 시도했지만 연료 부족으로 실패] || || 2015년 2월 11일 23시 03분 || [[케이프 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케이프 커내버럴 공군 기지]][br]LC-40 발사장 || B1013 || DSCOVR[br]우주 기상 관측 및[br] 지구 관측 위성[* 지구-태양 간 [[라그랑주 점]]중 L1포인트에서 관측을 하며, [[팰컨 9]]의 첫 번째 행성간 우주로의 발사이다.] || '''성공''' || 1단 엔진 제어 성공 || || 2015년 3월 2일 03시 50분 || [[케이프 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케이프 커내버럴 공군 기지]][br]LC-40 발사장 || B1014 || ABS-3A[br]Eutelsat 115 West B[br][[정지궤도]] 통신 위성 || '''성공''' || 시도 없음 || || 2015년 4월 14일 20시 10분 || [[케이프 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케이프 커내버럴 공군 기지]][br]LC-40 발사장 || B1015 || [[드래곤 1]][* 2015년 4월 17일 [[ISS]] 도킹 성공]CRS-6[* 페이로드 질량은 도합 약 6,000kg] || '''성공''' || '''실패'''[* 바지선 착륙을 시도했지만 너무 빠른 착륙으로 실패] || || 2015년 4월 27일 23시 03분 || [[케이프 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케이프 커내버럴 공군 기지]][br]LC-40 발사장 || B1016 || TürkmenÄlem 52°E /[br] MonacoSAT[br][[정지궤도]] 통신 위성 || '''성공''' || 시도 없음 || || 2015년 6월 28일 14시 21분 || [[케이프 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케이프 커내버럴 공군 기지]][br]LC-40 발사장 || B1018 || [[드래곤 1]] CRS-7 || '''실패''' || - || || 2016년 1월 17일 18시 42분 || [[반덴버그 공군기지]][br]SLC-4E 발사장 || B1017 || Jason-3[br][[지구 저궤도|저궤도]] 기상 위성 || '''성공''' || '''실패'''[* 바지선 착륙을 시도했지만 착륙 다리 하나가 고정되지 않아 착륙 직후 넘어져 폭발했다.] || [youtube(i3K8jJUshx8)] 2013년 9월 29일: [[팰컨 9 v1.1]]의 첫 비행이자, 스페이스X가 발사시킨 첫 대형 위성인 CASSIOPE 미션이 성공적으로 발사되었다. 이 미션은 [[반덴버그 우주군기지|반덴버그 (前)공군 기지]]에서 발사되는 첫 스페이스X 미션이였으며, 지구 저궤도 극궤도(polar orbit)에 성공적으로 안착되었다. 사용된 부스터는 B1003이었다. 이 미션에서는 부스터의 회수를 시도해봤는데, 대기권에 재진입할때 멀린 엔진을 재점화, 대기권에서 파괴되는것을 막고, 바다에 착수시켰다. 하지만 부스터는 착수 후 회수되지 않았다. [youtube(24i8G5a5d5Q)] 2013년 12월 3일: 스페이스X가 처음으로 정지천이궤도에 위성을 전개시킨 미션인 SES-8이 발사되었다. 이 미션에서는 2단 엔진의 재점화가 최초로 진행되었으며, SES-8 위성은 성공적으로 정지천이궤도에 안착되었다. B1004 부스터가 사용되었으며, 부스터 회수는 이전 미션들과 똑같이 때려쳤다. [youtube(DjpUf__4vPA)] 2014년 1월 6일: [[태국]]의 Thaicom Public Company Limited 에서 제작한 Thaicom 6 통신위성을 정지궤도로 발사시키는 임무로, B1005 부스터가 사용되었다. 부스터는 회수하지 않았다. [youtube(OzEsXL3S_mc)] 2014년 4월 18일: CRS-3 미션으로, [[ISS]]로 화물을 보급하는 임무이다[* 사용된 [[드래곤 1]]은 C105이다.]. B1006 부스터가 사용되었으며, 역사상 최초로 대서양 해상에 1단을 착륙시키는 데 성공했으며, 수면 위 부드러운 착륙 직후 부스터는 옆으로 쓰러졌다. [[드래곤 1]]은 2014년 4월 20일 ISS에 도킹했다. [youtube(lbHnSu-DLR4)] 2014년 7월 14일: 미국의 위성 통신 회사인 Orbcomm의 위성 6개가 저궤도로 발사하는 임무이다. 사용된 부스터는 B1007이었다.부스터는 이전 CRS-3 미션처럼 해상에서 진행했으며, 수면 위 부드러운 착륙에 성공했다. [youtube(essrkMGlw5s)] 2014년 8월 5일: [[홍콩]]의 위성 통신 회사 AsiaSat의 AsiaSat 8 통신위성을 정지궤도로 발사하는 임무이다. B1008 부스터가 사용되었으며, 부스터 회수는 시도되지 않았다. [youtube(39ninsyTRk8)] 2014년 9월 7일: AsiaSat의 AsiaSat 6 통신위성을[* 태국의 타이콤(Thaicom Public Company Limited)이 이 위성의 절반을 사용하기로 해서 Thaicom 7이라고도 불린다.] 정지궤도로 발사하는 임무이다. B1011 부스터가 사용되었으며, 부스터 회수는 시도되지 않았다. [youtube(7YkCh7uOw1Y)] 2014년 9월 21일: CRS-4 미션으로, [[ISS]]로 화물을 보급하는 임무이다.[* 사용된 [[드래곤 1]]은 C106이다.] B1010부스터가 사용되었으며, 부스터는 대서양 바다에 부드러운 착륙을 시도했지만 실패했다. 페이로드에는 무중력 [[3D 프린터]],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기상 관측 장치, 무중력 상태에서의 쥐의 골밀도를 측정하기 위한 장비와 [[쥐]] 20마리, 우주비행사 보급품 등이 있었다. [youtube(p7x-SumbynI)] 2015년 1월 10일: CRS-5 미션으로, [[ISS]]로 화물을 보급하는 임무이다.[* 사용된 [[드래곤 1]]은 C107이다.] B1012 부스터가 사용되었으며, 부스터는 무인 착륙선에 착륙하는 데 실패했다. 페이로드에는 오염, 연기, 먼지, 에어로졸 등을 관측하는 CATS와 우주비행사 보급품 등이 있었다. [youtube(OvHJSIKP0Hg)] 2015년 2월 11일: [[NOAA]]의 우주 기상 및 지구 관측 위성 Deep Space Climate Observatory(DSCOVR)를 L1 [[라그랑주점]]으로 발사하는 임무이다. B1013 부스터가 사용되었으며, 부스터는 대서양 바다에 부드러운 착륙을 하는 데에 성공했다. [youtube(mN7lyaCBzT8)] 2015년 3월 2일: ABS에서 운용하는 ABS-3A 통신위성과 Eutelsat에서 운용하는 Eutelsat 115 West B 통신위성을 [[정지궤도]]로 보내는 임무이다. B1014 부스터가 사용되었으며, 부스터 회수는 시도되지 않았다. [youtube(csVpa25iqH0)] 2015년 4월 14일: CRS-6 미션으로, [[ISS]]로 화물을 보급하는 임무이다.[* 사용된 [[드래곤 1]]은 C108이다.] B1015 부스터가 사용되었으며, 부스터는 무인 착륙선에 착륙하는 데 실패했다. 페이로드에는 지구관측용 소형위성과 우주비행사 보급품 등이 있다. [youtube(nBwAYT_ogj4)] 2015년 4월 27일: [[투르크메니스탄]]의 첫 번째 위성 TürkmenÄlem 52°E[* [[모나코|Monaco]]SAT이라고 하는 트랜스폰더가 12개, TürkmenÄlem이라는 트랜스폰더가 26개 있다.]를 정제궤도로 보내는 임무이다. B1016 부스터가 사용되었으며, 부스터 회수는 시도되지 않았다. [youtube(PuNymhcTtSQ)] 2015년 6월 28일: CRS-7 미션으로, [[ISS]]로 화물을 보급하는 임무이다.[* 사용된 [[드래곤 1]]은 C109이다.] B1018 부스터가 사용되었다. 그러나 드래곤을 실은 발사체는 발사한지 2.5분 만에 폭발하고 말았다. 139초 후 2단 산화제 탱크의 헬륨 탱크 지지대가 부러지면서 다량의 헬륨이 액체 산소로 유입되었고, 이 결과 액체 산소 탱크가 파열되었다. 그 후 몇 초 후 2단과 1단이 차례로 폭발하여 드래곤 1은 궤도 진입에 실패하였고, 바다에 빠른 속도로 추락해 파괴되었다. 페이로드인 우주비행사 보급품과 여러 장비들이 국제우주정거장에 도착하지 못하게 되었다. 이 사고로 인하여 팰컨 9은 대대적인 업그레이드를 진행하여 팰컨 9 로켓을 v1.1에서 FT로 모두 대체하였으며, 그 기간 동안 팰컨 9은 발사되지 못했다. [youtube(ivdKRJzl6y0)] 2016년 1월 17일: Jason-3 저궤도 기상 위성[* 중점 임무는 해수면 온도와 상승, 해수 순환 등을 관측하는 것이다.]을 발사하는 임무로, B1017 부스터가 사용되었다. CRS-7에서의 사고로 팰컨 9 v1.1은 생산이 중단되었지만, 아직 발사되지 않고 남은 이 부스터를 이용하여 마지막 발사를 진행하였다. 1단 부스터는 JRTI 해상 무인 착륙선에 느린 속도로 착륙했지만 착륙 다리 하나가 고정되지 않아 옆으로 넘어져 폭발했다. 결국 팰컨 9 v1.1은 단 한 번도 1단 착륙에 성공하지 못하고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이 발사 시점에서는 업그레이드 된 버전으로 [[팰컨 9/버전 및 발사 기록#s.2.3|착륙에 한 번은 성공한 상태]]이기는 했다.] === 주요 발사 === * 2013년 9월 29일: 팰컨 9 v1.1의 첫 발사로, CASSIOPE 저궤도 과학 위성을 성공적으로 발사시켰다. * 2014년 4월 18일: 우주 정거장 보급 임무인 CRS-3 임무로, 사상 최초로 1단 부스터를 수면에 착수시키는 데 성공했다.[* 물론 드론쉽이 아닌 바다 한가운데에 착륙한 것 뿐이어서 재활용이나 회수는 하지 못했다.] * 2015년 2월 11일: [[팰컨 9]]이 최초로 지구 중심 궤도 바깥으로 위성을 보내는 임무로, DSCOVR 우주 기상 및 기후, 지구 관측 위성을 지구-태양 간 [[라그랑주 점]]인 L1 포인트로 보내는 데에 성공했다. * 2015년 4월 27일: [[투르크메니스탄]]의 첫 번째 위성 TürkmenÄlem 52°E / MonacoSAT 를 발사시켰으며, 4,707kg으로 팰컨 9 v1.1이 발사했던 위성 페이로드 중 가장 무겁다.[* 드래곤 1까지 포함 시 이보다 더 무거웠던 페이로드는 더 있다.] [youtube(PuNymhcTtSQ)] [* 영상은 스페이스X 공식 유튜브 계정에서 진행한 라이브 방송의 일부이며, 현재 스페이스X 공식 계정에서 본 영상은 내려간 상태이다.] * 2015년 6월 28일: [[팰컨 9]] 로켓의 유일무이한 상승 중 폭발로[* 2016년 9월 3일에도 로켓 폭발 사고가 있었지만, 이것은 상승 중이 아닌 발사대에서 일어난 폭발이었다.], CRS-7 미션 당시 발사 139초만에 2단 엔진의 헬륨 가압 통을 지탱하는 버팀목이 부러져 헬륨 가스가 대량으로 액체 산소 탱크에 유입되었고, 이후 148초만에 폭발해 [[ISS]]로 가려던 [[드래곤 1]] 화물선이 궤도에 이르지 못하고 추락했다. 추락한 드래곤 화물선은 처음에는 멀쩡하였으나[* 영상에 폭발 직후 작은 물체 하나가 떨어지는 것이 보인다.], 나중에 수면 위로 너무 빠르게 떨어지는 바람에 파손되었다. 이 사고로 인해 팰컨 9 v1.1의 생산이 중단되고 팰컨 9 FT로의 업그레이드가 이루어졌다. 또한 그 이후 6개월간 팰컨 9은 발사되지 못했다. * 2016년 1월 17일: 팰컨 9 v1.1의 마지막 발사로, 제이슨 3 저궤도 기상 위성이 탑재되었다. 해상 바지선 착륙을 시도했지만 실패했다. == 특징 == [[파일:external/cdn.arstechnica.net/Screen-Shot-2013-09-29-at-4.25.16-PM-640x424.png|width=40%]] 팰컨 9 v1.1은 모두 [[멀린 엔진|멀린 1D 엔진]] 9기를 사용한다. 팰컨 9 v1.0은 정사각형으로 엔진 9개를 배치했는데, 팰컨 9 v1.1부터는 엔진 8기를 원형으로 배치하고 가운데 엔진 1개를 배치했다. 엔진은 멀린 1C 엔진에서 더 강력은 멀린 1D 엔진으로 업그레이드되었고, 엔진의 직경은 이전과 이후 버전 모두 같다. v1.0의 높이는 55 m 였는데, v1.1은 68.4 m로 13.4m나 높아졌다. 그리하여 연료탱크가 60%나 커졌고, 추력도 1단계 해수면 기준 4,940kN에서 5,885kN 으로 대폭 상승했다. 페이로드 탑재량 또한 [[지구 저궤도]]에서 10,454kg에서 13,150kg까지 증가했다. [[파일:UwzAzpYr.png|width=300]] 팰컨 9 v1.1 버전은 재활용을 하기 위한 다리 구조와 그리드 핀 등도 갖추었지만, 모두 실패하고 재활용은 다음 버전인 팰컨 9 FT로 넘어갔다. == 관련 문서 == * [[스페이스X]] * [[팰컨 9]] [[분류:나무위키 천문학 프로젝트]][[분류:스페이스X]][[분류:로켓]][[분류:2013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