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브리티시 챔피언스 시리즈 명예의 전당)] ||<-3> '''QIPCO 브리티시 챔피언스 시리즈 명예의 전당 헌액 기수'''[br]'''OBE'''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Pat Eddery.jpg|width=100%]]}}} || || '''이름''' ||<-2> '''{{{+1 팻 에더리}}}[br]Pat Eddery''' || || '''본명''' ||<-2>패트릭 제임스 존 에더리[br]Patrick James John Eddery || || '''출생''' ||<-2>[[1952년]] [[3월 18일]][br][[아일랜드]] [[렌스터]] 킬데어 주 뉴브릿지 || || '''사망''' ||<-2>[[2015년]] [[11월 10일]] (향년 63세)[br][[영국]] [[잉글랜드]] [[버킹엄셔]] 주 에일즈베리 || || '''국적''' ||<-2>[include(틀:국기, 국명=아일랜드)] || || '''신체''' ||<-2>162cm || || '''직업''' ||<-2>前 [[경마]] 기수, 조교사 || || '''데뷔''' ||[[1967년]] (기수) ||[[2005년]] (조교사) || || '''은퇴''' ||[[2003년]] ||사망일과 동일 || ||<|2> '''{{{#white 성적}}}''' || 통산 ||6000승 이상 || || 영국 ||4632승 || || '''주요 수상''' ||<-2>[[OBE]] (대영제국 훈장 장교. 4등급) || [목차] [clearfix] == 개요 == ||
[[파일:Pat Eddery, Dancing Brave.jpg|width=100%]] || || 1986년 10월 5일 [[롱샹 경마장]], 팻 에더리와 [[댄싱 브레이브]]가 [[개선문상]]을 우승한 뒤. || 아일랜드의 전 경마 기수이자 조교사. 역사상 최고의 아일랜드인 경마 기수로 평가받는다. == 커리어 == 팻 에더리는 아버지와 외할아버지가 경마 기수였고, 자기 친형도 기수로 활동한 기수 집안에서 태어났다. 그는 아일랜드의 마구간에서 견습 기수로 경력을 시작하다, 1967년에 영국으로 이주하여 견습 생활을 계속했다. 1969년 중상 첫 우승을 경험하고, 1971년 영국 경마 최다 승리 신인 기수가 되었다. 1974년 22세 나이에 처음으로 영국 평지 경마 챔피언 기수를 획득했는데,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영국 최연소 기록이다. 지금도 팻 에더리 보다 어린 나이에 영국 평지 경마 챔피언 기수를 획득한 사람은 없다. 팻 에더리는 최종 결승선이 가까워질 때 말을 재촉하면서 위아래로 몸이 튀는 습관이 있었는데, 이는 우아하게 보이지 않았지만 그가 많은 승리를 거두는 데 효과적이었다고 여겨진다. 그의 스승이었던 프렌치 니콜슨(Frenchie Nicholson)은 자기 제자가 자신이 가르쳤던 '조용하고 세련된 스타일'을 버렸지만, 자신이 탄 말과 완전히 조화를 이루는 것처럼 보인다고 인정했다. 1980년부터 아일랜드의 전설적인 조교사 '''[[빈센트 오브라이언]]'''(Vincent O'Brien)과 계약을 맺고 스톰 버드(Storm Bird), 캘리언(Caerleon), 엘 그란 세뇨르(El Gran Senor), '''[[새들러스 웰즈]]'''(Sadler's Wells) 등을 타고 수많은 우승을 했다. 빈센트 오브라이언과 계약하는 동안에는 토요일마다 미팅을 하느라 경주를 뛰지 못했는데, 만약 토요일에도 경주를 뛰었다면 더 많은 평지 경마 챔피언 기수 타이틀을 획득했을 것이라고 이야기된다. 1980년대부터 중동 국적 마주들이 본격적인 활동을 하기 시작했다. 그 중에서도 대표적인 사람들이 두바이 알 막툼 왕가[* 1980년대에는 개인 마주들로 활동하다 1994년 고돌핀 레이싱(Godolphin Racing)을 설립했고, 현재 [[쿨모어 스터드]](Coolmore Stud)와 함께 전세계 경마계에서 가장 큰 세력을 형성하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 왕자 [[할리드 빈 압둘라]](Khalid bin Abdullah)였다. 그는 압둘라 왕자의 선택을 받고 '''[[댄싱 브레이브]]'''(Dancing Brave)에 기승해 [[킹 조지 6세 & 퀸 엘리자베스 스테이크스]], [[개선문상]]을 우승했다. 팻 에더리는 1980년대 중반부터 1994년까지 압둘라 왕자와 계약을 맺다가, 1994년 이후로 프리랜서 기수로 활동했다. 팻 에더리는 1970년대부터 해외 활동을 활발히 했다. 다른 유럽 국가들은 물론이고 북미, 아시아 국가들에도 원정을 갔다. 그는 1973년부터 홍콩 최대 부호 [[리카싱]](李嘉誠)의 부탁을 받고 겨울에는 홍콩 경마에서 단기 활동을 했다. 1985년에는 미국으로 원정을 가 [[페블스(말)|페블스]](Pebbles)를 타고 [[브리더스컵 터프]]를 우승했고, 1986년에는 일본으로 원정을 가 주피터 아일랜드(Jupiter Island)를 타고 [[재팬 컵]]을 우승했다. 1991년에는 셰이크 알바두(Sheikh Albadou)를 타고 [[브리더스컵 스프린트]]를 우승했다. 그의 이런 열정 때문에 영국에서만 4632승을 거두었고, 해외 승리까지 합치면 통산 6000승이 넘는 대기록을 쌓았다. 그는 2003년 기수를 은퇴하고, 2005년 7월 조교사 면허를 취득하고 영국 에일즈베리 근처에 마구간을 개설해 조교사로 활동했다. 2006년 4월 조교사로 첫 승리를 거두었고, 2009년 조교사로 첫 G1 우승을 경험했다. 그는 2005년 경마에 공헌한 경력을 인정받아 [[엘리자베스 2세]] 여왕으로부터 명예 [[OBE]](대영 제국 훈장 장교. 4등급)를 받았다. 팻 에더리는 알코올 중독에 걸려 오랫동안 고통을 겪다, 2015년 11월 10일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그의 유골은 그의 마지막 소원에 따라 화장되어 가족 사유지에 뿌려졌다. == 주요 기승마 == * 팻 에더리는 1967년부터 계속 영국을 거점으로 삼아 기수, 조교사 생활을 했기 때문에 영국 경주 위주로 서술한다. * '''G1/JpnI''' 경주만 서술 === G1/JpnI 우승마 === * 폴리개미(Polygamy) - '''[[오크스 스테이크스]](1974)''' * 그런디(Grundy)[* 모든 경기를 같이 뛰었다.] - 11전 8승(G1 5승). 듀허스트 스테이크스(1974), [[아일랜드|[[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5px]]]] '''아이리시 2000 기니(1975)''', '''[[더비 스테이크스]](1975)''', [[아일랜드|[[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5px]]]] '''아이리시 더비(1975)''', '''킹 조지 6세 & 퀸 엘리자베스 스테이크스(1975)''' * 신틸레이트(Scintillate) - '''오크스 스테이크스(1979)''' * 디트로이트(Detroit) -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 '''[[개선문상]](1980)''' * 스톰 버드(Storm Bird) - 듀허스트 스테이크스(1980) * 킹스 레이크(Kings Lake) - [[아일랜드|[[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5px]]]] '''아이리시 2000 기니(1981)''', 서식스 스테이크스(1981) * 골든 플리스(Golden Fleece) - '''더비 스테이크스(1982)''' * 어설트(Assert) - [[인터내셔널 스테이크스|벤슨 & 헤지스 골드 컵]](1982) * 로몬드(Lomond) - '''[[2000 기니 스테이크스]](1983)''' * 컬리언(Caerleon) -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 '''조케 클뤼브상(1983)''', [[인터내셔널 스테이크스|벤슨 & 헤지스 골드 컵]](1983) * 엘 그란 세뇨르(El Gran Senor)[* 모든 경기를 같이 뛰었다.] - 8전 7승(G1 3승). 듀허스트 스테이크스(1983), '''2000 기니 스테이크스(1984)''', [[아일랜드|[[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5px]]]] '''아이리시 더비(1984)''' * '''[[새들러스 웰즈]](Sadler's Wells)''' - [[이클립스 스테이크스]](1984), [[아일랜드|[[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5px]]]] [[아이리시 챔피언 스테이크스|피닉스 챔피언 스테이크스]](1984) * 레인보우 퀘스트(Rainbow Quest)[* [[사쿠라 로렐]]의 아비다.] - 코로네이션 컵(1985),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 '''개선문상(1985)''' * '''[[페블스(말)|페블스]](Pebbles)''' - '''[[챔피언 스테이크스]](1985)''',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 [[브리더스컵 터프]](1985) * '''[[댄싱 브레이브]](Dancing Brave)''' - '''[[킹 조지 6세 & 퀸 엘리자베스 스테이크스]](1986)''',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 '''[[개선문상]](1986)''' * 레퍼런스 포인트(Reference Point) - 윌리엄 힐 퓨처리티[* 현재 퓨처리티 트로피](1986) * 주피터 아일랜드(Jupiter Island) -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5px]]]] '''[[재팬 컵]](1986)''' * 문 매드니스(Moon Madness) - '''[[세인트 레저 스테이크스]](1986)''',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 생클루 대상(1987) * 트램폴리노(Trempolino) -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 '''개선문상(1987)''' * 워닝(Warning) - 서식스 스테이크스(1988), [[퀸 엘리자베스 2세 스테이크스]](1988) * '''[[토니 빈]](Tony Bin)''' - [[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px]]]] 공화국 대통령상[* 2016년 G2로 강등되고 2024년 다시 G3로 강등](1988), [[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px]]]] 밀라노 대상[* 2016년 G2로 강등](1988) * '''[[데인힐]](Danehill)''' - 스프린트 컵(1989) * 퀘스트 포 페임(Quest For Fame) - '''더비 스테이크스(1990)''' * 셰이크 알바두(Sheikh Albadou) - 넌소프 스테이크스(1991),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 [[브리더스컵 스프린트]](1991) * 자포닉(Zafonic)[* 모든 경기를 같이 뛰었다.] - 7전 5승(G1 4승).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 모르니상(1992),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 살라망드르상[* 2000년을 끝으로 폐지](1992), 듀허스트 스테이크스(1992), '''2000 기니 스테이크스(1993)''' * 빅스톤(Bigstone) - 퀸 엘리자베스 2세 스테이크스(1993) * 무낙스(Moonax) - '''세인트 레저 스테이크스(1994)''',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 로열오크상(1994) * 보스라 샴(Bosra Sham) - 필리스 마일(1995), '''[[1000 기니 스테이크스]](1996)''', '''챔피언 스테이크스(1996)''' * 레이디 칼라(Lady Carla) - '''오크스 스테이크스(1996)''' * 실버 페이트리아크(Silver Patriarch) - '''세인트 레저 스테이크스(1997)''', 코로네이션 컵(1998), [[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px]]]] 자키 클럽 대상[* 2017년 G2로 강등](1998) == 기록 == * '''영국 경마 통산 승리 수 : 4632승 (역대 2위)[* 역대 1위는 고든 리처드 경 (Sir Gordon Richards. 1904~1986) : 통산 4870승]''' * '''영국 평지 경마 챔피언 기수 11회 수상''' (1974, 1975, 1976, 1977, 1986, 1988, 1989, 1990, 1991, 1993, 1996) * '''영국 클래식 경주[* 2000 기니 스테이크스, 더비 스테이크스, 1000 기니 스테이크스, 오크스 스테이크스, 세인트 레저 스테이크스] 통산 14승''' * [[2000 기니 스테이크스]] (3승) - Lomond(1983), El Gran Senor(1984), Zafonic(1993) * [[더비 스테이크스]] (3승) - Grundy(1975), Golden Fleece(1982), Quest for Fame(1990) * [[1000 기니 스테이크스]] (1승) - Bosra Sham(1996) * [[오크스 스테이크스]] (3승) - Polygamy(1974), Scintillate(1979), Lady Carla(1996) * [[세인트 레저 스테이크스]] (4승) - Moon Madness(1986), Toulon(1991), Moonax(1994), Silver Patriarch(1997) * '''굿우드 컵 최다승[* 공동 1위(젬 로빈슨, 조지 포드햄, 스티브 도노휴, [[레스터 피곳]], [[프랭키 데토리]])] (5승)''' - Erimo Hawk(1972), Valuable Witness(1985), Mazzacano(1989), Sonus(1993), Grey Shot(1996) * '''스프린트 컵 최다승[* 공동 1위(레스터 피곳, [[윌리 카슨]], 브루스 레이먼드)] (3승)''' - Record Token(1976), Dowsing(1988), [[데인힐|Danehill]](1989) * '''퓨처리티 트로피 최다승[* 공동 1위(레스터 피곳)] (5승)''' - Sporting Yankee(1976), Dactylographer(1977), Beldale Flutter(1980), Reference Point(1986), Armiger(1992) [[분류:경마 기수]][[분류:1952년 출생]][[분류:2015년 사망]][[분류:킬데어주 출신 인물]][[분류:대영제국 훈장 4등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