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953년 출생]][[분류:2018년 사망]][[분류:클리블랜드 출신 인물]][[분류:미국의 드러머]][[분류:미국의 보컬리스트]][[분류:미스터 빅(밴드)]] ||<-2> {{{+1 '''팻 토피'''}}}[br]Pat Torpey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PatTorpey.jpg|width=100%]]}}} || || '''본명''' ||패트릭 앨런 토피[br]{{{-1 Patrick Allan Torpey}}} || ||<|2> '''출생''' ||[[1953년]] [[12월 13일]] || ||[[미국]] [[오하이오 주]] [[클리블랜드]] || || '''사망''' ||[[2018년]] [[2월 7일]](향년 64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직업''' ||[[드러머]], [[보컬리스트]] || || '''소속 그룹''' ||[[미스터 빅(밴드)|미스터 빅]] || || '''활동 시기''' ||[[1983년]] ~ [[2018년]] || || '''악기''' ||[[드럼]], [[보컬]] || [목차] == 개요 == 팻 토피(Pat Torpey)는 미국인 [[하드 록]] [[드러머]]이자 [[보컬리스트]]이다. [[로버트 플랜트]], [[리치 코젠]], 테드 뉴전트, [[크리스 임펠리테리]]등과의 작업으로 유명하며 무엇보다 록 밴드 [[미스터 빅(밴드)|미스터 빅]]의 드러머로 전 세계에 명성을 떨쳤다. == 생애 및 활동 내역 == === 생애 === [[오하이오 주]] [[클리블랜드]] 출신으로, 어린 시절 가족, 친구들과 공원에 [[피크닉]]을 갔을 때 우연히 그 곳에서 공연 중이던 밴드의 음악에 매료되었고 고등학생 때는 들을 수 있는 모든 장르에 관심을 가지며 음악가로서의 꿈을 키웠으며, 특히 13세 생일 선물로 받은 드럼 키트와 드러머의 연이 시작되었다. 2018년 2월 7일, 약 4년간 투병 중이던 [[파킨슨병]]의 후유증으로 인해 향년 64세로 사망했다. === 음악 활동 === 1983년 [[LA]]로 옮겨온 그는 커리어를 쌓기 시작 했으며 1985년 영국 팝-락싱어 John Parr와 함께 [[티나 터너]]의 오프닝을 하기도 했다. 이후 1988년 당대 명성이 자자했던 보컬리스트 [[그레이엄 보넷]]과 신예 [[크리스 임펠리테리]]의 첫 앨범 "Stand in Line"에 함께 참여하며 락 씬에 강렬한 인상을 남긴다. 임펠리테리와의 활동 이후 수퍼 테크니션으로 명성이 자자한 베이시스트 [[빌리 시언]]과 스피드 4인방으로 불리우며 초절기교를 보이던 기타리스트 [[폴 길버트]], 솔로로 백인이면서 흑인 감성을 지닌 뛰어난 보컬리스트 [[에릭 마틴]]과 함께 80년대 가장 주목 받았던 수퍼밴드 중 하나인 [[미스터 빅(밴드)|미스터 빅]]을 조직하고 1989년 대망의 1집 "Mr. Big"을 발매한다. 이후 미스터 빅의 마스터 피스이자 [[빌보드 핫 100]] No. 1 곡 To Be With You를 담은 2집 Lean into It을 1991년 발매하며 전 세계적인 명성을 얻게된다. 엄청나게 성실한 드러머로 알려진 그는 연습을 거르지 않는 드러머로도 유명했다. 그는 또한 독특한 리듬감을 가지기도 하였으며 그런 역량은 미스터 빅 4집 "Hey Man"에 실린 그의 곡 "Take Cover"에서 여실히 드러났고 [[러시(밴드)|러시]]의 드러머 [[닐 피어트]]도 그 곡의 리듬감에 감탄을 보냈다고 한다. 미스터 빅이 [[폴 길버트]]의 탈퇴 등으로 흔들렸지만 끝까지 팀을 지키며 2001년 "Actual Size"까지 밴드에서 총 6장의 스튜디오 앨범과 2002년까지 7장의 라이브 앨범, 1장의 베스트 앨범에 참여했다. 이후 [[빌리 시언]]이 조직한 인스트루먼트 밴드 나이어신, [[리치 코젠]]의 솔로 앨범등에 참여 하며 꾸준히 활동을 이어왔고 마침내 2009년 미스터 빅이 오리지널 멤버로 재결합하면서 완전체 [[미스터 빅(밴드)|미스터 빅]]으로 돌아와 리 유니언 투어를 돌았다[* 2009년 일본에서는 "Back To Budokan"이란 타이틀로 공연을 가지고 이는 라이브 앨범으로 발매도 되었으며, 10월 24-25일 양일간 잠실에서 내한공연을 했다.] 그리고 2011년 앨범 "What if"를 발매했고 활동을 이어가며 2014년 "... The Stories We Could Tell"이란 앨범을 이어서 발매한다. 2014년 7월 25일 [[파킨슨병]] 진단을 받고 더이상 드러머로서 활동을 할 수 없게 되었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드럼 프로그래머로서 미스터빅에서 활동을 하다 2018년 파킨슨병 합병증으로 사망했다. 토피의 빈 자리는 맷 스타(Matt Starr)가 대신하고 있다. == 사용 장비 == Tama 드럼과 Zildjian 심벌 그리고 Promark 스틱을 사용한다. == 디스코그래피/참여음반 == === [[미스터 빅(밴드)|미스터 빅]] === || '''{{{#white 발매일}}}''' || '''{{{#white 엘범명}}}''' || || 1989년 || Mr. Big || || 1991년 || Lean into It || || 1993년 || Bump Ahead || || 1996년 || Hey Man || || 1999년 || Get Over It || || 2001년 || Actual Size || || 2011년 || What If... || || 2014년 || ...The Stories We Could Tell || === [[임펠리테리]] === ||
'''{{{#white 발매일}}}''' || '''{{{#white 엘범명}}}''' || || 1988년 || Stand in Line || === [[리치 코젠]] === ||
'''{{{#white 발매일}}}''' || '''{{{#white 엘범명}}}''' || || 1998년 || What Is... || || 2003년 || Change || === [[폴 길버트]] === ||
'''{{{#white 발매일}}}''' || '''{{{#white 엘범명}}}''' || || 1998년 || King Of Club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