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본 별명을 가진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의 전 감독, rd1=알렉스 퍼거슨, other2=앤드루 왕자의 전 부인, rd2=사라 퍼거슨)] [include(틀:블랙아이드피스)] [include(틀:빌보드 차트 올타임 여성 아티스트(싱글))] ||<-2>
'''{{{+1 퍼기}}}[br]Fergi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퍼기.jpg|width=100%]]}}} || || '''본명''' ||Stacy Ann Ferguson[br]스테이시 앤 퍼거슨 || ||<|2> '''출생''' ||[[1975년]] [[3월 27일]] {{{-1 ([age(1975-03-27)]세)}}} || ||[[미국]] [[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아시엔다하이츠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신체''' ||163cm || || '''배우자''' ||[[조시 더멜]]^^(2009년~2019년)^^ || || '''자녀''' ||아들 액슬 잭 더멜^^(2013년생)^^ || || '''소속 그룹''' ||와일드 오키드^^(1990-2001)^^[br][[블랙 아이드 피스]]^^(2002-2016)^^ || || '''포지션''' ||보컬, 랩 || || '''직업''' ||[[싱어송라이터]], [[패션 디자이너]], [[배우]], [[성우]] || || '''데뷔''' ||1996년 와일드 오키드 싱글 'At Night I Pray' || || '''링크''' ||[[http://www.fergie.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http://www.facebook.com/fergie|[[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fergie, 크기=20)] [[http://www.instagram.com/fergie|[[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https://www.threads.net/@fergie|[[파일:Threads 아이콘.svg|width=20]]]] [[https://soundcloud.com/fergie-music|[[파일:사운드클라우드 아이콘.svg|width=20]]]] [[https://open.spotify.com/artist/3r17AfJCCUqC9Lf0OAc73G|[[파일:스포티파이 아이콘.svg|width=20]]]] [[https://www.youtube.com/FergieMusic|[[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https://www.youtube.com/FergieVEVO|[[파일:VEVO 로고.svg|height=15]]]]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패션 디자이너, 배우, 성우. [[블랙 아이드 피스]]의 보컬 및 랩 담당으로도 유명하다. == 활동 == === 와일드 오키드 === [[파일:external/www.celebrities-photo-gallery.com/Wild_Orchid_0.jpg]] 1992년부터 스테파니 라이델(Stefanie Ridel), 르네 샌드스트롬(Renee Sandstrom)와 함께 여성 3인조 그룹 '와일드 오키드(Wild Orchid)'를 결성한 후, 1996년 첫 싱글 앨범을 내면서 데뷔했다. 참고로 와일드 오키드 시절, 97년경에 내한한 적이 있다. 당시 멤버들이 방송에 나와 노래를 불렀다. ~~이렇게 뜰 줄 알았나!!~~ === [[블랙 아이드 피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lack-eyed-peas.jpg|width=100%]]}}} || || [[2003년]] [[블랙 아이드 피스|Black eyed peas]]는 새로운 멤버로 퍼기를 영입한다. || 퍼기는 와일드 오키드 시절부터 [[메스암페타민]] 중독에 시달린다. 이는 퍼기가 2001년 그룹을 탈퇴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인생은 [[새옹지마]] 라는 속담을 확인하게 되는 사례. 만약 퍼기가 중독에 시달리지 않았고, 와일드 오키드로 계속 활동했더라면 지금처럼의 인기를 누릴 수 있었을까?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와일드 오키드 1집 이후에 두 장의 앨범을 더 발매하지만 줄기차게 말아먹었다. 마약중독과 잇다른 실패로 그녀는 그룹을 떠나고. 2001년 [[블랙 아이드 피스]]의 리더인 [[will.i.am|윌아이엠]]은 친구로 소개로 알게 된 퍼기와 3집 [[Elephunk]] 수록곡 'Shut Up'을 작업하다가, 그녀의 실력을 보고 추가로 5곡을 더 같이 작업한다. 이후 블랙 아이드 피스의 소속사 인터스코프([[Interscope]])의 대표인 지미 아이오빈(Jimmy Iovine)이 퍼기에게 킴 힐(Kim Hill)을 대신하여 블랙 아이드 피스의 보컬 자리를 제안하고, 퍼기는 정식으로 블랙 아이드 피스의 멤버가 된다. 퍼기 영입 후 발표한 블랙 아이드 피스의 앨범은 상업적으로도 음악적으로도 큰 성공을 거두며 엄청난 인기를 얻었다. 2009년 1월에는 배우 [[조시 더멜]]과 결혼하였고, 3월에는 블랙 아이드 피스의 5집 'The E.N.D'를 발매하며 3곡 연속 [[빌보드 핫 100]] 1위에 위엄을 보여줬으며, 2010년에는 6집 [[The Beginning(블랙 아이드 피스)|The Beginning]]을 발표하여 꾸준히 사랑받았다. 2004년부터 교제해 2009년 결혼하였던 조시 더멜과의 사이에 아들 하나가 있으나 결국 8년간의 결혼생활 후 이혼하였다. === 솔로 활동 === [[파일:Fergie_The_Dutchess.png]] 2006년 9월에는 리더인 윌아이엠의 프로듀스로 솔로 앨범 'The Dutchess'를 발표한다. "[[London Bridge]]", "Fergalicious", "Glamorous", "Big Girls Don't Cry", "Clumsy", "Finally"같은 히트곡들을 쏟아내며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Finally"를 제외한 다섯 곡은 [[빌보드 핫 100]]에서 5위 안에 입성하는 기염을 토한다. 심지어 '''London Bridge, Glamorous, Big Girls Don't Cry는 1위를 달성했고, Fergalicious는 2위'''였다! 다만 신드롬이라고 불러도 좋을 만큼 차트를 씹어 먹는 행보를 보여준 미국과 대비해 유럽권의 반응은 뜨뜻미지근하다가 Big Girls Don't Cry 이후에나 반응이 나타났다. 미국권을 벗어나면 애매하긴 하지만, 미국에서는 웬만한 슈퍼스타 저리가라 할만큼 인기를 얻은게 이 시절. 후에 커리어를 보면 [[비욘세]]나 [[리아나]], [[앨리샤 키스]] 정도까지는 못 올라갔지만, [[그웬 스테파니]], [[넬리 퍼타도]]와 함께 미국에서 제일 인기 있는 백인 여가수였다. 이 앨범으로 퍼기는 아메리칸 뮤직 어워드 팝/락 부문 여자 가수상을 수상하게 된다.[* 정작 당시 비슷한 시기의 비욘세의 B'Day 앨범이나 앨리샤 키스의 앨범보다 퍼기의 1집이 싱글차트나 상업적으로나 더 성공했다. 당장 B'Day 앨범은 빌보드 기준 3 플래티넘에 싱글차트 1위곡이 한개(Irreplaceable), 탑텐도 한곡이(Deja Vu) 전부다. 그런데 The Dutchess 앨범은 5 플래티넘에, 1위곡만 무려 3곡, 2위곡 한 곡이다.] 2012년 12월 퍼기는 솔로 2집 준비를 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허나.. 오랜 휴지기가 이어지면서 팬덤이 희미해졌고, 8~9년이 지나서야 후속작을 준비하는데 어째 내놓는 싱글들마다 처참한 성적을 내고 있다. 그로부터 2년 뒤인 2014년.... 드디어 컴백 싱글 L.A. Love (La La)를 내놓았다. 빌보드 최고 순위는 27위로 1집 시절에 비해 아쉽기는 하지만 롱런 끝에 플래티넘 인증을 받는 등 중박. 영국에서는 3위까지 올라가는 등 미국에서보다 인기를 끌었다. L.A. Love가 그렇게까지 망하지도 않았는데 2016년까지 아무런 음악 활동이 없었다. 2016년 6월 9일 새 노래 Hungry (1st Byte)의 뮤직비디오를 공개했다. 이후 7월 1일 싱글 [[MILF|M.I.L.F. $]] 발표. 제목에서부터 알 수 있듯이 섹시 여가수로 할 수 있는 온갖 어그로 껀덕지들을 끌어모았다.[* 모르는 사람들을 위해 설명하자면 [[MILF]]란 'Mother I'd Like to Fuck'의 줄임말. 섹시한 중년 여성들을 저렇게 부른다.] 작정하고 나온듯 뮤직비디오도 신경쓴 티가 팍팍난다. 뮤직비디오에는 [[킴 카다시안]], [[Ciara]], [[나타샤 폴리]], [[데본 아오키]], [[알레산드라 앰브로시오]] 등이 출연했다.[* 출연진 모두 아이를 낳은 애엄마들이다] 니키 미나즈의 Anaconda 못지않은 선정성으로 나름 화제가 되었다. 그래도 어그로가 먹혀들었는지 나름 아이튠즈에서 좋은 반응을 얻으며 선방...하는 줄 알았으나 오래가지 못하고 주르륵 내려가는 중. 빌보드 핫 100 34위를 찍고 그대로 추락했다. 2012년부터 준비해왔던 2집의 소식은 4년이 지나도록 소식이 없고 발매될지도 미지수. 드디어 2017년 9월 앨범 Double Dutchess가 발매된다고 발표했다.! 2012년부터 준비한다고 말해왔으니 팬들은 감격스러울듯. 전곡 뮤직비디오를 들고 왔다. 그렇다고 퀄리티가 그렇게 좋은 편도 아니라 [[비욘세]]를 따라하냐는 비아냥만 들었다(...). 2집의 최종 판매량은 39,000장으로 전 작의 100배!!가 줄어 들었다. 몇 년 동안 질질 끌면서 그나마 있던 팬층도 모두 사라진듯 하다. 2018년 6월에 윌아이엠이 퍼기가 블랙 아이드 피스를 공식적으로 탈퇴했다는 발표를 하게 되었다. == 음반 목록 == === 앨범 === ||<-4>
'''{{{#fff Fergie [[빌보드 200|[[파일:빌보드 로고.svg|width=50]]]] 200 기록}}}''' || || '''연도''' || '''순위''' || '''앨범명''' || '''비고''' || || 2006 || #2 || The Dutchess || 1집 || || 2017 || #19 || Double Dutchess || 2집 || === 싱글 === ||<-4>
'''{{{#000000 Fergie [[빌보드 핫 100|[[파일:빌보드 로고.svg|width=50]]]] Hot 100 기록}}}''' || || '''순위''' || '''연도''' || '''곡명''' || '''비고''' || || '''#1^^3주^^''' || '''2006''' || '''[[London Bridge]]''' || || || '''#1^^2주^^''' ||<|4> 2007 || '''Glamorous''' || || || '''#1^^1주^^''' || '''Big Girls Don't Cry''' || || || #2 || Fergailcious || || || #5 || Clumsy || || || #27 || 2014 || L.A. Love (La La) || || || #31 || 2010 || Gettin' Over You || [* [[David Guetta]]와 [[Chris Willis]]의 싱글을 [[LMFAO]]와 함께 피처링.] || || #34 || 2016 || M.I.L.F. $ || || || #40 || 2008 || We Could Be Together || [* [[Nelly]]의 싱글을 피처링.] || || #56 || 2007 || Impacto (Remix) || [* [[Daddy Yankee]]의 싱글을 피처링.] || || #77 || 2013 || A Little Party Never Killed Nobody (All We Got) || [* with [[Q-Tip]] and [[GoonRock]]] || || —[* 버블링 언더 #1] || 2008 || Finally || [* feat. [[John Legend]]] || || —[* 버블링 언더 #8] || 2010 || Beautiful Dangerous || [* [[Slash]]의 싱글을 피처링.] || || —[* 버블링 언더 #22] || 2008 || Here I Come || || == 출연 작품 == === 영화 === ||
'''연도''' || '''작품명''' || '''배역''' || || 1986 || Monster in the Closet || 루시 || || 1998 || Outside Ozona || 소녀 || || 2000 || The Gentleman || Zeke's Girlfriend || || 2005 || [[쿨]]! || 본인 || || 2006 || [[포세이돈]] || 글로리아 || ||<|2> 2007 || 플래닛 테러 || 다코타의 애인 태미 || || 그라인드하우스 || 태미 || || 2009 || [[나인(영화)|나인]] || 사라기나 || || 2010 || 마마듀크 || Jezebel || === 애니메이션 === ||
'''연도''' || '''작품명''' || '''배역''' || || 1984 || It's Flashbeagle, Charlie Brown ||<|3> 샐리 브라운 || ||<|2> 1985 || Snoopy's Getting Married, Charlie Brown || || 찰리 브라운과 스누피 쇼 || || 2003 || 로켓 파워 || 샤피카 || || 2007 || Class of 3000 || 클라우스 부인 || || 2008 || [[마다가스카 2]] || 히포의 여자친구 || || 2009 || 아더와 미니모이 2 셀레니아 공주 구출 작전 || 리플레이 || || 2009~2012 || 더 클리블랜드 쇼 || 바네사, 제인, 홀트의 어머니 || || 2010 || 글렌 마틴 DDS || 마리아 페핀스 || || 2012 || [[팬보이 & 첨첨]] || 선생님의 펫 || === 뮤직비디오 === [youtube(WD33ii01kXI)] [youtube(5T0utQ-XWGY)] [youtube(q0SyUgw98tE)] [youtube(agrXgrAgQ0U)] [youtube(tf_gPZSDIxI)] [youtube(0pWgHfVjKOo)] [youtube(GLyP0B2Q-R4)] [youtube(bsUWK-fixiA)] [youtube(-Ifnaxi2LQg)] == 기타 == * 공연 중에 오줌을(...) 지린 적이 있다. 인터뷰를 했는데 새해 공연이라 공연 전에 샴페인을 많이 마셨는데 화장실에 가지 않았다고. 당시 온 사이트가 이 이야기로 도배되었다. * 2007년 블랙 아이드 피스 활동 당시에 대해서 인터뷰 한 적이 있는데... >have had lesbian experiences in the past. I won't say how many men I've had sex with — but I am a very sexual person. >나는 과거에 [[레즈비언]] [[성관계|섹스]]를 경험한 적 있어요. 얼마나 많은 남자와 섹스를 했는지는 말 못하겠지만 난 아주 성적으로 개방된 사람입니다. >---- >[[http://www.mirror.co.uk/celebs/tm_headline=fergie--i-was-a-lesbian&method=full&objectid=18844637&siteid=115875-name_page.html|FERGIE: I WAS A LESBIAN(Mirror)]] * 미국에서는 제임스(james)를 짐(jim)이라고 부르듯이 fergie 또한 Ferguson의 애칭으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감독인 [[알렉스 퍼거슨]] 감독도 일반적으로 퍼기, 혹은 기사 칭호를 받았기에 퍼기 경이라고 불린다. [[앤드루 앨버트 크리스티안 에드워드|앤드루 왕자]]의 전 부인이었던 [[사라 퍼거슨]]도 퍼기라 불린다. * 2018년 NBA 올스타전(All-Star Game)에서 국가 제창을 맡았다. 재즈 풍으로 노래를 불렀는데, 역대 최악의 국가 중 하나로 꼽히는 중. 비난이 폭주하며 다음 날 미국 전역 SNS를 뒤집어 놓았다. 일부 선수와 관중들은 노래 중간에 비웃는 듯한 표정까지도 지었으며[[https://www.instagram.com/p/BfYpj2MhIEH|#]] 퍼기 본인 역시 그 다음 날 의도대로 잘 되지 않았다고 사과했다.[[http://www.espn.com/nba/story/_/id/22504241/fergie-addresses-national-anthem-controversy-all-star-game|#]] 해당 경기 해설자 중 한 명 이였던 [[찰스 바클리]]는 "저거 끝나고 담배피고 싶네 (I need a cigarette after that)" 라고 비꼬았다.[[https://www.reddit.com/r/nba/comments/7yjm80/charles_on_fergies_national_anthem_i_need_a/|#]] 해당 공연은 유투브 조회수 2600만회를 넘어가고 있으며, 레전드로 회자되는 [[휘트니 휴스턴]]의 국가 제창 [* 멀리 갈 것도 없이 유튜브에 Star Spagled Banner 검색하면 제일 상단에 뜨는 게 그녀의 국가제창 영상이다. 얼마만큼의 레전설인지 알 수 있는 부분.]을 제치고 미국 국가 동영상 중 최고 조회수를 자랑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V5cOvyDpWfM|#]] == 관련 문서 == * [[배우/서구권]] * [[성우/북미]] [[분류:미국 여가수]][[분류:미국 여배우]][[분류:미국 여성 성우]][[분류:미국의 싱어송라이터]][[분류:미국의 패션 디자이너]][[분류:1975년 출생]][[분류:1996년 데뷔]][[분류:아시엔다하이츠 출신 인물]][[분류:블랙 아이드 피스]][[분류:독일계 미국인]][[분류:룩셈부르크계 미국인]][[분류:스웨덴계 미국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