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FFF 퍼킨스}}}}}}'''[br]{{{#FFF Perkins Engines Company Limited}}} || ||<-2> [[파일:Perkins_Engines_logo.png|width=250]] || || '''형태''' ||[[자회사]] (Subsidiary Company) || || '''국가''' ||[[파일:영국 국기.svg|width=30]] [[영국]] || || '''본사''' ||영국 [[케임브리지셔]] || || '''사업 지역''' ||전 세계 || || '''제품''' ||[[내연기관]] || || '''모기업''' ||[[캐터필러(기업)|캐터필러]]([[미국]]) || || '''공식 사이트''' ||[[https://www.perkins.com/en_GB.html]] || [목차] [clearfix] == 개요 == 1932년에 설립된 [[영국]]의 내연기관 제조회사. 산업용, 소형선박용 [[디젤 엔진]]을 주력으로 생산한다. 지금도 [[건설기계]]의 연비 테스트용으로 쓰이는 퍼킨스 사이클이 사실 이 회사에서 따온거. == 전성기 == 창립직후부터 고속 디젤엔진의 개발에 성공하여 주력으로 생산했기 때문에 전성기인 1940~70년대에는 자동차용, 산업용을 가리지 않고 다방면으로 사용되었다. 이 때의 퍼킨스는 [[닷지(자동차)|닷지]], [[포드(자동차)|포드]], [[마쓰다]][* 마쓰다가 퍼킨스 엔진을 베이스로 독자 디젤 엔진을 개발하다가 후술하는 엔진 과열문제가 무더기로 발생했다.]의 디젤 자동차 대부분 모델의 엔진을 담당할 정도라서 1960~70년대 [[현대자동차]]와 현대차 인수 이전의 [[기아자동차]]에 퍼킨스 엔진의 흔적이 남아 있었을 정도. 심지어 [[볼보트럭]] 에서도 F82/83 같은 자사의 중소형 트럭에 들어가던 엔진을 받아갔을 정도였다. 그러나... == 쇠퇴 == 1970년대 이후 전세계적으로 [[고속도로]] 붐이 일면서 [[자동차]] 부문에서 문제가 터지기 시작했다. 특히 80년대 초반부터 전세계적으로 [[오일쇼크]]가 해소되면서 디젤 자동차들이 고속으로 달릴 때 '''엔진 과열'''로 인한 고장이 급증했다.[* 특히 [[퍼킨스 4.108 엔진]]의 과열 떡밥은 요즘도 [[요트]] 소유자들의 무한 키배 주제중 하나다.[[https://www.cruisersforum.com/forums/f54/ever-popular-overheating-perkins-4108-a-15203.html|#]]] 이 여파로 80년대에 자동차 시장에서는 철수했다. 원래 고속 rpm 디젤 엔진으로 전성기를 누린 것을 생각하면 아이러니한 일.[* 선박의 경우 당연히 물위에서 운행하기 때문에 [[라디에이터]]의 냉각수를 빠르게 식힐 수 있으나, 자동차용의 경우 라디에이터 팬이 냉각수를 식혀야 하므로 여기서 문제가 생겼다.] 이때 퍼킨스 엔진의 자리를 대신 차지한 엔진이 바로 [[미쓰비시 4D5 엔진]]이다. 결국 1998년에 미국 [[캐터필러(기업)|캐터필러]]에 인수되면서 캐터필러의 자회사가 된다. == 캐터필러 인수 이후 == 캐터필러에 인수된 이후로는 캐터필러에서 쓰는 건설기계를 포함한 산업용, 소형선박용 엔진을 전문적으로 생산하게 되면서 옛날의 영광을 어느정도 회복하고 있다. == 생산 엔진 == * [[퍼킨스 4.108 엔진]] * [[퍼킨스 4.236 엔진]] * [[마쓰다 퍼킨스 엔진]] - 마쓰다에서 퍼킨스의 기술제휴를 받아서 생산한 디젤 엔진이다. * [[현대 퍼킨스 엔진]] [[분류:영국의 기업]][[분류:자동차 부품 제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