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게임 용어]] [목차] {{{+3 Perk(s)}}} == 개요 == 특정 직업이나 지위에 딸려오는 이득이나 혜택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회사에서 특정 임직원에게 회삿돈으로 차나 휴대폰을 제공한다면 이것이 perk에 해당한다. 오늘날에는 게임의 강화 요소를 가리키는 말로 널리 쓰이고 있다. == 유래와 표기 == 19세기 초 perquisite을 줄여 말하면서 만들어졌다. 실제로 perquisite과 동의어이다. 외래어 표기법에 따르면 '퍼크'이다. 중간의 [r] 음이 [k] 음의 종성화를 막기 때문.[* 이와 유사하게 말음이 유성음일 때에도 종성으로 적지 않는다(dog - [[도그]] 등). 한국어 종성 위치는 언제나 무성폐쇄음이기 때문이다.] Central Park를 센트럴 '팍'이라고 쓰지 않고 Dark side를 '닥' 사이드라고 쓰지 않는 것과 같다. 다만 게이머들 사이에서는 '퍽'이 굳어져서 쓰인다. == 게임에서 == || [[파일:attachment/perks.png|width=500]] || ||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의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Perk|멀티플레이어 특전]] 목록. || 게임에서 특정 능력을 강화시켜주는 요소. 특성 내지는 [[패시브 스킬]]이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대체로 아래와 같은 특징을 지닌다. * 특정 조건을 만족시키면 [[해금]]된다. * 자신이 해금한 요소 중 일정 개수까지 선택해서 (슬롯 등에 장착해) 사용할 수 있다. 게임에 따라 슬롯 확장이 가능하다. 강화가 적용되는 부분은 단순한 이동 속도 증가나 대미지 증가에서부터 낙하 대미지 감소나 [[쿨타임]] 감소까지 광범위하다. [[버프]]와의 차이점은 버프는 주로 능동적으로/일정 지속 시간동안 이로운 효과를 주거나(걸거나) 받는 것인데 비해 퍼크는 앞서 패시브 스킬이라고 한 것처럼 선택만 하면 별도의 지속 시간 없이 계속 효과를 적용받는다는 것. == 개별 작품의 퍽 == * [[폴아웃 시리즈]]: [[폴아웃 시리즈/Perk]] * [[페이데이 2]]: [[페이데이 2/퍽 덱]] * [[엘더스크롤 5: 스카이림]]: [[엘더스크롤 5: 스카이림/Perk]] * [[콜 오브 듀티 시리즈]]: [[콜 오브 듀티 시리즈/Perk]] * [[War of the Roses: Kingmaker]]: [[War of the Roses: Kingmaker/Perk]] * [[DEAD BY DAYLIGHT]]: [[DEAD BY DAYLIGHT/기술]] * [[Deep Rock Galactic]]: [[Deep Rock Galactic/특성]] * [[더 헌터: 야생의 부름]]: [[더 헌터: 야생의 부름/스킬&퍽]] * [[사이버펑크 2077]]: [[사이버펑크 2077/특전]] *[[포트나이트/배틀로얄|포트나이트]]: [[포트나이트/배틀로얄/현실 증강]] * [[GTFO]]: [[GTFO/무기 및 장비#s-9]] * [[겁스]]의 퍽은 [[초여명]]의 공식 번역에 따르면 '''미점(美點)'''이며, 1CP밖에 들지 않는 미니 장점이다. 하지만 미니 장점이라는 별명이 걸맞게 특정 상황에서 +1 정도의 판정 보너스를 받거나[* 신체적 미점인 경우엔 +2 이상도 가능하지만 이 점은 자기가 의도적으로 발동시킬 수 없다는 점으로 상쇄되는듯하다. 이는 Perks의 단점 버전인 '버릇'(Quirks)에도 그대로 적용.] 전투에 직접 관련이 없는 특정 소품을 몸에 항상 지니고 다니는 정도의 능력을 얻는 정도밖에 이득을 볼 수 없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퍽, version=139, paragraph=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