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토트넘 홋스퍼 FC/소속 선수 커리어]][[분류:스페인의 축구선수/커리어]][[분류:토트넘 홋스퍼 FC/2023-24 시즌]] [include(틀:상위 문서, top1=페드로 포로/클럽 경력)]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b1c56 3%, transparent 3%), linear-gradient(to left, #0b1c56 3%, transparent 3%), linear-gradient(to bottom, #fff 20%, transparent 20%), linear-gradient(to top, #fff 20%, transparent 20%), repeating-linear-gradient(135deg, #E8E8E8 4%, #E8E8E8 5%, #fff 5%, #fff 8%)" [[페드로 포로/클럽 경력#s-5|[[파일:토트넘 홋스퍼 FC 로고.svg|height=90]]]] [br] [[페드로 포로/클럽 경력|{{{#001C58 '''페드로 포로의 클럽 경력'''}}}]]}}} || || [[페드로 포로/클럽 경력#s-5.1|{{{#0b1c58 2022-23 시즌}}}]] || {{{+1 {{{#0b1c56 →}}}}}} || '''{{{#ffffff 2023-24 시즌}}}''' || {{{+1 {{{#0b1c56 →}}}}}} || [[페드로 포로/2024-25 시즌|{{{#0b1c58 2024-25 시즌}}}]] || ||<-2>
'''{{{+1 [[페드로 포로|{{{#0b1c56 페드로 포로}}}]]}}}'''[br]'''{{{#0b1c56 2023-24 시즌}}}'''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purs_no23(23/24).png|width=100%]]}}} || || '''{{{#fff 소속팀}}}''' ||[[토트넘 홋스퍼 FC]] ([[프리미어 리그]]) || || '''{{{#fff 등번호}}}''' ||{{{+1 '''23'''}}} || ||<-2> '''{{{#ffffff {{{+1 기록}}}[br](프리미어 리그 20R 기준)}}}''' || || [[토트넘 홋스퍼 FC/2023-24 시즌/리그|[[파일:프리미어 리그 로고(화이트).svg|width=100%]]]] || {{{#!wiki style="margin: 0 -10px" '''선발 20경기 [br] 7도움'''}}} || || [[FA컵(잉글랜드)/2023-24 시즌|[[파일:FA컵(잉글랜드)로고(화이트).svg|width=100%]]]] || {{{#!wiki style="margin: 0 -10px" '''선발 2경기 [br] 1득점'''}}} || || [[EFL컵|[[파일:카라바오 컵 로고 가로형.svg|width=100%]]]] || {{{#!wiki style="margin: 0 -10px" '''[br]'''}}} || || [[토트넘 홋스퍼 FC/2023-24 시즌#s-4|[[파일:토트넘 홋스퍼 로고(2).svg|height=50]][br]'''{{{#fff 친선 경기}}}''']] || {{{#!wiki style="margin: 0 -10px" '''선발 3경기[br]'''}}} || ||<-2> '''{{{#fff 합산 성적}}}''' || ||<-2> {{{#!wiki style="margin: 0 -10px" '''선발 25경기 [br]1득점 7도움'''}}} || || '''{{{#fff 개인 수상}}}''' ||- || [목차] [clearfix] = 개요 = 페드로 포로의 [[토트넘 홋스퍼 FC/2023-24 시즌|2023-24 시즌]] 활약상을 정리한 문서. 포로가 토트넘에서 뛰는 두 번째 시즌이다. = [[프리미어 리그]] = == 전반기 == 2023년 7월 2일, 토트넘에 '''완전 영입'''되었다. ---- 1R [[브렌트포드 FC]] 원정 경기는 결장했다. ---- 2R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와의 홈 경기에 선발로 출전했다. [[손흥민]]이 건네준 볼을 원터치로 강하게 슈팅해 상단 포스트를 때리는 등 공격적인 모습을 보여주면서도, 좌측 윙이었던 [[알레한드로 가르나초]]와 [[마커스 래시포드]]를 잘 막아내는 등 단점으로 꼽히던 대인 수비에서도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팀은 2:0 승리. ---- 3R [[AFC 본머스]] 원정 경기에서 자신의 사이드로 오는 본머스의 좌측 공격을 모조리 막아내는 훌륭한 수비를 선보였으며, [[스포르팅 CP]] 시절 보여주었던 것처럼 단 한 번의 로빙 패스로 간단히 존 프레싱을 풀어내는 등 뛰어난 활약을 펼쳤다. 이외에도 경기 중 포효하거나 박수를 치며 팀의 사기 증진에 기여하는 모습을 보여 팬들에게 좋은 인상을 남겼다. 팀은 0:2 승리. 직전 시즌에 비해 수비력이 상당히 개선되면서 [[에메르송 로얄]]과의 주전 경쟁이 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포로패스2.gif|width=100%]]}}} || 4R [[번리 FC]] 원정 경기에도 선발 출전했다. 전반 초반, 사이드에서 침투하고 있는 [[루카 콜레오쇼]]를 제대로 마크하지 못하고 놓쳐 [[라일 포스터]]에게 선제골을 헌납하며 실점의 빌미를 제공하고 말았다. 그러나 점점 안정화된 팀과 함께 본인도 경기력을 끌어올리며 압박을 차근차근 풀어내기 시작했고, 전반 16분경 상대 진영으로 파고드는 [[손흥민]]을 포착해 좋은 롱패스를 성공시키며 동점골의 기점이 되었다. 오른쪽 라인에서 [[크리스티안 로메로]]와 좋은 합을 보여주며 탈압박과 패스로 안정감 있게 경기 운영을 해 나갔다. 후반 66분 또 다시 침투하는 손흥민에게 환상적인 스루패스를 건넸고, 이를 손흥민이 득점하면서 어시스트를 적립했다. 그 후 경기가 마무리되나 싶었지만 후반 추가시간에 [[조시 브라운힐]]을 제대로 마크하지 못하고 놓쳐 실점하며 아쉬움을 남겼다. 팀은 2:5의 스코어로 리그 3연승을 거두었다. 최근 좋은 킥력과 크로스, 협력 수비로 지난 시즌과 비교해 괄목할 만한 성장세를 보이는 중이다. ---- 7R [[리버풀 FC]]와의 홈 경기에서 엄청난 수비력을 경기 내내 보여주며 리버풀 공격진을 꽁꽁 묶었고, 팀이 리버풀의 밀집 수비에 고전하던 중 추가 시간 막판인 90+6분 땅볼 크로스로 [[조엘 마티프]]의 자책골을 유도하며 2:1 승리에 크게 기여하였다. FotMob 기준 8.4의 평점을 받으며 MOM으로 선정되었다.[* [[프리미어 리그]] 공식 MOM은 [[손흥민]].] ---- 9R [[풀럼 FC]]와의 경기에서 패스 53회, 경합 8회, 태클 5회를 성공시키는 벽과 같은 모습을 선보였으며 [[데얀 쿨루셉스키]]에게 찔러준 패스는 득점 찬스로 이어졌다. [[손흥민]]에게 향하는 정확한 뒷공간 패스는 덤. 팀은 2:0 승리를 거두었다. ---- 10R [[크리스탈 팰리스 FC]]와의 원정 경기에서에도 준수한 수비와 활발한 공격 가담으로 활약했으나 후반 추가 시간인 90+4분, 본인 쪽으로 온 공중볼을 처리하지 못하고 뒤에 있던 [[조던 아이유]]에게 흘려버리며 팰리스의 만회골의 빌미가 되었다.[* 이 장면은 공이 아이유의 팔에 맞고 궤적이 바뀌었으나 VAR 결과 득점으로 인정되면서 오심 논란이 잠깐 일었다.] 하지만 추가 시간의 추가 시간인 90+11분 [[마테우스 프랑사]]의 마지막 슈팅을 육탄방어로 막아내며 실수를 만회했다. 총 74회의 패스와 태클 6회, 경합 6회를 성공시키며 전체적으로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팀은 1:2 승리. ---- [[울버햄튼 원더러스 FC|울버햄튼]]과의 원정 경기를 앞두고 훈련에 불참하여 부상이 아니냐는 추측이 나왔는데[* 11R 첼시전에서 발목을 삐끗했으나 [[크리스티안 로메로|본인을 제외한]] [[미키 판더펜|4백]] [[데스티니 우도기|수비진]]이 전멸하면서 홀로 남아 풀타임을 소화했다.], 그 후 포스테코글루의 기자 회견에서 한동안 부상이던 [[벤 데이비스]]와 함께 상태가 괜찮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 12R [[울버햄튼 원더러스 FC|울버햄튼]]전에서 전반 3분 [[데얀 쿨루셉스키]]의 패스를 받아 낮게 깔아찬 크로스로 [[브레넌 존슨]]의 선제골을 어시스트했으나, 팀은 후반 추가시간에 두 골을 헌납하며 1:2 패배를 거두었다. ---- 14R [[맨체스터 시티]] 원정에서는 안정적인 수비와 준수한 공격을 보여주며 포백 중에서 가장 좋은 활약을 보여줬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포로패스1.gif|width=100%]]}}} || 16R [[뉴캐슬 유나이티드 FC|뉴캐슬]]전에서는 후반 60분 우측에서 정확한 롱패스로 [[히샬리송]]의 두 번째 골을 어시스트했다. 팀은 4:1 승리. 태클 3회, 경합 1회, 걷어내기 1회, 기회 창출 3회, 빅찬스 1회, 지상 경합 승리 4/6회 등 전체적으로 좋은 스탯을 기록했다. FotMob 기준 8.4의 평점을 받으며 팀 내 네 번째로 높은 평점을 기록했다. === 전반기 총평 === 인버티드 풀백으로서 7도움을 기록하며 리그 수비수 도움 1위에 올라섰고, 이전까지 단점으로 지적받던 수비력도 경기를 거듭할수록 한층 향상된 모습을 보였다. 무엇보다 부상, 징계 등으로 결장한 팀의 여타 [[데스티니 우도기|수]][[크리스티안 로메로|비]][[미키 판더펜|수]]들과는 달리 매 경기 선발로 나와 활약하고 있다. 이에 더해 중원의 플레이메이커인 [[제임스 매디슨(축구선수)|제임스 매디슨]]까지 부재한 가운데 인버티드 풀백으로서 활약하는 포로가 또하나의 플레이메이커가 되어 팀에 큰 보탬이 되고 있다. == 후반기 == 21R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와의 원정 경기에서는 이전보다 공격적인 롤을 맡으며 중원으로도 볼을 운반하고 측면에서도 좋은 모습을 보였다. 전반 19분 코너킥으로 [[히샬리송]]의 동점골을 어시스트하며 리그 7호 도움을 기록했고, 리그 도움 공동 3위에 올랐다. 팀은 2:2 무승부. 25R [[울버햄튼 원더러스 FC]]전을 앞두고 [[데스티니 우도기]]와 함께 부상으로 결장한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그다지 심하진 않으며 2~3주 정도 걸릴 거라고. 결장한 1라운드를 제외하고 전 경기에 선발 출전하며 거의 매주 풀타임을 소화했으니 몸 상태가 한계에 다다를 수밖에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포로와 우도기가 없는 토트넘은 [[울버햄튼 원더러스 FC|울버햄튼]]에게 1:2로 패배하며 더블을 당하고 말았다. 양쪽 풀백 주전들이 처음으로 모두 빠진 경기에서 곧바로 둘의 공백을 뼈저리게 느낀 셈이다. 28R [[아스톤 빌라 FC]] 원정에서 복귀했다. 32R [[노팅엄 포레스트 FC]]전 매디슨의 크로스에 벤탕쿠르가 머리로 굴절시킨 골을 논스톱 발리로 골대에 꽂아 넣으면서 팀의 3:1 골이자 이번 시즌 리그 첫 번째 골을 넣었다! 기존에는 FA컵 64강 번리전 골이 있었다지만 이번 시즌 EPL 팀 전체를 통틀어 득점이 없는 선수 중 가장 슈팅 시도가 많아서 난사왕이라는 별명이 붙었는데 드디어 골을 넣었다.[* 본인도 드디어 골을 넣어 후련하다는 듯 얼굴을 감싸쥐며 감격하는 모습을 보였다.] = [[FA컵(잉글랜드)|FA컵]]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포로슈팅.gif|width=100%]]}}} || [[FA컵]] 64강 [[번리 FC|번리]]전에서는 롱볼 패스를 여러 차례 찔러주며 공격에 기여했다. 팀이 좀처럼 공격을 마무리짓지 못하고 답답한 경기력을 이어가던 후반 78분, 빠르게 역습을 진행하려던 [[아민 알다킬]]에게서 볼을 빼앗은 뒤 엄청난 중거리 원더골을 꽂아넣으며 선제골을 기록했다. 이는 그대로 결승골이 되면서 팀의 1:0 승리를 이끌었고, 이후 MOM에 선정되었다.[* 사실 이전까지만 해도 포로는 크로스, 연계 등 다른 영역에서는 좋은 평가를 받았으나 한편으로는 중거리 슈팅을 많이 시도하는데 정작 득점은 없는 상황이었다. 실제로 23-24 시즌 [[EPL]] 무득점자 중 슈팅 시도 횟수에서 [[안토니(2000)|안토니]]를 제치고 1위를 기록했을 정도. 다행히도 중요한 컵 대회에서 공격진이 고전을 면치 못하던 순간 중거리포로 결정적인 득점을 뽑아내는 데 성공한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