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WEC 하이퍼카 클래스 참가 팀)] ||<-4><:><#D40000> '''{{{#fdf150 페라리 AF 코르세}}}'''[BR]'''{{{#fdf150 Ferrari AF Corse}}}''' || ||<-4><#FFF> [[파일:scuderia ferrari.png|width=100]] || ||<-3><#D40000> '''{{{#FFFFFF 설립년도}}}''' || '''2022년'''[* 2022시즌의 팀 활동은 차량 테스트가 주를 이루었고, 본격적인 레이스 참가는 2023시즌 WEC 1라운드인 [[세브링 1000 마일]]부터 이루어졌다.] || ||<-3><#D40000> '''{{{#FFFFFF 본부}}}''' || [[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이탈리아 파엔차 || ||<-3><#D40000> '''{{{#FFFFFF 파트너 스폰서}}}''' || [[쉘 plc|[[파일:쉘 plc 로고.svg|width=40]]]] [br] [[산탄데르 은행|[[파일:산탄데르 은행 로고.svg|width=140]]]] [br] [[파일:cetilar2.png|width=110]][* 2021년부터 AF 코르세의 스폰서가 되었다.] || ||<-3><#D40000> '''{{{#FFFFFF 국적}}}''' || [[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이탈리아''' || ||<-2><|2><#D40000> '''{{{#FFFFFF 프로그램 감독}}}''' ||<#fdf150> '''{{{#D40000 스포팅}}}'''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0]] 안토넬로 콜레타 || ||<#fdf150> '''{{{#D40000 기술}}}'''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0]] 페르디난도 카니초 || ||<-2><|2><#D40000> '''{{{#FFFFFF AF 코르세 감독}}}''' ||<#fdf150> '''{{{#D40000 총괄}}}'''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0]] 아마토 페라리 || ||<#fdf150> '''{{{#D40000 팀}}}'''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0]] 바티 프레글리아스코 || ||<-2><#D40000><|2> '''{{{#FFFFFF 드라이버 [br] {{{-3 (2023)}}}}}}''' ||<#fdf150> '''{{{#D40000 50번}}}''' || [[덴마크|[[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25]]]] [[니클라스 닐슨]] [br] [[스페인|[[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5]]]] 미겔 몰리나 [br] [[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안토니오 푸오코 || ||<#fdf150> '''{{{#D40000 51번}}}''' || [[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알레산드로 피에르 귀디]] [br]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제임스 칼라도]] [br] [[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안토니오 지오비나치]] || ||<-3><#D40000> '''{{{#FFFFFF 차량}}}''' || [[페라리 499P]] || ||<-3><#D40000> '''{{{#FFFFFF 공식 SNS}}}'''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FerrariHypercar, 크기=25)] | [[https://instagram.com/ferrarihypercar?igshid=NTc4MTIwNjQ2YQ==|[[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 [[https://youtube.com/@Ferrari|[[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https://www.ferrari.com/en-EN/hypercar|[[파일:scuderia ferrari.pn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errari-499P-Hypercar-FM22-1.jpg|width=100%]]}}}|| || '''{{{#fdf150 페라리 AF 코르세}}}''' || 페라리 AF 코르세는 2023년부터 페라리가 [[WEC]]의 하이퍼카 클래스에 출전하기 위해 [[페라리]]의 GT 레이스 부서인 컴페티치오니 GT[* Competizioni GT]와 [[WEC]] 창설 당시부터 GTE-Pro 클래스에 페라리의 GTE 레이스카를 운용해오던 팀이었던 [[AF 코르세]]가 협력하여 설립된 페라리의 팩토리 팀이다. == 팀의 WEC 참가 역사 == === 정식 참가 이전 === 2021년 6월경에 [[페라리]]가 [[AF 코르세]]와 협력하여 LMH를 개발해 2023년 하이퍼카 클래스에 참가할 것이라고 발표하였다. 그리고 2022년 10월 31일에 페라리의 LMH 레이스카인 '''499P'''의 모습이 공개되었다. 이로서 페라리는 르망 최고 클래스 복귀, AF 코르세는 최초로 르망 최고 클래스에서 달리게 되었다. 차량의 엔트리 번호는 페라리가 르망 24시의 탑클래스에 복귀한지 50년이 되었다는 것에서 따온 50번과 기존 AF 코르세가 써왔던 51번을 채택하였다. 드라이버 라인업은 기존 GT 팩토리 로스터에서 차출하겠다고 하였고[* [[알레산드로 피에르 귀디]], [[제임스 칼라도]], 안토니오 푸오코, 미겔 몰리나, [[니클라스 닐슨]], 알레시오 로베라, 다비데 리곤이 페라리 499P를 주행했으며, 다니엘 세라의 경우 페라리 LMH 시트 합류설을 직접 부정하였다.] 1월 11일에 50번 차량에 안토니오 푸오코, 미겔 몰리나, [[니클라스 닐슨]]이, 51번 차량에 [[알레산드로 피에르 귀디]], [[제임스 칼라도]], 전 [[F1 드라이버]]인 [[안토니오 지오비나치]]가 합류하였다.[* 지오비나치는 2018년 르망 24시에서 AF 코르세의 52번 페라리 488 차량의 드라이버이기도 했다. WEC 풀시즌 드라이버로서의 출전은 이번이 처음.] === [[월드 인듀어런스 챔피언십/2023시즌|2023 시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errari-AF-499P-no.50-sebring-1.jpg|width=100%]]}}}|| || '''{{{#fdf150 탑클래스 데뷔전 포디움 완주}}}''' || 499P 차량을 처음으로 레이싱에 투입하게 되는 1라운드인 세브링 1000마일에서 50번의 푸오코가 1분 45.067초로 토요타 8번과 0.2초 차이로 폴포지션을 달성하면서 이어지던 토요타의 폴포지션 세례를 막아내었다. 51번의 피에르 귀디는 토요타 8번과 7번에 밀린 4위에서 경기를 시작하게 되었다. 그리해 처음으로 탑클래스로 맞이하는 레이스에서는 초반에 1위를 유지하는데에는 성공하였으나 83번 AF 코르세의 488 GTE가 대형사고를 내면서 일어난 세이프티카 상황 속에서 두 차량 모두 다른 연료 스틴트를 갖고자 연료를 채우기 위해 핏스탑을 진행하여 다시 트랙에 나왔지만 세이프티카가 끝나기 전, 앞서가던 글리켄하우스 708번이 느려지면서 토요타와 격차가 더 벌어졌었으나 34랩째부터 그러한 전략이 성공해 51번이 경기를 리드하는데에 성공하지만 이후 GTE-AM 클래스의 25번 애스턴 마틴의 펑처로 인한 긴 FCY를 예상했는지 37랩째에 핏스탑을 진행함으로서[* 이번 시즌부터는 FCY 상황에서의 핏스탑이 금지되어 있어 미리 핏스탑을 진행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핏스탑 이후 2랩뒤인 39랩째에 FCY가 발령되었으나 길지는 않았다.] 토요타에게 자리를 내주면서 우승 경쟁은 경기 초반에 끝나게 되었고 뒤에 있던 포르쉐와 캐딜락과 서로 포디움 자리를 사수하기 위한 경쟁을 하게 되었다. 이후에 50번의 푸오코가 FCY 상황에서 추월로 인한 드라이브 스루 패널티를 받고, 6시간 경과 후 51번의 피에르 귀디가 54번 AF 코르세 488 GTE를 무리하게 추월하는 중에 스핀을 내면서 56번과 충돌하여 리어를 망가뜨리게 되어 차량 수리에 시간을 허비하게 되는 등의 드라이버가 일으킨 실수나 전략 운영상의 착오들은 있었으나, 차량의 신뢰성 부분에 있어서는 크게 걸림돌이 되는 일이 없었기에 50번 차량은 좋은 전략과 페라리 듀오보다 좋은 일관적인 레이스 페이스를 보여주면서 우승한 토요타 7번과 준우승한 8번과는 그나마 2랩 차이정도로 3등을 차지할 수 있었다. 사고를 겪은 51번은 토요타와 11랩 뒤쳐진 종합순위 15위로 완주하는데에 족해야 했다. ||[[파일:352581373_818702529611039_4987484473164375442_n.jpg |width=100%]]||[[파일:352410976_627144512677539_1914082318888182634_n.jpg |width=100%]]|| || '''[[르망 24시]] 종합 우승 페라리 AF 코르세 [[페라리 499P|#51]]''' || '''[[르망 24시]] 하이퍼폴 폴포지션 #50''' || [[르망 24시]]가 100주년을 맞이하는 해에 페라리 AF 코르세의 51번 차량이 종합 우승을 달성하면서 [[토요타 가주 레이싱]]의 6연패를 저지함과 동시에 50년만에 르망에 복귀한 [[페라리]]에게 르망 우승 트로피를 선사하게 되었다. == 기타 == [[분류:모터스포츠 팀]][[분류:페라리]][[분류:월드 인듀어런스 챔피언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