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불가리아 차르)] ---- || '''{{{#fff 페르디난트 1세 관련 틀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역대 불가리아 공)] [include(틀:1차세계대전기의 독일 제국군 장성급 장교)] [include(틀:1차 세계대전 주요 참전국 국가원수)]}}} || ---- ||<-2> '''불가리아 차르국 초대 차르[br]{{{+1 페르디난트 1세}}}[br]Фердинанд I'''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Zar_Ferdinand_Bulgarien.jpg|width=100%]]}}} || ||<|2> '''출생''' ||[[1861년]] [[2월 26일]]|| ||[[오스트리아 제국]] [[빈(오스트리아)|빈]][br](現 [[오스트리아]] 빈)|| ||<|2> '''사망''' ||[[1948년]] [[9월 10일]] (향년 87세)|| ||[[연합군 점령하 독일]] 코부르크[br](現 [[독일]] [[바이에른주]] [[오버프랑켄]]현 코부르크)|| ||<|4> '''재위기간''' ||[[불가리아 공국|불가리아 공]]|| ||[[1887년]] [[7월 7일]] ~ [[1908년]] [[10월 5일]]|| ||[[불가리아 왕국|불가리아 차르]]|| ||[[1908년]] [[10월 5일]] ~ [[1918년]] [[10월 3일]]|| || '''서명''' ||[[파일:페르디난트 1세(불가리아) 서명.svg|width=100px&bgcolor=#fff]]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가문''' ||[[작센코부르크고타 왕조|삭스코부르고츠키 가문]] || || '''이름''' ||페르디난드 막시밀리안 카를 레오폴드 마리야 삭스코부르고츠키[br](Фердинанд Максимилиан Карл Леополд Мария Сакскобургготски) || || '''아버지''' ||작센코부르크고타의 아우구스트 공자 || || '''어머니''' ||[[클레망틴 도를레앙]] || || '''형제자매''' ||필리프, 루트비히 아우구스트, 클로틸데, 아말리 || ||<|2> '''배우자''' ||부르봉파르마의 마리아 루이사 공녀[br],,(1893년 결혼 / 1899년 사망),, || ||로이스쾨스트리츠의 엘레오노레[br],,(1908년 결혼 / 1917년 사망),, || || '''자녀''' ||[[보리스 3세]], 키릴 프레슬라프스키, 에브도키아, 나데즈다 || || '''종교''' ||[[불가리아 정교회]] || || '''신장''' ||185cm ||}}}}}}}}} || [목차] [clearfix] == 개요 == [[불가리아 공국]]의 2대 공작이자 [[불가리아 왕국]]의 초대 차르. 독일 [[작센]]의 통치 가문 [[베틴 가문]] 에른스트 계열인 [[작센코부르크고타]] 출신이었다.[* [[작센 왕국]]은 베틴 가문 알브레히트 계열인데 에른스트 계열이 원래 본가이고 작센 왕국 알브레히트 계열이 방계이다. 16세기 [[종교개혁]]으로 촉발된 [[슈말칼덴 전쟁]] 당시 알브레히트 계열의 작센-마이센 공작 [[모리츠(작센)|모리츠]]가 당시 황제였던 [[카를 5세]] 편에서서 본가 [[요한 프리드리히 1세]]의 선제후 작위를 찬탈.] 아버지는 초대 작센코부르크고타 공작 에른스트 1세의 조카이자 [[포르투갈 왕국]] 국왕 [[페르난두 2세]]의 동생인 아우구스트 공자였고,[* 벨기에 초대 국왕 [[레오폴드 1세]]의 조카이자, [[빅토리아 여왕]]과 [[앨버트 공]]의 사촌이기도 하다.] 어머니는 [[루이필리프]]의 4녀 [[클레망틴 도를레앙]]이었다. == 생애 == [[오스트리아 제국]] [[빈(오스트리아)|빈]]에서 태어났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오스트리아군]] 장교로 있다가 불가리아 공이던 알렉산더르 1세의 퇴위로 불가리아 국회에서 후임 공으로 선출되었다. 1908년부터 [[차르]] 칭호를 사용하였다. [[파일:에드워드 7세 장례식 참석 군주들 사진.jpg]] [[에드워드 7세]]의 장례식에서. [[노르웨이 국왕]] [[호콘 7세]], '''페르디난트 1세 본인''', [[포르투갈 왕국|포르투갈]] 국왕 [[마누엘 2세]], [[독일 제국]] [[카이저|황제]] [[빌헬름 2세]], 그리스 국왕 [[요르요스 1세]], [[벨기에인의 왕]] [[알베르 1세]]다. 앞줄은 [[스페인 국왕]] [[알폰소 13세]], 사촌인 [[영국 국왕]] [[조지 5세]], [[덴마크 국왕]] [[프레데리크 8세]]. 1차 [[발칸 전쟁]]에 참전해 마케도니아 대부분을 차지했지만, 불가리아 대제국을 꿈꾸며 계속 땅 욕심을 부리다가 오히려 1차 전쟁의 동맹국들과 적국인 [[오스만 제국]]이 힘을 합친 2차 [[발칸 전쟁]]에서 참패해 막대한 피해와 함께 1차 전쟁에서 얻은 땅 대부분을 잃어 여론이 악화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에서는 발칸 전쟁에서의 패전을 곱씹고 재기를 위해 [[동맹국]]으로 참전, [[세르비아 침공]]을 승전으로 이끌며 [[세르비아 왕국(1882년~1918년)|세르비아 왕국]]의 남부를 합병하는 데 성공한다. 페르디난트는 참전 직전에 '내 인생의 목적은 세르비아의 파괴에 있다.'라고 말할 정도로 세르비아를 증오했으며, 이를 실행하려한 강경하고 잔혹한 인물이었다. 그리고 이런 그의 사상을 증명하듯 불가리아의 압제를 받게 된 수많은 세르비아인들이 박해받았으며, 불가리아군에 의한 슈팁 대학살, 수르둘리카 대학살이 벌어지기도 했다. 왕의 뜻에 따라 세르비아 문화와 이를 이끌 중산층 지식인의 교육이 철저히 탄압되었고, 많은 세르비아의 유구한 수도원들이 약탈되었다. 또 그는 세르비아인과 불가리아인의 혼혈을 장려했으며, 그렇게 태어난 자녀들이 철저하게 불가리아인이 되도록 키워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1918년 [[제1차 세계 대전]]에서 패색이 짙어져 세르비아를 상실하자 책임을 지고 그해 10월 3일 퇴위, 왕위는 장남 보리스 3세에게 넘겼다. 이후 그는 고향인 독일의 코부르크로 돌아와 은거했는데, 상당히 장수해서 1948년까지 살았다. 하지만 퇴위한 이후의 삶은 비참했는데, 왕이었던 만큼 본인의 삶에 문제가 있던 건 아니었지만 주변에서 자꾸만 불행이 일어났다. 장남 [[보리스 3세]]는 1943년 히틀러의 불가리아 방문 이후 독살로 의심되는 죽음을 맞이했고, 그 뒤를 이은 어린 손자 [[시메온 2세]]가 1946년에 공산화로 인해 퇴위하면서, 자신이 세운 왕국이 후대에 멸망하는 걸 자신의 눈으로 본 인물이 되었다. 차남인 키릴 왕자는 형인 보리스 3세의 급사 이후 조카인 시메온 2세의 섭정을 맡았다가 공산당에게 체포되어 추축국에 부역했다는 죄목으로 처형당했다.[* 이 소식을 들은 페르디난트 1세는 '모든 것이 무너지는구나.'라고 말하며 탄식했다.][* 장녀 에브도키야는 이때 망명이 허락되어 독일로 망명하였고(독신으로 사망), 차녀 나데지다는 왕정 폐지 이전인 1924년에 뷔르템베르크의 공작 알브레히트 오이겐([[뷔르템베르크 공작 알브레히트]]의 차남)과 결혼하여(슬하 2남 3녀) 독일에 정착했기에 크게 화를 입지는 않았다.] 1948년 페르디난트는 작센코부르크고타 가문의 발상지였던 코부르크의 뷔르글라스-슐뢰셴 저택에서 조용히 눈을 감았다. 그의 마지막 소원은 불가리아에 묻히고 싶다는 것이었으나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당국은 허락하지 않았고, 결국 가문이 대대로 안장되었던 코부르크의 성 아우구스티누스 교회[* 부친 아우구스트 공자가 세운 교회로, 아우구스트 공자 부부를 시작으로 그 후손들이 안장되었다.]의 지하실에 매장되었다. == 여담 == 페르디난트 1세는 1910년 [[벨기에]]에 다녀왔었는데, 그때 우연히 비행기를 접하게 되었으며 그해 6월 15일 비행기를 직접 탔다. 참고로 이 사람은 유럽 안에서 최초로 비행기를 탄 차르이기도 하다. 결혼을 두 번 했는데 첫번째 아내는 부르봉파르마의 마리아 루이사[*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마지막 황후 [[부르봉파르마의 치타]]의 이복언니이다.]로 그녀와의 사이에 2남 2녀를 두었고 두번째 아내는 로이스쾨스트리츠의 엘레오노레다. 부계혈통 기준으로 영국 군주 [[에드워드 7세]], 벨기에 군주 [[알베르 1세]]와 6촌이다. 이 중 알베르 1세의 경우 부계로는 6촌이지만, 알베르 1세의 할머니 [[오를레앙의 루이즈|루이즈 왕비]]가 페르디난트 1세의 큰이모라서 모계로는 5촌 조카가 된다. 참고로 모계 쪽으로 갈 경우, 벨기에 제2대 군주 [[레오폴드 2세]]와 이종사촌간이며,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황제 [[프란츠 요제프 1세]], 통일 [[이탈리아 왕국]]의 초대 군주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 그리고 [[나폴레옹 2세]]와 6촌간이다. 역대 불가리아 국가원수 중 가장 장수했다.[* 만약 손자 [[시메온 2세]]가 2024년까지 생존한다면 할아버지의 기록을 깨게 된다.] 또한 [[루이필리프]]의 손주들 중 마지막 생존자이다. [[파일:불가리아 차르와 독일 카이저.jpg|height=500]] [[독일 제국]]의 마지막 황제인 [[빌헬름 2세]][* 페르디난트 1세는 빌헬름 2세의 모후 [[프린세스 로열 빅토리아|빅토리아 황후]]와 6촌간이니 빌헬름 2세는 페르디난트 1세의 7촌 조카뻘이다. 페르디난트 1세의 부모가 40대 초반의 꽤 늦은 나이에 페르디난트 1세를 낳았기 때문에 항렬에 비해 출생 연도가 늦은 편이라 나이로는 빌헬름 2세가 오히려 두 살 위이다.]하고는 꽤나 비슷한 점이 많은데 거의 비슷한 시기에 태어났고, 둘 다 1880년대 후반에 즉위[* 작위 상관없이 '군주 재위 자체'를 기준으로 할 경우.]했으며, 제1차 세계대전의 여파로 1918년에 퇴위하고, 1940년대에 죽었다. 그리고 둘 다 양성애자다. == 대중매체 == [[Hearts of Iron IV]]에서는 보스포루스 DLC가 있을 때 보리스 3세를 암살하는 중점을 타면 시메온 2세를 즉위시키는 대신 페르디난트 1세를 복위시키는 중점을 탈 수 있다. 모드인 [[Hearts of Iron IV/카이저라이히|카이저라이히]]에서는 1차 대전 때 [[동맹국]]이 승리하면서 계속 차르로 앉아 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페르디난트 1세, version=250)] [[분류:불가리아 차르]][[분류:불가리아 공]][[분류:삭스코부르고츠키 가문]][[분류:퇴위한 군주]][[분류:성소수자 군주]][[분류:1861년 출생]][[분류:1948년 사망]][[분류:유럽의 양성애자]][[분류:빈 출신 인물]][[분류:창업군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