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경제 용어나나 게임 이름, rd1=페스(동음이의어))]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이곳에서 유래된 튀르키예식 모자, rd1=페즈)] [include(틀:모로코의 세계유산)] [include(틀:이슬람 도시 기구의 도시)] ||<-3> [[유네스코|{{{#fff '''유네스코'''}}}]] [[세계유산|{{{#fff '''세계유산'''}}}]] || ||<-3> [[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흰 배경).svg|width=160]] || ||<|4> 이름 || 한국어 || 페스의 메디나 || || 영어 || Medina of Fez || || 아랍어 || مدينة فاس || || 프랑스어 || Médina de Fès || |||| 국가·위치 || [[모로코]] 페스메크네스 주 || ||<-3> [include(틀:지도,장소=Medina of Fez, 너비=100%, 높이=224px)] || |||| 등재유형 || [[세계유산#s-3.1|문화유산]] || |||| 등재연도 || [[1981년]] || |||| 등재기준 || (ii)[* 오랜 세월에 걸쳐 또는 세계의 일정 문화권 내에서 건축이나 기술 발전, 기념물 제작, 도시 계획이나 조경 디자인에 있어 인간 가치의 중요한 교환을 반영할 것], (v)[* 특히 번복할 수 없는 변화의 영향으로 취약해졌을 때 환경이나 인간의 상호 작용이나 문화를 대변하는 전통적 정주지나 육지·바다의 사용을 예증하는 대표 사례일 것] || |||| 지정번호 || [[https://whc.unesco.org/en/list/170|170]] || || {{{#white {{{+3 페스 (모로코)}}}}}} || || [include(틀:지도, 장소=모로코 페스)] || {{{+5 فاس, Fès}}} [목차] [[파일:페스.jpg|width=560]] 페스 엘 발리 (구도심)의 알 카라윈 마드라사 일대 [[파일:페스 2.jpg|width=800]] 구도심의 입구인 밥 부 젤루드 (푸른 문) [clearfix] == 개요 == 로마자 표기로는 페즈, 페스[* 모로코 아랍어 방언.], 파스[* 표준 아랍어, 베르베르어. [[튀르키예어]]에서 모로코를 가리키는 말이 여기서 유래했다. 다만 도시는 페스라고 구분한다.] 등 다양하게 불리는 도시. 인구는 100만 명이 넘으며, 모로코에서 [[카사블랑카]] 다음으로 큰 도시이다. == 역사 == [[파일:페스 모로코 성벽.jpg]] 페스 구도심의 성벽 [[파일:페스 모로코 1.jpg]] 알 카라위인 마드라사 모로코 최초의 이슬람 왕조인 [[이드리시 왕조]]의 이드리시 1세에 의해서 요새도시로 건설이 시작된 페즈는 이드리시 1세 왕이 우마이야 칼리프가 보낸 자객에 의해 암살되면서 아들인 이드리시 2세에 의해서 완성되었다. 당시 이름은 '알 알리야', 즉 알리의 도시였는데 이드리시 왕가가 4대 칼리파 알리의 후손이자 시아파의 이맘 가문이었기 때문이다. 페즈는 미로와 같은 좁은 골목과 건물들, 출입문을 통해 한꺼번에 수많은 병사들이 출입하지 못하고 화살을 이용해 효과적으로 방어할 수 있도록 계획되었다. 또한 이드리시 1세가 이 도시를 만들 때 '만인이 평등한 도시'를 꿈꾸었기 때문에 외관 상으로 보았을 때는 부유함의 정도를 알 수 없이 똑같은 창문과 출입문, 장식 없는 벽으로 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하지만 내부로 들어가면 집의 화려함과 크기가 매우 차이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드리시 1세 또한 왕궁이 아닌 백성들과 똑같은 구조의 집에 살았던 것을 보면 나름 깨어있는 왕이었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 안에는 최초의 대학이라고 할 수 있는 알카라윈 대학이 859년에 세워졌고 시각장애인을 위한 안내 유도 장식이 붙어있는 등 나름 선진적인 도시라고 할 수 있다. 이드리시 왕조에 의해 세워진 구역을 구 페스 지역, 후에 13세기 때 역시 베르베르인 왕조였던 마리니드 왕조에 의해서 강 양쪽에 건설된 것이 신 페스 지역으로 이곳에는 모스크와 왕궁이 건설되었다. [[789년]]에 도시가 세워진 후 [[마린 왕조]] 등 마그레브 지역의 다양한 이슬람 왕국의 수도로 기능했으며, 모로코가 보호령일 무렵 [[1925년]]에 [[라바트]]로 천도하기 전까지만 해도 수도로의 역할을 톡톡히 해냈다. 아예 [[튀르키예어]]로 모로코를 뜻하는 말이 페스의 튀르키예어식인 파스일 정도. == 교통 == [[페스 사이스 공항]]이 있다. 모로코 국철 횡단간선의 주요 기점으로 페스 이동 구간은 단선 비전철로 바뀐다. == 관광 == 구시장자체가 [[유네스코]]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이외에도 유구한 역사를 자랑하는 [[시나고그]] 또한 소재하고 있다. 그밖에 LG TV광고에도 나왔던 유서깊은 천연가죽염색공장과 전통의상 상점, 상업지구와 주거지구가 혼합되어 있어 독특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또한 근처에 있는 도시인 [[메크네스]]와 외곽에 있는 로마유적을 보기 위해 많이 세트(?)로 방문하는 도시이다. [[파일:external/thumbnail.egloos.net/e0006522_5831060a6c5e7.jpg]] ~~대형 팔레트~~ 다만 가죽염색공장은 정말로 천연가죽 염색인지라 고약한 냄새를 각오해야 한다. 화학처리가 아닌 순수 천연가죽염색이기에 재료가 새똥이라든지 온갖 자연재료를 쓰고 값도 꽤 비싸다. 물론 이걸 수공업으로 사람이 해야하기에 일이 고되긴 하니 무조건 비싸다고 욕할 게 아니긴 하다. 갓 도착한 가죽 원단을 부드럽게 하기 위해 [[새]][[똥]]과 섞어서 사람이 [[손]]과 [[발]]을 한참을 비비며 작업해야 하니 그 작업자야말로 지독한 냄새를 견디며 일해야 한다. 더불어 석회질 제거, 세척하고 가죽 잔털 제거, 염색, 말리기까지 모조리 수공업을 해야 한다. 현장에 가면 관광객들이 이 모든 걸 구경할 수 있는데 보면 이거 비쌀만하다고 느낌이 온다. [[파일:external/thumbnail.egloos.net/e0006522_5831060b264e4.jpg]] [[수원시]]와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 인구수만 보면 두 도시 규모가 비슷하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페스, version=120)] [[분류:모로코의 도시]][[분류:모로코의 세계유산]][[분류:모로코의 옛 수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