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페이퍼 마리오 시리즈)] [include(틀:페이퍼 마리오 1000년의 문)] ||<-2> [[파일:페이퍼_마리오_1000년의_문_(한)로고.webp|width=175]][br]'''{{{+1 {{{#!html 페이퍼 마리오 1000년의 문}}}}}}'''[br]'''{{{#!html ペーパーマリオRPG}}}'''[br]'''{{{#!html Paper Mario: The Thousand-Year Door}}}''' || ||<-2>{{{#!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페이퍼 마리오 1000년의 문 2024 배너.webp|width=100%]]}}}|| || '''개발''' ||[[인텔리전트 시스템즈]] || || '''유통''' ||[[닌텐도]] || || '''플랫폼''' ||[[Nintendo Switch]] || || '''ESD''' ||[[닌텐도 e숍/Nintendo Switch|닌텐도 e숍]] || || '''장르''' ||[[ARPG]] || || '''플레이 인원수''' ||1명 || || '''발매일''' ||[[파일:세계 지도.svg|width=22]] [[2024년]] [[5월 23일]] || || '''심의 등급''' ||[[게임물관리위원회|[[파일:게관위_전체이용가.svg|width=16]] '''{{{#000000,#dddddd 전체이용가}}}''']] || || '''판매량''' || || || '''공식 홈페이지''' ||[[https://www.nintendo.co.kr/switch/a9qda|[[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한국)^^ [[https://www.nintendo.com/jp/switch/a9qda|[[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일본)^^ [[https://www.nintendo.com/store/products/paper-mario-the-thousand-year-door-switch/|[[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북미)^^ || [목차] [clearfix] == 개요 == || [youtube(v76Rnm9AAU8?si)] || || 소개 영상 || [[페이퍼 마리오 1000년의 문]]의 리메이크 작품. == 발매 전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re-3JIatUTw)]}}}|| || '''닌텐도 다이렉트 2023.9.14''' [[https://youtu.be/8Ume5pSIcKE|{{{#fff 북미}}}]] || [[닌텐도 다이렉트/2023년#9월|닌텐도 다이렉트 2023.9.14]]를 통해 최초로 공개되었다. 발매 예정일은 2024년. 다이렉트 종료 후 [[https://www.nintendo.co.kr/news/article/6WlUtB4pXCJW48l6XMSte3|한국]]과 [[https://topics.nintendo.co.jp/article/aa63dd30-4bb8-4f17-83b9-a39e1d985fde|일본]]의 닌텐도 공식 홈페이지에 관련 기사가 공개되었다. 한국판의 부제는 과거에 발매된 페이퍼 마리오 시리즈의 전례를 따라 일칭이 아닌 영칭에서 따왔다. [youtube(dAdGtdxAq5s)] 2024년 3월 10일, 닌텐도의 공식 유튜브 채널에 올라온 [[마리오의 날]] 기념 영상에서 발매일이 [[2024년]] [[5월 23일]]로 확정되었다. 2024년 4월 18일, 패키지 버전의 예약 판매가 시작됨과 동시에 예약 구입 특전이 공개되었다. [[https://www.nintendo.co.kr/news/article/6zGddUlvThNpLLH7NcwueC|#]] * 아크릴 블록 오프라인 대원샵(용산 아이파크몰, 더 현대 대구), 전국 오프라인 게임전문점(일부 점포 제외), 온라인 닌텐도 브랜드관(옥션, 지마켓, 11번가, 위메프), 대형 온라인 쇼핑몰, 온라인 대원샵에서 구입 시 증정 * 미니 퍼즐 SSG.COM, 신세계아이앤씨(네이버스토어), 신세계라이브쇼핑에서 구입 시 증정 * [[마우스패드|장패드]] 토이저러스 온라인 몰, 메가마트몰, 손오공이샵(네이버스토어), 손오공50Mall에서 구입 시 증정 * [[코스터]] 세트[* 코스터의 재질은 종이이다.] 하이마트 오프라인 전 점포, 하이마트 온라인, 홈플러스 온라인, 마켓컬리, 소프라노몰, 소프라노몰(네이버스토어), 카카오 선물하기, 카카오 쇼핑하기에서 구입 시 증정 그외에 영국 닌텐도에서는 캐릭터 키링[* 종이로 된 전투 무대는 예약 특전이 아니라 선택적으로 추가비용을 내고 받을 수 있는 세트품목이다.]을, 캐나다 Game Stop에서는 오리지널 게임 큐브 시절을 본딴 슬립 케이스를 제공한다. 2024년 4월 25일, 일본과 북미 닌텐도 공식 채널에 트레일러 영상이 올라왔다. 또한, 데모를 제공받은 다양한 유튜브 채널에서 오프닝부터 첫 보스 까지의 부분부분을 담고 있는 게임플레이 영상들이 올라왔다. == 원작과의 차이점 == [[https://youtu.be/WGPevCJWxrY?si=O7iJXQsfoJQXjXRf|최초 공개 트레일러 영상과 원작 간의 비교 영상(일본어)]] [[https://www.youtube.com/watch?v=KMLAIGoCavw|영어]] * 게임플레이 * 필드에서 L버튼을 통해 동료를 빠르게 전환할 수 있게 되었다. * 원작에는 없던, 여러가지 기능을 제공하는 새로운 NPC들이 있다. * 추가된 특정 NPC를 통해 점프, 해머, 가드, 각 배지의 타이밍 연습과 곡예 타이밍 연습을 할 수 있게 되었다. * [[종이접기 킹]]의 박물관 지하처럼 토관들이 모여있어 원하는 지역으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는 방이 추가되었다. * 게임의 음악을 원작의 것으로 바꿔주는 배지가 추가되었다. * 샤인이나 별조각을 모으는 것을 통해 이번에 새로 추가된 갤러리 모드에서 컨셉아트를 보거나, 음악을 들을 수 있게 되었다. * 그래픽 및 연출 * 그래픽과 캐릭터 디자인은 원작 특유의 형태와 분위기를 그대로 가져오되 최근 작품들에서 구현된 것처럼 진짜 종이로 만든 듯한 느낌이 강화되었다. 캐릭터들의 경우 원작을 따라 [[컬러 스플래시]]부터 생겼던 하얀 테두리가 없고 관절이 따로따로 움직이지만, 완전한 평면이었던 원작과는 달리 파츠별로 흰 단면이 보이고 음영 표현도 제대로 되어 있어서 현실적인 종이 공작의 느낌이 든다. * 연출과 효과 및 애니메이션이 더욱 다채로워졌으며, 개중에는 원작에는 없었던 새로 추가된 것들, 더하여 최근작에서 가져온 것들도 있다. 특히 마리오를 비롯하여 동료들과 NPC들, 적들 까지 모두의 상황별 감정 표현이 다양해진 것이 눈에 띈다. * 원작과는 달리 일부 장면에서 현재 함께하고 있는 모든 동료들이 전부 나오게 되었다. * 원작에서 마리오를 제외한 대부분의 캐릭터들은 앞모습만 있고 뒷모습은 없었으나, 본작에서는 뒷모습이 생겼다. * TEC-XX의 눈 색이 일본판에서는 빨간색, 나머지 국가에서는 파란색이었으나, 본작에서는 모두 일본판과 같이 빨간색이다. * 대화 장면도 원작과 차이점이 존재한다. 특정 대사를 하는 조연이 바뀌기도 하고, 일문판과 영문판 양쪽 모두 단어 자체가 바뀐 대사가 존재한다. "안녕, 자기? 잠깐 우리랑 놀지 않을래? 우리 정말 잘 논다고!", "그래, 너희같은 남자들은 완전 토 나올 것 같거든! 이제 비키시지!"[*원문 "Wassup, baby? Why don't you hang with us for a while? We play real nice!", "Yeah, guys like you make me feel like TOTALLY BARFING! Now get out of our way!"] 같은 요즘 시대에 나오면 분명 논란이 생길 [[캣 콜링]] 대사가 전부 수정되었다. * 60 프레임으로 돌아갔던 원작과는 달리 30 프레임으로 돌아간다. * 부랑배 타운에서 찾아볼 수 있었던 혈흔 및 살인 현장으로 추정되는 모든 자국들이 물웅덩이로 대체되거나 사라진 것으로 보인다. * 원작과 다르게 보스전에서 보스의 HP가 0이 되면 슬로우 모션이 연출된다. * 음향 * 캐릭터들이 말할 때 나오는 소리가 원작에서는 한 가지로 통일되어 있었으나 리메이크에서는 각자의 목소리에 맞추어 나온다. * 종이접기 킹처럼 각 지역마다 배틀 브금이 다 다르게 어레인지 되어서 나온다. * 최근작에서 가져온 효과음들이 있다. * 특정 상황에서 새로 추가된 음악들이 존재한다. == [[페이퍼 마리오 1000년의 문/등장인물|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페이퍼 마리오 1000년의 문/등장인물)] == [[페이퍼 마리오 1000년의 문/챕터|챕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페이퍼 마리오 1000년의 문/챕터)] == 평가 == === 발매 전 === 발표되자마자 시리즈의 팬에게서 엄청난 호응을 이끌어냈다.[* 당장 해외의 리액션 영상만 봐도 반응이 매우 열광적인 것을 알 수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hPb96oyZuFY|#1(38:52)]] [[https://www.youtube.com/watch?v=sFXgfBi-424|#2]] [[https://www.youtube.com/watch?v=O7B0GC0U0gY|#3(1:35)]]] 특히 페이퍼 마리오 시리즈는 1000년의 문을 마지막으로 플레이 스타일과 방향성에 있어 10년을 넘게 방황하고 있었기 때문에 과거의 스타일로 회귀하는 이번 리메이크는 더욱 큰 의미를 가지게 된다. 또한 Nintendo Switch는 즐길거리가 넘쳐흘렀던 2023년도[* 당장 6월 닌텐도 다이렉트에서 첫 공개된 2023년 발매 마리오 게임이 [[슈퍼 마리오브라더스 원더]], [[슈퍼 마리오 RPG(2023)]]으로 2개나 되었으며, 그 외에도 2023년에 발매된 게임으로 [[젤다의 전설 왕국의 눈물]], [[끝내주게 춤춰라 메이드 인 와리오]] 등 다양하고 실속 있는 신작들이 1년 내내 넘쳐흘렀다. 사실상 '''스위치 소프트웨어 제2의 전성기'''라 봐도 될 정도.]에 비해 2024년도의 신작 라인업은 너무나도 부실하다는 소리를 듣고 있던 참이라[* [[어나더 코드 리컬렉션: 2개의 기억/기억의 문|어나더 코드 리컬렉션]]은 소리소문 없이 묻혔고, [[마리오 vs. 동키콩]] 리메이크, [[프린세스 피치 Showtime!]], [[루이지 맨션 다크 문|루이지 맨션 2 HD]]는 마리오 팬덤을 제외하면 반응이 다소 미지근했다.] 이에 대한 반사이익으로 1000년의 문 리메이크에 관심이 쏠리며 닌텐도의 2024년도 최고의 기대작으로서 많은 기대를 모으고 있다. === 발매 후 === ||<-3>
[[메타크리틱|[[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width=100]]]] || || {{{#fff '''플랫폼'''}}} || {{{#fff '''메타스코어'''}}} || {{{#ffffff '''유저 평점'''}}}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60012; font-size: 0.75em" [[Nintendo Switch|{{{#fff Switch}}}]]}}}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paper-mario-the-thousand-year-door, code=, g=, score=88)]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paper-mario-the-thousand-year-door, code=user-reviews/, score=미출시)] || [include(틀:평가/오픈크리틱, date=2024-05-23, code=15500, title=paper-mario-the-thousand-year-door, rate=mighty, average=89, recommend=100)] 시리즈의 최고점을 찍은 원작을 기반으로 수려한 그래픽 리메이크, 액션 커맨드 특훈 NPC와 [[페이퍼 마리오 종이접기 킹]]에서 처음 도입한 여행 토관 시스템 추가와 닽은 각종 편의성 개선 등 원작과 비교했을 때 좋은 쪽으로 꽤 많은 변화가 이루어졌다.[* 이는 전 년도에 발매된 [[슈퍼 마리오 RPG(2023)]]과는 어느 정도 대조되는 부분으로, 저쪽의 경우도 원작을 충실히 따라가며 그래픽을 올리고 일부 편의성 개선과 신규 시스템 도입을 통해 좋은 평가를 받긴 했으나, 그 점으로 인해 게임의 난이도가 크게 내려갔고, 과거 용량 문제로 들어냈던 스토리에 대한 추가 또한 없었으며, 문제가 있었던 캐릭터 밸런싱도 크게 건들지 않는 등 지나치게 원작에 충실했던 것으로 인해 [[리메이크]]가 아닌 [[리마스터]]에 가깝다는 비판을 들으며 아쉬운 점으로 남은 바 있었다.] 그 덕에 [[원작초월|원작보다도 높은 평가를 받으며]], 역대 페이퍼 마리오 시리즈의 작품 중 2번째로 [[메타크리틱]] 스코어가 높은 작품이 되었다. == 기타 == * 일본 [[CERO]]의 심의 등급이 원작에선 CERO 전연령 등급(CERO A)이었으나, 본작에선 CERO B로 등급이 올라갔다. 원작에 존재하는 교수대나 살인 현장을 연상케하는 장소, 마담클라우드 등이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2004년 원작의 경우, 원본이 되는 일본판에 존재하는 혈흔 묘사 등이 해외 수출판에서 검열을 한 바 있었는데, 이번에는 그 반대로 일본쪽의 심의가 더 엄격해진 셈이다.] 반면 북미의 [[ESRB]] 등급은 원작과 동일하게 ESRB E등급을 받았는데, 보통 CERO B등급을 받는 게임들은 못해도 ESRB E10+ 등급을 받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국가 간의 심의 판정이 명백히 엇갈린 케이스라고 볼 수 있다. 유럽의 [[PEGI]] 등급은 PEGI 3에서 7로 올라갔는데, PEGI의 경우는 2004년에 비해 PEGI 3을 받기가 굉장히 어려워졌기 때문에 놀라울 것은 없다. 한국의 경우에도 폭력성 유만 받은 채 전체이용가 등급을 받았기 때문에 [[슈퍼 마리오 오디세이]]의 사례와 유사하게 일본에서 심의 등급을 이례적으로 높게 받은 케이스라고 볼 수 있다. * 발매 년도인 2024년은 원작 [[페이퍼 마리오 1000년의 문]]의 '''20주년'''이 되는 해다. 단, 발매일은 원작의 일본 발매일인 [[7월 22일]]보다 2개월 정도 앞인 5월 23일이다. 이는 페이퍼 마리오 1000년의 문과 같은 해(2004년)에 발매되고 같은 시기에 리메이크가 발표되면서 같이 20주년을 맞이한 해에 발매한 [[마리오 vs. 동키콩]] 리메이크와 유사하다.[* 원작 2004년 5월 24일 발매, 리메이크 2024년 2월 16일 발매] * 한국어판의 본문 글꼴은 기존에 마리오 시리즈 게임들이 썼던 a뉴굴림에서 a드림고딕으로 변경되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마리오 시리즈)]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페이퍼 마리오 1000년의 문, version=488, paragraph=8)] [[분류:페이퍼 마리오 1000년의 문]][[분류:마리오 시리즈/리메이크]][[분류:2024년 Nintendo Switch 게임]][[분류:Nintendo Switch 전용 게임]][[분류:닌텐도 카탈로그 티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