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874년 출생]][[분류:1948년 사망]][[분류:잘츠부르크 출신 인물]][[분류:오스트리아의 왕자]][[분류:오스트리아-헝가리제국군/군인]][[분류:합스부르크로트링겐 가문]][[분류:제1차 세계 대전/군인]][[분류:유럽의 작위 요구자]] [include(틀:1차세계대전기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 장성급 장교)] |||| '''{{{#191919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 육군 보병대장[br]{{{+1 페터 페르디난트 대공}}}[br]Erzherzog Peter Ferdinand}}}'''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Peterferdinandösterrtosk.jpg|width=100%]]}}} || || 이름 ||'''Peter Ferdinand Salvator Karl Ludwig Maria Joseph Leopold Anton Rupert Pius Pancraz von Österreich-Toskana'''[br]페터 페르디난트 잘바토어 카를 루트비히 마리아 요제프 레오폴트 안톤 루페르트 피우스 판크라츠 폰 외스터라이히토스카나 || || 출생 ||[[1874년]] [[5월 12일]][br][[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height=15]]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br]{{{-2 [[파일:포어아를베르크, 빈, 잘츠부르크의 기.svg|height=12]] [[잘츠부르크 공국]] [[잘츠부르크]]}}} || || 사망 ||[[1948년]] [[11월 8일]](74세)[br][[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height=15]] [[연합군 점령하 오스트리아]][br]{{{-2 [[파일:포어아를베르크, 빈, 잘츠부르크의 기.svg|height=12]] 장크트길겐}}} || || 최종 계급 ||제국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육군 병과대장 계급장.svg|width=35px]] [[육군]] [[병과대장|보병대장]][br]{{{-2 (General der Infanterie)}}} || || 주요 참전 ||[[제1차 세계 대전]] || || 배우자 ||부르봉양시칠리아의 마리아 크리스티나 공주[* [[양시칠리아 왕국|양시칠리아]] 국왕 [[페르디난도 2세]]의 4남 알폰소 왕자의 차녀다.][br],,(1900년 결혼),, || || 자녀 ||고트프리트, 헬레네, 게오르크, 로자 || || 아버지 ||[[페르디난도 4세|토스카나 대공국 대공 페르디난도 4세]] || || 어머니 ||[[파르마 공국|파르마]]의 알리치아[* [[부르봉파르마의 치타]]의 고모] || || 형제 ||레오폴트 페르디난트, [[토스카나의 루이제|루이제]], [[요제프 페르디난트 폰 외스터라이히토스카나|요제프 페르디난트]], 하인리히 페르디난트, 아나, 마르가레타, 게르마나, 로베르트 페르디난트, 아그네스|| [목차] [clearfix] == 개요 == 페터 페르디난트 대공은 제 1차 세계 대전 당시 오스트리아의 황족, 군인이다. 전후에는 형으로부터 명목상의 토스카나 대공위를 계승하여 토스카나 대공가의 수장이 되었다. == 생애 == [[토스카나 대공국]] 마지막 [[대공]] [[페르디난도 4세]]가 오스트리아로 망명온 후인 [[1874년]]에 [[파르마 공국|파르마]]의 알리체 공녀와의 사이에 3남으로서 태어났다.[* 차남은 [[요제프 페르디난트 폰 외스터라이히토스카나|요제프 페르디난트 대공]]] 1900년에 [[페르디난도 2세]]의 손녀인 마리아 크리스티나와 혼인한 후에는 [[빈(오스트리아)|빈]]의 [[호프부르크]] 궁전에 있던 전 황태자비 [[벨기에의 스테파니|스테파니]]의 옛 거처에서 생활하였다. 1908년에 제 66보병연대 연대장으로 임명되었고,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2군단 휘하의 제 25보병사단 사단장으로 갈리치아 전선에서 전투를 수행하였다. 그러나 동년 발발한 코마루프 전투에서의 포위 실패에 대한 책임으로 견책을 받았고, 이듬해 6월 사단장직에서 해임되어 25보병사단은 요제프 폴레셴스키가 지휘하게 되었다. 1917년 육군 보병대장으로 진급하여 이탈리아 전선으로 발령되었으며 [[카포레토 전투]]에 참전하였다. 전쟁 말기에는 트렌토 방면에서 오스트리아군을 지휘하였다. 전후에는 스위스로 망명하였으며, 형들의 [[귀천상혼]]으로 토스카나 대공가의 수장 자리를 이어받았다. 1935년에 오스트리아로 귀국하여 오스트리아에 거주하다 1948년 오스트리아의 장크트길겐에서 사망했다. 가문 수장 자리는 장남 고트프리트가 이었다. == 가족 관계 == === 자녀 === || '''자녀''' || '''이름''' || '''출생''' || '''사망''' || '''배우자/자녀''' || || '''1남''' || 고트프리트 대공[br]{{{-2 (Archduke Gottfried of Austria, Prince of Tuscany)}}} || [[1902년]] [[3월 14일]] || [[1984년]] [[1월 21일]] || 바이에른의 도로테아[* [[루트비히 3세]]의 3남 프란츠 왕자의 딸이다.] [br]슬하 1남 3녀[* 차기 명목상 대공위 계승권자 레오폴트 프란츠(1942~2021) 등.] || || '''1녀''' || 헬레네 여대공[br]{{{-2 (Archduchess Helena)}}} || [[1903년]] [[10월 30일]] || [[1924년]] [[9월 8일]] || [[필리프 알브레히트 폰 뷔르템베르크|뷔르템베르크 공작 필리프 알브레히트]][* [[뷔르템베르크 왕국|뷔르템베르크]] 왕가의 수장, 왕국 멸망 당시 추정상속인이었던 [[알브레히트 폰 뷔르템베르크|알브레히트]]의 장남이다. [[카를 1세]]의 고종사촌이기도 하다.][br]슬하 1녀 || || '''2남''' || 게오르크 대공[br]{{{-2 (Archduke Georg)}}} || [[1905년]] [[8월 22일]] || [[1952년]] [[3월 21일]] || 발트부르크-차일-호헤넴스의 여백작 마리 발레리[* [[프란츠 요제프 1세]]의 막내딸 [[마리 발레리 마틸데 아말리|마리 발레리 여대공]]의 외손녀(맏딸 엘리자베트 프란치스카의 장녀)이다.][br]슬하 4남 5녀 || || '''2녀''' || 로자 여대공[br]{{{-2 (Archduchess Rosa)}}} || [[1906년]] [[9월 22일]] || [[1983년]] [[9월 17일]] || [[필리프 알브레히트 폰 뷔르템베르크|뷔르템베르크 공작 필리프 알브레히트]][* 위의 사람과 동일인물이다. 언니인 헬레나 여대공과 먼저 결혼했다가 사별한 뒤에 로자 여대공과 재혼했다.][br]슬하 2남 4녀[* 명목상 왕위 계승권자 카를 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