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아시아 최고층 마천루)] ||<-5> {{{+1 {{{#ffffff 역대 세계 최고층}}} [[마천루|{{{#ffffff 마천루}}}]]}}} || || [[미국]][br][[윌리스 타워|시어스 타워]][br](윌리스 타워) ||<|3> → || [[말레이시아]][br]'''페트로나스[br]트윈 타워 1, 2''' ||<|3> → || [[대만]][br][[타이베이 101]] || || [[1973년]]~[[1998년]] || [[1998년]]~[[2003년]] || [[2003년]]~[[2010년]] || || 442.1m / 108F || 451.9m / 88F || 508m / 101F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40px-Petronas_Panorama_II.jpg|width=100%]]}}} || || '''한국어 명칭''' ||페트로나스 트윈 타워|| || '''영어 명칭''' ||Petronas Twin Tower|| || '''말레이어 명칭''' ||Menara Berkembar Petronas[br](므나라 버르큼바르 페트로나스)|| || '''위치'''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 '''착공''' ||1992년|| || '''완공''' ||1998년|| || '''층수''' ||지하 5층, 지상 88층|| || '''높이''' ||451.9m[* 지붕까지의 높이는 379m이다. 그러나, 첨탑(spire)은 건물 높이로 인정되기에 공식 높이는 451.9 m.]|| || '''설계사''' ||시저 팰리[* [[아르헨티나]]의 건축가. [[홍콩 국제금융센터|홍콩 IFC]]의 디자인도 이 사람이 담당했었다.]|| || '''건설사'''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삼성물산|[[파일:삼성물산 건설부문 로고.svg|width=130]]]][* 타워2 담당.][br][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극동건설|[[파일:극동건설 CI.svg|width=70]]]][* 스카이 브리지 담당.][br][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http://www.ad-hzm.co.jp/english/index.html|[[파일:Hazama_Ando_logo.png|width=130]]]][* 타워1 담당.]|| || '''소유주''' ||[include(틀:국기, 국명=말레이시아, 출력= )] [[페트로나스|[[파일:페트로나스 로고.svg|width=50]]]] || [목차] [clearfix] == 개요 == [[말레이시아]]의 수도 [[쿠알라룸푸르]]에 지어진 [[마천루]]이자 말레이시아의 [[랜드마크]]. 말레이시아 국가 홍보에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건물이다. 이름은 건물과 동명의 국영 석유회사 [[페트로나스]]에서 따왔다. 혁신적인 기술과 [[이슬람]]적인 상징이 결합되어 모더니즘 양식의 건물과는 사뭇 다르다. [[20세기]] 들어 마천루의 높이 경쟁이 시작된 뒤 오랫동안 [[미국]]이 독점하고 있었던 세계 최고 높이의 마천루 타이틀을 최초로 [[동양]]권에서 차지했다는 점은 특기할만하다. 종전의 아시아 최고층 건물은 [[중국]] [[광저우]] 소재 391m짜리 [[시틱 플라자]]였다. 비록 가장 높은 건물이라는 타이틀은 [[대만]] [[타이베이]]의 [[타이베이 101]]과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의 [[부르즈 할리파]]에 빼앗겼지만 아직 세계에서 가장 높은 [[쌍둥이 빌딩]]이라는 타이틀은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이미 순위가 많이 밀렸기 때문에, 은근히 돈이 많은 나라인 말레이시아는 훨씬 높은 678.9m의 [[KL118]]을 또다시 짓고 있으며[* 해당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이 건물도 180미터에 달하는 높은 철침을 설치할 예정이여서 건물 자체의 높이만 놓고 보면 492미터 정도이다.] 이것이 지어지면 페트로나스 트윈 타워는 쿠알라룸푸르 시내에서도 [[콩라인]]으로 떨어질 예정. 하지만 지난 20년 간 쿠알라룸푸르 뿐만 아니라 말레이시아의 상징적 역할을 해 왔고, 여전히 세계 최고의 쌍둥이빌딩 이라는 타이틀을 가지고 있으며, 또 타워 아래에 쿠알라룸푸르에서 두번째로 큰 쇼핑몰이 있어서 수많은 사람들이 왔다갔다 하기에 이 건물들이 완성되어도 여전히 인기 관광지 목록에서는 빠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비슷한 예시로 압도적으로 높은 상하이 타워의 개장 이후로도 여전히 수많은 관광객들이 찾는 상하이의 동방명주 타워나 도쿄 스카이트리 개장 이후로도 여전히 많은 사랑을 받는 도쿄 타워, 원 월드 트레이드 센터 개장 이후로도 여전히 뉴욕을 상징하는 마천루의 대표 역할을 하는 뉴욕의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 롯데월드 타워 개장 이후로도 여전히 인기가 많은 서울의 남산타워, 63빌딩 등이 있다. 모두 오랫동안 해당 도시의 랜드마크 역할을 하며 많은 사랑을 받아 왔다는 공통점이 있다.] 타워 건물의 41, 42층에는 2층짜리 스카이브리지가 연결되어있다. 참고로 이 건물은 공식 높이가 첨탑을 포함하여서 451.9m이다. '첨탑(spire)'은 건물의 높이로 인정을 받는다. 하지만, [[윌리스 타워]]는 첨탑이 아니라 안테나였기 때문에 이것은 높이로 인정받지 못했었기에 높이가 442.1m(안테나 포함 높이는 527m)였다. 이런 이유로 페트로나스 트윈 타워는 당시 최고 높이 건물로 인정받을 수 있었다. == 건설 == 페트로나스 트윈 타워는 한일 기업 공동 건설로, 성과를 두고 한때 한일 네티즌들 사이에서 이슈가 되기도 하였다. 빌딩은 크게 타워 1, 타워 2, 하늘다리 3가지로 분류 되어 있었는데, 타워 1은 일본 기업인 하자마 건설이, 타워 2는 한국 기업인 삼성 물산이, 하늘다리는 한국 기업인 극동건설에서 맡게 되었다. 하자마 건설은 가장 먼저 도착하였고, 35일 먼저 타워 1 건설을 시작하였지만 건설 도중 건물이 25 mm 기울어지는 사고가 일어난다. 하자마 건설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였는데, 보다 늦게 시작한 삼성은 신공법[* 당시의 공법은 윈치를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담은 통을 타설지점까지 올려서 운반하는 형식이었는데 신공법은 윈치를 생략하고 콘크리트를 펌프로 끌어올려 바로 부어버리는 방법을 쓴 것이다. 이 공법을 사용하게 되면 잉여수 누수로 인한 재료분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과 셀프클라이밍 폼 공법[* 초고층 건물 최초로 이 공법이 사용됨.]을 동원하여 별 문제 없이 타워 2를 완공하여[* 첨탑은 14일 먼저 올렸고 마지막 콘크리트 작업은 2시간 16분 먼저 끝냈다.] 하자마 건설보다 먼저 완료하였다. 해당 신공법은 2000년대 후반 [[부르즈 할리파]]를 시공할 때에도 사용되었다고 한다. 두 건물 사이의 부지에는 [[영화관]]과 [[백화점]], [[서점]][* [[키노쿠니야]]], 대형 [[슈퍼마켓]], 푸드코트 등을 갖춘 대규모 복합 쇼핑센터인 수리아 KLCC와, 말레이시아 최초의 클래식 콘서트홀이자 말레이시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상주 공연장이기도 한 920석 규모의 데완 필하르모니크 페트로나스[* [[영어]]로는 페트로나스 필하모닉 홀]가 들어서 있다. [[쿠알라룸푸르]]라는 도시 자체가 [[주석(원소)|주석]]을 캐기 위해 들어온 노동자들에 의해 시작되었고 지금도 질 좋은 주석 산지로 세계적으로 유명하다. 이 쿠알라룸푸르의 특산품인 주석의 질감이 연상되는 외형을 가졌지만 사실 콘크리트 건물이며 외벽만을 스테인리스강과 유리로 덮은 것이다. == 가는 방법 == 전철로 가는 경우 [[KL 센트럴 역]]에서 [[RapidKL 클라나자야 선]](곰박행)을 타고 KLCC 역에서 하차하면 된다. 택시를 탈 경우 트윈타워라고 하면 다른 곳으로 향하니 주의. KLCC 나 페트로나스 타워라고 해야 여기로 온다. 택시는 언어가 통하지 않으면 바가지가 심하므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것이 무난하다. 요즘은 차량 공유 서비스인 Grab을 이용하는 것이 편리하기도 하다. 택시처럼 바가지 쓸 걱정도 없고 일단 다른 교통수단 보다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대신 픽업 장소를 잘 알고 있어야 하는데, 그렇지 않으면 도착한 차를 찾는 고생을 해야 될 수도 있으니 그 점은 감안해야 한다.] 목적지는 택시와 똑같이 KLCC, 혹은 페트로나스 타워라 하면 된다. == 관람 == 트윈 타워의 관람대로 올라가려면 성수기의 경우 예약이 필수이다. 따라서 미리 인터넷 예약을 하고 움직여야 한다. 아니면 인근의 KL타워를 방문하자. KL타워는 예약이 따로 필요 없고, 페트로나스 타워가 있는 금융 중심가로부터 멀지 않음과 동시에 왕궁 등 명소가 보여 단순 경치 관람에 더 적합하다. 2023년 1월 기준 KL 타워 전망대 방문 시 MySejahtera 어플에 접종 정보 등록 후 QR 코드를 발급 받아야 입장 가능하며 QR 코드가 없으면 티켓팅을 해도 입장하지 못하니 주의. == 여담 == 이 건물에 대하여 해외에서 평은 높기만 한 건물이라고 까는 의견이 많은 듯 하다. 물론, 대부분의 역사적 시간에서 서구가 주도했던 최고 높이의 건축물이 동양으로 넘어온 그 시발점이 된 사건이기 때문에 질시된 면--똥자존심--도 있다.[* 상상 이상으로 부심이나 자존심이 강한 서구 특성상 이런걸 잘 인정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비슷한 사례로 예를 들어 세계 최대 백화점 타이틀은 [[부산광역시]]의 [[신세계 센텀시티]]가 차지했지만 그 전에 그 타이틀을 가지고 있던 미국 [[뉴욕]] [[메이시스백화점|메이시즈]](Macy's) 백화점은 그 이후로도 지금까지 세계 최대(THE WORLD'S LARGEST STORE)라고 건물에 내걸어 놓고 있다.][* 참고로 2010년 이전만 해도 일각에서는 "윌리스 타워가 여전히 세계 최고층 마천루다"라고 주장하곤 했었다. 특히 안테나를 건물의 일부로 보는 측에서는 그 당시 이 건물이나 [[타이베이 101]]을 세계 최고층 마천루로 인정하지 않았다. 안테나를 포함할 경우, 이 건물은 윌리스 타워는커녕 무너진 [[제1 세계무역센터(붕괴 이전)|제1 세계무역센터]]보다도 낮기 때문. 물론 그 이후 동양에서 [[상하이타워]], [[롯데타워]], [[부르즈 할리파]], [[도쿄 스카이트리]] 등 수많은 마천루가 쏟아져 나와 말 그대로 압살하자 쏙 들어가게 되었지만...] 김영사에서 낸 앗! 시리즈에서도 세계에서 가장 높은 건물로 나오고 그 밖에 아무런 가치가 없다고 언급했다. 악평이 있긴 한데 실제로 가 보면 좀 밋밋한 [[부르즈 할리파]]나 [[타이베이 101]]보다 건축양식도 특이한 편이고 나름대로의 매력이 있다. 쿠알라룸푸르의 특산물인 [[금속]] [[주석(원소)|주석]]의 질감이 연상되도록 만들었기 때문에 햇볕 쨍쨍한 낮에 가면 거대한 금속 덩어리 느낌이라서, 가벼워 보이는 [[커튼 월|유리궁전]] 타이베이 101보다 훨씬 무겁고 육중하다는 느낌이 든다. 완공 직후인 1999년 [[숀 코너리]], [[캐서린 제타존스]] 주연의 영화 [[엔트랩먼트]]의 배경으로 나오기도 했다. [[인디펜던스 데이: 리써전스]]에서는 외계인들에 의해 '''[[영국|이역만리 떨어진]] 곳에 있는 [[타워 브리지]]에 충돌한다.''' 2002년 출시된 게임인 [[히트맨 2: 사일런트 어새신]]에 스토리 배경 중 하나로 등장한다. 외부 모습 뿐만 아니라 내부 모습까지 상당히 잘 구현되어있다. [[재키찬 어드벤처]] 시즌3에 닭 부적의 힘을 가진 닭이 공중부양으로 날아서 앉아있었다. [[성룡|재키 찬]]이 생포하려고 하지만 하필이면 옥상이 있는 곳이라서 점프한다. 사악한 전사 역시 무서워하지만 랏소도 점프를 하면서 닭을 생포하는데 재키 찬이 몸에 밧줄에 묶여서 공격을 피하지만 줄이 끊어져서 추락할 뻔했다.[* 그래서인지 사람들도 볼 정도인데 그는 미소를 짓는다.] 제이드가 옥상까지 올라온 덕분에 사악한 전사 3인조가 문에 부딛혀서 추락사하지만 연기가 되어서 사라진다. 페트로나스 트윈 타워 입찰 때만 해도 삼성은 건설업계에서 최상위권 회사는 아니었고 90년대 초반 당시 삼성건설에서 지었던 최고층 건물은 23층 삼성생명 빌딩이 전부여서 말레이시아 측에서 요구한 50층 이상 빌딩 건축 경험이 있는 건설회사 기준에는 미달이었다. 그러나, 1988년에 53층 [[트레이드타워|한국종합무역센터]]를 완공한 경험이 있는 극동건설과 컨소시엄을 이루어서 입찰 자격을 충족하고 본 문서의 페트로나스 트윈 타워를 건설하였다. [[인생역전]]이라는 보드게임에서 3번째로 비싼 건물이 이 건물이다. [youtube(cbvnbARR0R8)] [[채소연]]의 반전 뮤직비디오에서 배경으로 등장한 적이 있다. 랜드마크인 만큼 말레이시아의 대표적인 기념품 중엔 이 건물의 미니어처도 있다. [[분류:말레이시아의 랜드마크]][[분류:높이 400m 이상의 마천루]][[분류:말레이시아의 마천루]][[분류:쿠알라룸푸르]][[분류:삼성물산]][[분류:극동건설]][[분류:1998년 건설]][[분류:화폐의 도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