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평택시의 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6600 대광위.jp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평택시 CI_White.svg|width=25]] {{{#ffffff 평택시 직행좌석버스 6600번}}} || ||<-6>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평택 버스 6600 노선도 (23.01.11).png|width=100%]]}}}}}} || ||<-2> 기점 || 경기도 평택시 비전동(비전푸르지오) ||<-2> 종점 ||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신분당선강남역) || ||<|2> 종점[br]행 || 첫차 || 05:30 ||<|2> 기점[br]행 || 첫차 || 07:10 || || 막차 || 23:00 || 막차 || 00:20 || ||<-2> 배차간격 ||<-4> 20~50분(1일 36회) || ||<-2> 운수사명 || [[대원고속]] ||<-2> 인가대수 || 9대 || ||<-3> {{{#ffffff 경유 정류장}}} || || '''평택(비전/동삭/진위)''' ||<|12> ↔ || '''서울(강남)'''[*편도 편도운행] || || 비전푸르지오(중) ||<|2> KCC사옥 || || 배다리생태공원서문(중) || || 우미린센트럴파크.호반베르디움(중) ||<|2> 신논현역.금강빌딩 || || 이곡마을6단지아파트(중) (상)[br]뜨레휴이곡마을7단지아파트후문(중) (하) || || 서재자이아파트.평택법원(중) ||<|2> 신분당선강남역(중) || || 센트럴자이1단지(중) || || 동삭동현대아파트(상)[br]삼익사이버아파트(하) || 뱅뱅사거리(중) || || 쌍용자동차앞 ||<|2> 양재역.서초문화예술회관(중) || || 경기도립노인전문평택병원(상)[br]한경국립대학교정문(하) || || 서탄입구 ||<|2> 매헌시민의숲.양재꽃시장 || || 진위역 || == 개요 == [[대원고속]]에서 운행하는 [[평택시]]의 [[직행좌석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130.6km'''이다. [[http://map.naver.com/?busId=2804431|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2019년 하반기부터 관련 지자체와 공문을 주고받으며 노선 신설을 협의했다. [[https://opengov.seoul.go.kr/sanction/19223887|서울시 정보소통 광장]] * 2020년 8월 6일에 개통되었다. [[https://blog.naver.com/pt_story/222043976453|시청 블로그]] [[https://m.dcinside.com/board/transit/252775|관련 보도자료]] * 2020년 9월 21일 부로 쌍용자동차앞, [[한국복지대학교]](현 한경국립대학교 평택캠퍼스) 정류장에 정차한다. * 2021년 4월 1일부터 시간표가 일부 변경되었다. * 2021년 9월 1일에 [[경기도 공공버스]]로 전환되면서 인면허기관이 [[광주시]]에서 [[평택시]]로 변경되었다. 그와 동시에 인가대수가 1대 감차되어 9대로 운행하나 운행시간을 단축하여 배차간격은 크게 차이가 없다고 한다. 그리고, [[평택버스]]로 이관될 예정이었으나, 운행사원 고용승계 문제 등으로 인하여 보류된 것으로 보인다.[* 단, 한정면허 갱신과정에서 이관될 가능성이 있다.] [[https://opengov.seoul.go.kr/sanction/23108919|서울시 정보소통 광장1]] [[https://opengov.seoul.go.kr/sanction/23319067|서울시 정보소통 광장2]] * 2023년 1월 1일부로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로 이관되었다. [[https://c11.kr/19i93|국토교통부고시 제2022-860호]] == 특징 == * 차고지는 [[지제영업소]]와 [[평택터미널]]을 사용하고 중정비/검수는 동탄2차고지를 사용한다. 가스충전은 [[광역급행버스 M5438|M5438번]], [[평택 버스 6801|6801번]]과 같이 [[협진여객]] 본사(용이동)차고지에서 한다. 공차회송은 평택시 시내버스가 많이 다니는 [[38번 국도]]를 통해 오가며, 자주 볼 수 있으나 이 구간에서는 이 버스가 보여도 탑승할 수 없다. * 평택시에 들어오는 세번째 직행좌석버스 노선이다. 평택 시내 구간으로 따지면 2번째이고 [[광역급행버스 M5438|M5438번]]보다 더 남쪽으로 내려가지만 가장 남쪽으로 내려가는 버스는 [[안중읍]] 지역으로 가는 [[평택 버스 6800|6800번]], [[수원 버스 8471, 8472|8471번, 8472번]]이다. 단, 위도상 크게 차이나지는 않는다. * 대부분의 [[직행좌석버스(경기도)]]와 달리, [[광역급행버스]]처럼 입석 탑승이 불가하다. 선형도 그렇고 사실상 [[간선급행버스]]와 유사하다. * 기점인 비전푸르지오(중) ~ 센트럴자이1단지(중) 정류장 구간은 [[버스전용차로]](BRT)를 이용하는데 중간에 서재자이아파트.평택법원 정류장은 잠시 BRT도로를 나와서 가변 정류장에 정차하고 다시 진입하였다. 2021년 6월 23일부로 서재자이 중앙차로 정류장으로 이전 되었다. * 이 노선의 개통으로 일부시간대 [[평택터미널]]-[[서울남부터미널]] 구간 시외버스 수요에 약간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유는 [[평택터미널]]에서의 좌석지정제 시행으로 교통카드 사용불가하고[* 다만 중간정차지인 평택대 정류소와 용이동 정류장은 모든 시간대 교통카드 사용이 가능하다.] 환승할인 조차까지 되지 않는 반면, 이 노선은 교통카드 사용에 환승할인까지 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평택터미널]]에서 [[서울남부터미널]]과 [[서울고속터미널]]으로 가는 시외버스는 [[코로나19]] 영향으로 일부시간대 감축 및 결행 운행 중이며, 평택행 막차시간도 고속터미널발 기준 23시 30분으로 이른 편이었으나, 이 노선은 중간에 결행하는 시간대 없이 시간표 대로 운행하여 [[강남역]] 기준으로 24시 20분에 막차가 출발하기 때문에 심야시간대도 평택까지 충분히 오갈 수 있다. * 다만, 평택시에서 출발하는 서울행 모든 광역버스는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 시행규칙 상 시내버스 운행구역 제한 규정에 의해[* [[평택 버스 5401|5401번]]이 송탄나들목을, [[안성 버스 4401|4401번]]이 [[안성 나들목]]을 이용함에 따라 규정이 깨졌다.] [[오산IC]]를 경유하기 때문에, 6600번이 기존에 [[평택지제역]], [[평택터미널]]이나 평택대 정류장까지 가야했던 [[동삭동]] 지역이나 소사벌지구 수요 일부는 끌어올 것으로 예상되나, 종점지역인 [[비전동]]이나 용죽지구등에 가까워질수록 근처의 평택대 정류장에서 [[안성IC]]로 바로 진입하는 시외, 고속버스를 이용하는게 더 빠르다는 점으로 인해, 생각보다 수요를 끌어들이기 어려운 점이 있다.[* [[오산IC]]부터 평일 버스전용차로 구간을 시행하지만, [[오산IC]] ~ [[안성IC]] 구간은 사고나 오산 이북 정체 영향이 없으면 원활한 구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50분~1시간으로 끊어주는 기존 시외버스와 소요시간 차이가 크다.] 그나마 첫차가 고속버스보다 더 이르고 막차가 고속버스보다 늦다는 장점은 있어서 고속버스가 안다닐 시간이라면 6600번을 탈 메리트는 있겠지만 첫차는 몰라도 막차는 6600번이 종점에 오면 새벽 1시가 넘는 시간이고 이미 다른 시내버스의 막차는 전부 끊겨있을 시간이라 목적지에 따라 장거리 도보를 감수해야 할 수 있다. * 기존 [[광역급행버스 M5438|M5438번]]의 M버스 규정으로 인한 거리제한으로 그동안 정차 요구가 있었으나 정차를 못했던 [[진위면]], [[서탄면]] 주민들을 위해 [[진위역]]과 서탄입구 정류장에 정차한다. 그러다보니 소요시간이 꽤 소요되고 선형이 굽어지게 되었는데, 한경대 평택캠퍼스와 [[진위역]] 쪽으로 운행하는 대신 바로 도일동에서 [[송탄IC]]와 [[남사진위IC]]로 나와서 인근에서 [[23번 국지도]]를 타고 동탄2신도시 용구대로를 거쳐 [[기흥IC]]로 빠지자는 의견도 있으나, 이건 지방도를 더 타야되고 어차피 동탄 이북으로 가봐야 바로 경부고속도로와 연결되는 것도 아닌데다 그 쪽 구간으로 들어서면 출퇴근시간에 엄청 막히기 때문에 어렵다. * [[한경국립대학교/평택캠퍼스|한경국립대학교]]에도 정차해서 한경국립대학교의 교통이 다소 나아졌다. 그동안 이 노선이 지나가는 삼남로일대는 인구가 별로 없던 곳이어서 시내버스 노선 조차 없던 구간도 있었는데 이 노선을 이용한 평택 내부 이동 수요도 생겼고, 앞으로도 [[브레인시티]]를 비롯한 개발사업이 진행중이어서 수요 또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 2020년 10월 2일 [[광주시]] 로고에서 [[평택시]] 로고로 교체되었다. * 경기도 지원을 받아 공기정화장치기 8대가 시범 설치되었다. [[https://gnews.gg.go.kr/briefing/brief_gongbo_view.do?BS_CODE=s017&number=47842&period_1=&period_2=&search=0&keyword=&subject_Code=BO01&page=1|#]] === 시간표 === ||<-3> {{{#ffffff 평택 버스 6600번 운행시간표[br]2021년 9월 1일 기준 / }}}[[https://www.pyeongtaek.go.kr/pyeongtaek/bbs/view.do?mId=1101000000&bIdx=216842&ptIdx=57|{{{#fff 출처}}}]] || ||<-3> {{{#!folding [ 시간표 펼치기 · 접기 ] || 횟수 || 비전푸르지오 || [[강남역]] || 횟수 || 비전푸르지오 || [[강남역]] || || 1 || 05:30 || 07:10 || 19 || 14:10 ||<|16> 비전푸르지오에서[br]90~130분[br]소요 || || 2 || 06:10 ||<|17> 비전푸르지오에서[br]90분~130분[br]소요 || 20 || 14:50 || || 3 || 06:30 || 21 || 15:10 || || 4 || 06:50 || 22 || 15:40 || || 5 || 07:10 || 23 || 16:00 || || 6 || 07:30 || 24 || 16:30 || || 7 || 07:50 || 25 || 17:00 || || 8 || 08:30 || 26 || 17:30 || || 9 || 09:20 || 27 || 18:00 || || 10 || 10:00 || 28 || 18:40 || || 11 || 10:40 || 29 || 19:20 || || 12 || 11:00 || 30 || 20:00 || || 13 || 11:30 || 31 || 20:40 || || 14 || 11:50 || 32 || 21:00 || || 15 || 12:20 || 33 || 21:30 || || 16 || 12:50 || 34 || 22:00 || || 17 || 13:20 || 35 || 22:30 || 23:50 || || 18 || 13:50 || 36 || 23:00 || 24:20 || }}} || === 노선 === ||<-6> [[파일:평택시 CI_White.svg|width=25]] {{{#ffffff 평택시 직행좌석버스 6600번}}} || ||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6> '''신분당선강남역(중)'''[br]'''22009'''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15]] [[파일:SinbundangLine_icon.svg|width=15]] || ||<|2> {{{#gray 삼성화재서초타워(경유)[br]미정차}}} ||<|2> {{{#ffffff ↓}}} ||<-2> {{{#ffffff ←}}} ||<|2> {{{#ffffff ↑}}} ||<|2> {{{#gray 강남역10번출구(경유)[br]미정차}}} || || || || || {{{#gray 역삼동.우성아파트(경유)[br]미정차}}} || {{{#ffffff ↓}}} || || || {{{#ffffff ↑}}} || {{{#gray 강남역.지오다노(경유)[br]미정차}}} || || 뱅뱅사거리(중)[br]22005 || || {{{#ffffff ↓}}} || || {{{#ffffff ↑}}} || 신논현역.금강빌딩[br]22409 [[파일:Seoulmetro9_icon.svg|width=15]] [[파일:SinbundangLine_icon.svg|width=15]] || || 양재역.서초문화예술회관(중)[br]22003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5]] [[파일:SinbundangLine_icon.svg|width=15]] || || {{{#ffffff ↓}}} || || {{{#ffffff ↑}}} || KCC사옥[br]22162 || || {{{#gray 교육개발원입구교차로(경유)[br]미정차}}} || {{{#ffffff ↓}}} || || || {{{#ffffff ↑}}} || {{{#gray 서초IC(경유)[br]미정차}}} || || 매헌시민의숲.양재꽃시장[br]22296 [[파일:SinbundangLine_icon.svg|width=15]] || {{{#ffffff ↓}}} || || || {{{#ffffff ↑}}} || - || ||<-6> 이상 회차구간 || || {{{#gray 양재IC(경유)[br]미정차}}} || {{{#ffffff ↓}}} || || || {{{#ffffff ↑}}} || {{{#gray 양재IC(경유)[br]미정차}}} || || {{{#gray 청계산입구역(경유)[br]미정차}}} || || || || || {{{#gray 청계산입구역(경유)[br]미정차}}} || || {{{#gray 성남진입(경유)[br]미정차}}} || {{{#ffffff ↓}}} || || || {{{#ffffff ↑}}} || {{{#gray 서울진입(경유)[br]미정차}}} || || {{{#gray 금토JC(경유)[br]미정차}}} || || || || || {{{#gray 금토JC(경유)[br]미정차}}} || || {{{#gray 판교IC(경유)[br]미정차}}} || {{{#ffffff ↓}}} || || || {{{#ffffff ↑}}} || {{{#gray 판교IC(경유)[br]미정차}}} || || {{{#gray 서울TG(경유)[br]미정차}}} || || || || || {{{#gray 서울TG(경유)[br]미정차}}} || || {{{#gray 죽전(경유)[br]미정차}}} || {{{#ffffff ↓}}} || || || {{{#ffffff ↑}}} || {{{#gray 죽전(경유)[br]미정차}}} || || {{{#gray 신갈JC(경유)[br]미정차}}} || || || || || {{{#gray 신갈JC(경유)[br]미정차}}} || || {{{#gray 수원신갈IC(경유)[br]미정차}}} || {{{#ffffff ↓}}} || || || {{{#ffffff ↑}}} || {{{#gray 수원신갈IC(경유)[br]미정차}}} || || {{{#gray 기흥휴게소(경유)[br]미정차}}} || {{{#ffffff ↓}}} || || || {{{#ffffff ↑}}} || {{{#gray 기흥휴게소(경유)[br]미정차}}} || || {{{#gray 기흥동탄IC(경유)[br]미정차}}} || || || || || {{{#gray 기흥동탄IC(경유)[br]미정차}}} || || {{{#gray 동탄JC(경유)[br]미정차}}} || {{{#ffffff ↓}}} || || || {{{#ffffff ↑}}} || {{{#gray 동탄JC(경유)[br]미정차}}} || || {{{#gray 오산TG(경유)[br]미정차}}} || || || || || {{{#gray 오산TG(경유)[br]미정차}}} || || 진위역[br]48129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5]] || {{{#ffffff ↓}}} || || || {{{#ffffff ↑}}} || 진위역[br]15565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5]] || || 서탄입구[br]15567 || || || || || 서탄입구[br]15568 || || 한경국립대학교정문[br]48531 || {{{#ffffff ↓}}} || || || {{{#ffffff ↑}}} || 경기도립노인전문평택병원[br]48530 || || 쌍용자동차앞[br]48133 || || || || || 쌍용자동차앞[br]48132 || || 삼익사이버아파트[br]15771 || {{{#ffffff ↓}}} || || || {{{#ffffff ↑}}} || 동삭동현대아파트[br]15768 || || 센트럴자이1단지(중)[br]48966 || || || || || 센트럴자이1단지(중)[br]48333 || || 서재자이아파트.평택법원(중)[br]48225 || || {{{#ffffff ↓}}} || {{{#ffffff ↑}}} || || 서재자이아파트.평택법원(중)[br]48982 || || 뜨레휴이곡마을7단지아파트후문(중)[br]48929 || || || || || 이곡마을6단지아파트(중)[br]48924 || || 우미린센트럴파크.호반베르디움(중)[br]48742 || || {{{#ffffff ↓}}} || {{{#ffffff ↑}}} || || 우미린센트럴파크.호반베르디움(중)[br]48749 || || 배다리생태공원서문(중)[br]48896 || || || || || 배다리생태공원서문(중)[br]48897 || ||<-6> '''비전푸르지오(중)'''[br]'''48899 · 48898''' || }}}}}} || || || === 사건사고 === * 2023년 3월 22일에 경부고속도로 서울방향 동탄JC 부근에서 [[한양고속]] 소속 시외버스와 사고가 났다. 경찰은 시외버스 기사의 보복운전 가능성을 조사 중이다. [[https://www.ppomppu.co.kr/zboard/view.php?id=car&no=888464|관련 게시물]] [[https://youtu.be/pNjRXzN5v-o|관련 기사]] 한편 6600번 버스 편의 의도적 저속주행 및 추월방해가 사고를 유발했다는 의혹도 있다.[[http://web.humoruniv.com/board/humor/read.html?table=pds&number=1264586|#]]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20]] [[수도권 전철 1호선]]: [[진위역]] *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20]] [[서울 지하철 2호선]]: [[강남역]] *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20]] [[수도권 전철 3호선]]: [[양재역]] * [[파일:Seoulmetro9_icon.svg|width=20]] [[서울 지하철 9호선]]: [[신논현역]] * [[파일:SinbundangLine_icon.svg|width=20]] [[신분당선]]: 신논현역, 강남역, 양재역, [[양재시민의숲역]] == 둘러보기 == [include(틀:대광위 준공영제 버스 노선)] [[분류:경기도의 직행좌석버스]][[분류:평택시의 시내버스]][[분류:2020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서울특별시를 경유하는 평택시 시내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