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이 선로를 이용할 예정인 KTX 운행계통, rd1=수원발 KTX)] [include(틀:미개통)] [include(틀:대한민국의 국가철도 및 전용철도 노선)] ||<-2> {{{#white '''{{{+2 평택고속연결선}}}''' [br] {{{#!wiki style="letter-spacing: -0.8px" 平澤高速連結線 / Pyeongtaek Highspeed Connecting Line}}}}}} || ||<-2> [[파일:w1FT1bt.jpg|width=100%]] || || '''소유자''' || [[대한민국 정부]][br],,[[국가철도공단]]에 소유권 행사 위임,, || || '''운영기관''' || [[한국철도공사]] || || '''노선번호''' || 10301 || || '''노선명''' || 수서평택고속선 평택고속연결선 (水西平澤高速線 平澤高速連結線) || || '''종류''' || [[대한민국의 간선철도|간선철도]], [[대한민국의 고속철도|고속철도]] || || '''영업거리''' || 4.8km || || '''궤간''' || 1,435mm || || '''역수''' || 2 || || '''기점''' || [[서정리역]][* 경기도 평택시 서정동 402-53 일원] || || '''종점''' || [[평택지제역]][* 경기도 평택시 지제동 192-2 일원] || || '''전기''' || 교류 25,000V 60㎐ [[가공전차선]] || || '''신호''' || [[TVM|TVM430-SEI]] || || '''개업일''' || 2025년 예정 || || '''운영노선''' || [[KTX]] || [목차] [Clearfix] == 개요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gnnews.org/2727_3388_1037.jpg|width=100%]]}}}|| || 평택고속연결선 계획도 || [[수서평택고속선]] [[평택지제역]]과 [[경부선]] [[서정리역]]을 이을 개통 예정 노선이다. 평택지제역에서 [[SRT]]의 [[수서평택고속선]]과 [[경부선]]이 짧게나마 병주하고 수원역 경유/발착 [[KTX]]의 고속화 움직임도 생김에 따라 둘을 연결하자는 기막힌 아이디어에서 출발한 [[연결선로]]다. 계획 단계에서는 지제연결선으로 불렸으나, 2021년 국토교통부 고시를 통해 평택고속연결선으로 노선명이 확정되었다. [[https://gwanbo.go.kr/ezpdf/customLayout.jsp?contentId=I0000000000000001618972321107000&tocId=I0000000000000001618536771963000&isTocOrder=N&name=%25EA%25B5%25AD%25ED%2586%25A0%25EA%25B5%2590%25ED%2586%25B5%25EB%25B6%2580%25EA%25B3%25A0%25EC%258B%259C%25EC%25A0%259C2021-329%25ED%2598%25B8(%25EC%2582%25AC%25EC%2597%2585%25EC%259A%25A9%25EC%25B2%25A0%25EB%258F%2584%25EB%2585%25B8%25EC%2584%25A0%25EC%25A7%2580%25EC%25A0%2595%25EA%25B3%25A0%25EC%258B%259C)|#]]2025년 개통예정이다. == 개통 시 효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수원발 KTX)] 현재 수원 경유 경부선 KTX 하행 노선은 대전 이남에 가서야 경부고속선을 탄다. 평택고속연결선이 완공되면 [[수원역]]을 출발한 [[수원발 KTX]]와 [[수원 경유 KTX]]는 경부선 - [[서정리역]] 통과 - 평택고속연결선 - 수서평택고속선을 통해 [[경부고속선]]으로 진입한다. 이렇게 되면 수원역의 KTX 편성이 늘고 수원발/수원 경유 KTX의 표정속도가 올라간다. 기존의 경부선 운행 계통 외에 호남선, 전라선, 경전선, 동해선 운행 계통도 생길 수 있다. 수원발 KTX 사업에 호남선 운행 계획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지금은 수원역 경유 운행 계통이 대전역까지 경부선을 타고 계속 내려가므로 호남고속선에 진입할 수 없고, 정 운행해야한다면 [[익산역]]까지는 [[경부본선]]과 [[호남본선]]만을 이용해서 저속운행을 해야한다. 평택고속연결선이 생기면 호남고속선 분기역인 오송역까지 고속선으로 운행할 수 있으므로 이 문제는 해결된다. == 상세 == 이 노선의 건설 방식이 [[평면교차]]인가 [[입체교차]]인가에 대한 논란이 일부 있었다. 예비타당성조사에서는 서정리역 이남에서 [[KTX]]와 [[무궁화호]], [[누리로]], [[새마을호]], [[ITX-새마을]]이 운행하는 경부1선(경부선 안쪽 2개 선로)에서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운행하는 경부2선(경부선 바깥쪽 2개 선로)으로 건너간 뒤, 2선에서 분기하여[* [[https://pimac.kdi.re.kr/study/study_view.jsp?pub_no=14997&pageNo=1&classcd=F11|KDI 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 페이지 110] [[입체교차]]로 [[경부선]]을 횡단한 뒤 [[수서평택고속선]]에 합류하는 형태로 계획되고 있다.[* [[https://pimac.kdi.re.kr/study/study_view.jsp?pub_no=14997&pageNo=1&classcd=F1|KDI 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 페이지 107~109] 그 이유는 공간 문제인데, 이는 기존 선로 이설을 동반하는 대공사가 있지 않은 이상 1선과 2선 사이에 1선과 고속선을 직접 연결할 수 있는 연결선로가 비집고 들어갈 공간이 없기 때문이다. 원활한 운행을 위해 [[서정리역]] 최외곽에 있는 인상선을 개량하여 통과선으로 만들 예정이다. == 역 정보 == [include(틀:철도 관련 정보/일러두기)] * 2021년 4월 23일 기준[* 국토교통부 고시 제2021-329호] || ㎞ |||| 역명 || 여객 || 화물 || 등급 || 분기선 || 소재지 || || 0.0 || [[서정리역|서정리]] || 西井里 ||mT || ― || ○ || [[경부선]] ||<|2> [[경기도]] [[평택시]] || || 4.8 || [[평택지제역|평택지제]] || 平澤芝制 ||~~k~~rt || ― || ◑ || [[수서평택고속선]] || [[분류:대한민국의 착공 예정 철도 노선]][[분류: 경부선의 지선철도]][[분류: 수서평택고속선]][[분류:2025년 개업 예정인 철도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