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평택대학교]] [include(틀:상위 문서, top1=평택대학교)] [include(틀:평택대학교)] ---- [include(틀:평택대학교의 역사)] [목차] == 개요 == >'''Truth, Justice, Service''' >'''진리, 정의, 봉사''' 경기도 평택시 용이동에 위치한 개신교 계열의 4년제 사립대학. 1912년, 조선예수교장로회에서 서울특별시 종로구 신문로에 초교파적인 재단법인 성경학원으로 설립하였고, 기금을 희사한 미국인 [[선교사]] [[아더 태펀 피어선]] 목사를 기념하여 피어선기념성경학원이라 칭하였다. 1968년 피어선기념성서신학교로 개칭되었다. 1980년 학교법인 피어선기념학원을 설립하고 피어선성서신학교 설립을 인가받아 다음해인 81년 현 위치로 교사를 신축 이전하면서 개교했다. 1983년 4년제 학력인정학교로 지정되고 1984년 피어선신학교로 개명하였다. 1990년 피어선대학으로 교육부의 개편 승인을 받은 후 1992년에 피어선대학교가 개교되었다. 이후 1996년에 평택대학교가 되었다. == Arthur T.Pierson(아더 태펀 피어선)의 역사 == == 피어선기념성경학원 == 국내의 사역에 집중하던 피어선은 1910년 목회 50주년이 되던 해 허드슨 테일러의 초청으로 일본, 한국, 중국, 인도, 이집트 등의 극동지역 선교여행을 하게 되었다. 일본에 도착했을 때 그는 이미 질병으로 고통스러워 하였다고 전해진다. 한국에 와서(1910.12 ~ 1911. 1) 선교사들을 위한 성경강해를 하였으며, 매우 열악한 여건에서도 성경을 공부하는 조선인들의 모습에 크게 감동 받아서 성경학교 설립을 약속하였는데 질병이 심해져 고국에 돌아간 뒤에 곧 사망하였다. 유족과 친구들, 후원자들이 피어선 박사의 유언에 따라 조선에 초교파적 성경학교를 설립한 것이 1912년 서울 서대문구 협성신학교 내에서 시작된 피어선기념성경학원이다. == 대학 역사 == [[https://www.ptu.ac.kr/www/523/subview.do]] 대학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대학역사, *토글밑은 옮겨온 글이다. === 1912 ~ 1979 === ''' 1912년''' 피어선 박사(Dr. Arthur T. Pierson)의 유지에 따라 서울 서대문구 냉천동 협성신학교의 교사 일부를 임시교사로 사용하기로 하고, 초교파적인 성경학원을 설립하여 이름을 피어선기념성경학원이라 하였다. (1912. 10. 15.) ''' 1913년 ''' 관계당국으로부터 재단법인 피어선기념성경학원 유지재단 설립 허가를 받다. (1913. 09. 01.) ''' 1914년 ''' 1914년부터 피어선기념성경학원 졸업이 협성신학교의 입학 필수조건이 되다 (1914. 12. 01.) [[경성부]] [[서대문]]정 2정목 89번지(현 서울시 종로구 신문로 2가 89번지)의 부지를 교지로 매입 (1914. 12. 12.) ''' 1915년 '''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 연세대학교 설립자 중 1] 박사와 로버트 스피어 박사의 참석 하에 본관의 정초석을 놓는 행사거행 (1915. 09. 17.) ''' 1916년 ''' 언더우드 박사 사망 (1916. 10. 12.) 조셉 저다인 제 2대 원장 취임 (1916. 06. 01.) ''' 1979년 ''' 경기도 안성군 원곡면 용이리 산 84번지 피어선성서신학교 신축기공 (1979. 06. 03.) === 1980 ~ 1989 === ''' 1980년 ''' 趙基興[* 조기흥] 선생에 의하여 문교부로부터 학교법인 피어선기념학원과 피어선성서신학교(4년제 대학, 신학과, 사회복지학과, 종교음악학과) 설립을 인가 받다. (1980. 12. 29.) ''' 1981년 ''' 피어선성서신학교 개교하다. (1981. 03. 01.) 피어선성서신학교 초대학장에 조문기 학장서리 취임하다. (1981. 03. 02.) 대학 본관 건물을 준공하다. (1981. 06. 04.) 피어선성서신학교 제2대 학장에 박인병박사 취임하다. (1981. 12. 01.) ''' 1982년 ''' 피어선학원창학 70주년 기념식을 갖다. (1982. 10. 15.) ''' 1983년 ''' 경기도평택교육지원청과 상호협약을 체결하다. (1983. 05. 06.) 일본 루터신학대학과 자매결연 맺다. (1983. 07. 04.) ''' 1983년 ''' 문교부로부터 상급학교 입학학력 인정학교로 지정받다. (1983. 08. 23.) ''' 1984년 ''' ''' 피어선신학교'''로 개명하다. 1984. 03. 01.) ''' 1985년 ''' 피어선신학교 제3대 학장에 전호진 박사 취임하다. (1985. 03. 02.) 서울 신문로에 있었던 피어선기념성경학원 본관을 원형그대로 복원하여 준공하다. (1985. 10. 03.) ''' 1986년 ''' 피어선기념성경학원 본관을 원형그대로 복원한 건물의 이름을 “피어선 기념관”이라 칭하기로 결정하고 피어선 박사의 75주 기일인 86. 6. 3에 개관예배를 드리고 개관하다. (1986. 06. 03.) 지역사회개발학과 신설하다.(1986. 12. 06.) ''' 1987년 ''' 학원창학 75주년을 맞이하여 학교 진입로 개통식을 거행하고 생활관 기공식을 갖다. (1987. 10. 15.) ''' 1988년 ''' 피어선신학대학교 제 4대 학장에 박달진 목사 취임하다. (1988. 03. 02.) ''' 1989년 ''' 미국 고든콘웰신학대학과 자매결연 맺다. (1989. 10. 06.) == 후술 == 아더 태펀 피어선과 언더우드는 친구이자 동료 선교사였습니다. 피어선은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가 뉴브런즈윅에 있는 화란개혁신학교에 다닐 때 그의 멘토였다. 피어선은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에게 선교에 대해 큰 영향을 미쳤고, 언더우드는 피어선의 격려와 지원을 받아 한국에 선교사로 파송될 수 있었다. 언더우드는 한국에서 선교 활동을 하면서 피어선의 가르침을 실천했으며, 한국 기독교의 발전에 큰 기여를 하였다. --사실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가 설립한 연세대학교의 옛전신인 조선개신교학교는 피어선의 영향을 받았다고 할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