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폐 관련 질환 및 증상]] [목차] || [[한국어]] ||폐기종 || || [[영어]] ||Emphysema, Pulmonary emphysema || || [[한자]] ||[[肺]][[氣]][[腫]] || == 뜻 == 폐포가 부풀어 인접한 다른 폐포와 합쳐지면서 큰 공기주머니(기종)을 만들어 폐가 제대로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것이다. [[만성 기관지염]]과 함께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하나이다. == 증상 == 평소에는 약간 숨이 차지만, 만약 [[감기]]나 [[인플루엔자|독감]]에 걸리거나 공해가 심하여 자극을 받으면 지옥이 열린다. 이 환자가 숨차하는 모습을 옆에서 지켜보기만 해도 숨이 찰 정도. == 원인 == 종말 세기관지의 원위부 페포 벽 파괴로 생긴다. 여성보다 남성이 많고, 마른 남자. 마르고 신경질적, 청색증은 드물다. 발생 인자 : 흡연, 환경성 유독 물질 등 * 병태 생리 * 폐포벽의 파괴로 인한 확산 장애와 페모세혈관 감소 * 말기 : 폐고혈압으로 인한 우심부전, 폐심장증 (Cor Pulnonale 폐성심), 폐렴 등으로 사망 * 파괴된 폐조직으로 인한 폐포 허탈화, PEEP 효과 위해 입술을 오므리고 호흡. * 다혈구증 : 보상기전, 보통 폐기종은 정상이나 심할 때 증가. 만성기관지염일 때 더 증가. * PaCO2의 증가로 인해 저산소에 의한 말초 화학수용체 자극, 빈호흡으로 보상 * 산소 투여 < 2 L/m 산소를 많이 주게 되면 빈호흡 상태에서 정상호흡 상태가 되고, 이산화탄소 배출이 어렵게 된다. == 진단법 == * 최근의 체중 감소 * 신체활동 때 호흡곤란으로 활동 제한 * 거의 기침이 없다. (아침에 약간) * 흡연력 : 보통 20P/yr 경과 후에 시작. * barrel chest (흉곽 전후 직경의 증가) * 호기 연장 * 마른 체격 : 호흡근 과다 사용으로 인해 호흡근은 비대 * 손가락의 곤봉형 변형 * 입술 오므리고 호흡 Purse lips * 호흡음 저하, 휘파람소리 호흡음, 거친 수포음, 천식음(천식음은 폐쇄성 폐질환 공통) * 우심부전으로 인해 경정맥 팽창, 말초부위 부종, 간 충혈 * X-ray 나 가슴의 CT를 찍어 보면 공기만 가득 찬, 즉 모세혈관이나 세기관지나 허파 꽈리가 없는 공기 주머니가 보통 환자의 폐 곳곳에 보인다. == 치료 == 보통 베타 기관확장제나 [[스테로이드]] 같은 흡입치료제로 치료한다. 심하면 기관삽관을 해야 한다. 인공호흡기 치료를 할 수도 있다. == 기타 == 마른 사람이 얼굴이 시뻘개져서 헉헉대는 모습에서 따왔는지 흔히 pink puffer라고 한다. [[만성 기관지염]]은 blue bloater라고 한다. [[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중학교#동물과 에너지|중학교 2학년 과학 동물과 에너지 단원]]에서 [[호흡계]] 부분을 할 때 자주 언급된다. 흔히 폐포가 공기와 접촉하는 표면적에 관한 문제에서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