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참파 군주)] || '''[[왕호]]''' ||<(> 포 비나수오르(Po Binasuor) || || '''[[휘]]''' ||<(> 아답아자(阿答阿者 / A Đáp A Giả(아답아지아)) [br] 제봉아(制蓬峩 / Chế Bồng Nga(쩨봉응아)) || || '''생몰기간''' ||<(> ????년 ~ 1390년 || || '''재위기간''' ||<(> 1360년 ~ 1390년 || [목차] == 개요 == [[참파]] 제13왕조의 제3대 국왕. [[베트남]]의 사서에서의 이름은 제봉아(制蓬峩, Chế Bồng Nga)이며, [[명사]]에서의 다른 이름은 아답아자(阿答阿者, A Đáp A Giả). [[베트남]] [[대월]]([[쩐 왕조]])을 수차례 공격하여 수도를 수차례 점령한 '''[[참파]] 최후의 [[명군]]'''이다. 제봉아가 즉위하기 이전에는 [[대월]](베트남, 쩐조)은 참파를 밀어내고 중부 지역까지 진출했다. 제봉아는 1360년에 즉위하였고, 대월에게 반격을 시작하였다. 반격은 성공적이였고, 대월은 수도를 점령당하는 등 위기를 맞았으며 1377년, 쩐 왕조의 황제 [[예종(쩐 10대)|예종(10대)]]은 참파를 공격하였으나 되려 패배하고 전쟁에서 전사하였다. 이후에 1390년 전쟁 중에 전사하였다. == 행적 == 전왕 마하 수와가 사망하자, 제봉아는 1360년에 그 뒤를 이어서 참파 국왕으로 즉위하였다. 즉위한 동시에 대월(베트남)으로 사절을 파견하여 베트남이 빼앗아간 옛 영토의 반환을 요구했고, 1361년~1390년에 걸쳐서 30여 년 동안 끊임없이 당시 베트남의 [[베트남/역사#s-5.4|쩐 왕조]]를 공격하여 베트남을 크게 몰아붙였다. 특히 1371년에는 당시 왕도였던 [[탕롱]] 성(지금의 [[하노이]]에 위치함)을 불태워 버리는 등 엄청난 패기를 발산한다. 1377년에는 당시 친정에 나서 참파를 공격하였던 쩐 왕조의 황제 [[예종(쩐 10대)|예종]](睿宗)을 전사시킨 뒤, 또 다시 탕롱을 털었고, 그 이듬 해에도 또(...) 탕롱을 털었다. 그러나 1390년에 전함 수백 척을 이끌고 베트남을 공격했을 때, 사전에 포 비나수오르가 녹색 배에 탑승해 있다는 정보를 안 베트남군이 포 비나수오르의 배에 일제히 총격을 가했다. 포 비나수오르는 어이없게 사망하였으며, 참파군이 혼란에 빠진 와중에 포 비나수오르의 머리는 잘려 베트남 황제에게 바쳐졌다. 포 비나수오르가 전사한 뒤, 카리스마적인 인물을 잃어버린 참파의 기세는 급속도로 수그러들게 된다. '''이후 참파는 두번 다시 [[중흥]]하지 못하였다.''' == 평가 == 포 비나수오르 왕의 재위기간 중에 베트남의 수도 탕롱은 세 번에 걸쳐 약탈당했고, 현재의 베트남 중부 지역까지 내려왔던 베트남의 영토는 베트남이 중국의 지배에서 갓 벗어났을 무렵 정도까지 북쪽으로 밀려나 수축될 정도였다. 또한 포 비나수르 왕은 [[무슬림]]으로 개종하여 참파에 [[이슬람]]이 대두되기 시작했으며 현대 이슬람 [[참족]]를 형성하는데 지대한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포 비나수오르 왕은 그야말로 참파 왕국의 마지막 불꽃을 태운 명군이라 할 수 있다. 반면 이러한 포 비나수오르의 활약은 [[베트남사]]에서는(...) 쩐 왕조의 위신을 크게 실추시켰고, 외척인 [[호꾸이리]](호계리)가 대두하여 쩐 왕조를 찬탈하여 멸망시키고 [[호 왕조]]를 세우고, 그리고 [[명나라]]의 침공으로 호 왕조를 멸하여 베트남이 다시금 [[교지(명)|중국의 통치하 제2의 북속기]]로 전락하는 계기 중 하나가 되기도 했으니 그야말로 참파의 부흥뿐만 아니라 베트남 내부까지 뒤흔들어버린 일대 사건이었다. 이런 이유로 베트남의 설화에는 포 비나수오르를 아주 사악하고 악독한 [[남만]]의 대마왕(…)급으로 묘사하고 있는데, 비록 베트남 중심주의적인 묘사이나 그만큼 그의 활동이 베트남에 끼친 영향이 크다는 반증이 된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참파, version=278)] [[분류:참파 국왕]][[분류:1390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