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현대자동차가 포드로부터 도입하여 생산한 차량, rd1=현대 그라나다)] || [[파일:포드 로고.svg|width=25%]]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Ford_granada_ghia_x.jpg|width=100%]]}}} || || {{{#ffffff '''GRANADA'''}}} || [목차] '''Ford GRANADA''' == 개요 == 포드 그라나다는 유럽형과 북미형 2가지가 있으며, 이름만 공유할 뿐 독자적인 모델이다. 유럽형은 유럽 포드(독일 포드)에서 1972년부터 1994년까지 생산된 고급 [[준대형차]]이다. [[현대자동차]]에서 2세대를 라이센스 생산했다. 1세대와 3세대 모델은 국내에서 생산되지 않았다. 상세한 내용은 [[현대 그라나다]] 참조. 북미형은 미국 포드에서 1975년부터 1982년까지 생산한 [[중형차]]이다. 2세대 세단은 전장이 무려 5m가 넘는데, 무슨 이유인지 위키피디아 영문판에서는 중형차(미드 사이즈 카)로 분류하고 있다. 2인승 컴팩트카로 설계되었지만 점차 커지면서 나중에 5인승 세단으로 확대되었다. [[그라나다]]는 스페인어로 석류라는 뜻이며, [[알함브라 궁전]]이 있는 [[그라나다(스페인)|스페인 남부 지명]]과 [[그라나다(아구스틴 라라 작곡)|가곡]]으로도 유명하다.[* 러시아어로 [[수류탄]](граната)이라는 뜻이기도 하다. 영어에서도 '그레네이드'라고 하면 수류탄을 말한다. 역시 어원은 스페인어 낱말이다. 형태의 유사성으로 인해 그러한 이름이 붙었다. 한국어로도 손을 뜻하는 '수'와 석류를 뜻하는 '류'의 합성어이다.] == 유럽형 == === 1세대 (1972~1977) === ||[[파일:그라나다1-1.jpg|width=100%]]||[[파일:그라나다1-2.jpg|width=100%]]|| || 그라나다 L 4도어 || 그라나다 기아(Ghia) 4도어 || 1972년에 출시된 1세대는 영국 포드에서 판매했던 [[포드 제퍼]]의 후속으로 출시되었다. 2도어 세단 및 쿠페, 4도어 세단, 5도어 왜건이 있었다. 같은 시기 [[대만]]에서 류허기차(六和汽車, 1969년 설립)[* 류허 그룹(六和企業集團, 1948년 설립)의 일원으로 모기업은 당시 [[대한민국]]의 [[삼호그룹(1932)|삼호방직]]과 [[경방]]처럼 방직업으로 시작되었다.]를 통해 출시되었으며 포드 브랜드로 출시한 첫 차종으로 3세대 모델까지 생산되었으며 이듬해에 [[대한민국]]에서도 [[현대자동차]]를 통해 1세대 모델을 출시하려 했으나 1차 [[오일쇼크]]로 인해 상공부의 6기통 자동차 생산 불허로 생산되지는 못하고 아래의 2세대 모델을 출시하게 된다. === 2세대 (1978~1985) === ||[[파일:그라나다2-1.jpg|width=100%]]||[[파일:그라나다2-2.jpg|width=100%]]|| || 전기형 2도어 세단 || 후기형 4도어 세단 || ||[[파일:포드 그라나다 2세대 전기형 후측면.jpg|width=100%]]||[[파일:포드 그라나다 2세대 후기형 뒷면.jpg|width=100%]]|| || 전기형 뒷면 || 후기형 뒷면 || 1977년에 출시된 2세대는 2도어 쿠페가 삭제되고 2도어/4도어 세단, 5도어 왜건이 존재했다. 또한 전장이 대폭 길어지면서 휠베이스도 약간 늘어나게 되었다. 스타일링은 크게 달라졌으나 메카니즘이나 플랫폼은 그대로 유지하였기 때문에 사실상 빅 마이너 체인지 수준[* A필러와 B필러 쪽을 보면 선대의 흔적이 상당수 남아있다. 2010년대 이후 기준으로는 그냥 대규모 페이스리프트 수준으로, 지금으로 치면 [[그랜저 IG]]의 전기형과 후기형의 관계와 비슷한 수준이다.]이었고, 5도어 웨건은 선대 모델의 페이스리프트였다. 엔진은 가솔린 6종과 [[푸조]]에서 가져온 디젤 3종이 있었고 4단/5단 수동 혹은 3단 자동변속기가 맞물렸다. 1981년에 페이스리프트를 거쳤고 1985년까지 생산되었다. 배기량 1,993cc로 V6 [[포드 쾰른 엔진|쾰른]] OHC 엔진를 얹었으며, 최고출력 102마력(5,700rpm) 최대토크 16.9kgm(3,500rpm) 최고속도 165km/h를 발휘했다. 변속장치는 동시치합식으로 전진 4단/후진 1단 [[수동변속기]]였다. 점화계통의 배전기는 무접점식이고, 연료계통의 기화기는 2벤츄리 수직형(SOLEX 제품)이다. 오토초크를 채용했으며 흡입공기 자동온도 조절방식을 적용했다. 연료 탱크 용량은 65ℓ였다. 냉각계통은 강제순환 수랭식이었다. 현가장치는 4륜 독립 현가장치로 앞뒤 모두 코일 스프링 및 복동식 쇼크 업소버를 적용했다. 조향장치는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이 적용된 랙&피니언 타입이고 제동장치는 복식 다이어프램 서보 유니트를 가진 이중 유압 제동장치였다. 당시 포드와 기술제휴 관계였던 [[현대자동차]]에서 그라나다를 들여와 한국에서 판매하였다. 당시 나름대로 괜찮은 성적을 올렸지만 [[대우 로얄]]에 밀려 2인자에 머물러야만 했다. 여담으로 후기형의 헤드램프, 테일램프, 라디에이터 그릴 등이 [[현대 스텔라]] 초기형과 매우 비슷하게 생겼다. === 3세대 (1985~1994) === ||[[파일:그라나다3.jpg|width=100%]]||[[파일:그라나다3-1.jpg|width=100%]]|| || 해치백 || 세단 || 유럽 지역에서는 [[포드 스콜피오|스콜피오]]라는 이름으로 팔렸지만, 영국과 아일랜드에서는 그라나다의 이름을 계속 쓰게 되었다. 2도어가 사라지는 대신 5도어 해치백이 추가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포드 스콜피오]] 문서 참고. 이외에 [[아시아]]권에도 생산되기도 했으나 [[대만]]에서는 판매량 부족으로 단종. [[대한민국]]에서는 이미 [[현대 그랜저|후속 모델]]이 존재하기 때문에 생산되지 않았다. == 북미형 == === 1세대 (1975~1980) === ||[[파일:그라나다75.jpg|width=100%]]||[[파일:그라나다76.jpg|width=100%]]|| || 1975년식 4도어 || 1976년식 2도어 || ||[[파일:그라나다77.jpg|width=100%]]||[[파일:그라나다78.jpg|width=100%]]|| || 1977년식 4도어 || 1978년식 ESS 4도어 || ||[[파일:그라나다79.jpg|width=100%]]||[[파일:그라나다80.jpg|width=100%]]|| || 1979년식 4도어 || 1980년식 2도어 || [[머큐리(자동차)|머큐리]] 브랜드를 통해 [[머큐리 모나치|모나치]]로 판매되었으며, 모나치의 고급 사양인 '그랜드 모나치 기아' 사양도 있었으나 [[1977년]]부터는 [[링컨 베르사유]]로 [[배지 엔지니어링]]이 이루어졌고 저조한 판매량으로 3년만인 [[1980년]]에 단종되었다. === 2세대 (1981~1982) === ||[[파일:그라나다81a.jpg|width=100%]]||[[파일:그라나다81b.jpg|width=100%]]|| || 1981년식 2도어 || 1981년식 4도어 || ||[[파일:그라나다82a.jpg|width=100%]]||[[파일:그라나다82b.jpg|width=100%]]|| || 1982년식 4도어 || 1982년식 5도어 왜건 || == 둘러보기 == [include(틀:포드의 차량)] [include(틀:유럽 올해의 차/1970년대)] [[분류:포드/생산차량]][[분류:1972년 출시]][[분류:1994년 단종]][[분류:준대형 세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