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FFF {{{+2 '''포르트 마요'''}}}}}} || ||<-3> [[RATP|[[파일:RATP그룹 아이콘.svg|width=25]]]] || || [[라 데팡스(그랑드 아르슈)역|{{{-1 {{{#585858 라 데팡스[br](그랑드 아르슈) 방면}}}}}}]][br][[레 사블롱역|레 사블롱]][br]← 1.0 km || [[파리 지하철 1호선|[[파일:파리 지하철 1호선 아이콘.svg|width=25]]]][br]{{{-2 {{{#000 (3001)}}}}}} || [[샤토 드 뱅센역|{{{-1 {{{#585858 샤토 드 뱅센 방면}}}}}}]][br][[아르장틴역|아르장틴]][br]0.4 km → || ||<-3>[include(틀:지도,장소=Porte Maillot 75116 Paris,너비=100%,높이=300px)]|| ||<-3> '''다국어 표기''' || || 프랑스어 ||<-2>Station Porte Maillot || ||<-3> '''주소''' || ||<-3> 75016 / 75017 Paris, France || ||<-3> '''역 운영기관''' || || [[파일:파리 지하철 1호선 아이콘.svg|width=25]] ||<-2> [[RATP|[[파일:RATP그룹 아이콘.svg|width=25]]]] || ||<-3> '''개업일''' || ||<-3> 1900년 7월 19일 || ||<-3> {{{+2 '''뇌이-포르트 마요역'''}}}(RER)[br]1구간 || ||<-3> [[SNCF|[[파일:SNCF 로고.svg|width=40]]]] || || [[몽티니-보샹역|{{{-1 {{{#585858 보샹,}}}}}}]] [[퐁투아즈역|{{{-1 {{{#585858 퐁투아즈 방면}}}}}}]][br][[페레르-르발루아역|페레르-르발루아]][br]← -.- km || [[RER C선|[[파일:RER 아이콘.svg|width=25]][[파일:RER C선 아이콘.svg|width=25]]]] || [[퐁 드 룅지스-오를리 공항역|{{{-1 {{{#585858 티애, 오를리 공항,}}}}}}]][br][[마시 TGV역|{{{-1 {{{#585858 맛시-팔래조 방면}}}}}}]][br][[아브뉘 포슈역|아브뉘 포슈]][br]-.- km → || || [[몽티니-보샹역|{{{-1 {{{#585858 보샹 방면}}}}}}]][br][[페레르-르발루아역|페레르-르발루아]][br]← -.- km || [[RER C선|[[파일:RER 아이콘.svg|width=25]][[파일:RER C선 아이콘.svg|width=25]]]] || [[두르당역|{{{-1 {{{#585858 두르당,}}}}}}]][br][[브르티니역|{{{-1 {{{#585858 브르티니 방면}}}}}}]][br][[아브뉘 포슈역|아브뉘 포슈]][br]-.- km → || ||<-3> '''다국어 표기''' || || 프랑스어 ||<-2>Gare de Neuilly - Porte Maillot || ||<-3> '''주소''' || ||<-3> 82, avenue de la Grande-Armée 75017 Paris || ||<-3> '''역 운영기관''' || || [[RER|[[파일:RER 아이콘.svg|width=25]]]][[RER C선|[[파일:RER C선 아이콘.svg|width=25]]]] ||<-2> [[SNCF|[[파일:SNCF 로고.svg|width=50]]]] || ||<-3> '''개업일''' || ||<-3> 1854년 5월 2일 || [목차] == 개요 == [[파리(프랑스)|파리]] 17구의 북서쪽 경계선에 위치한 [[파리 지하철]] 정거장이다. [[파리 지하철 1호선|1호선]] 열차가 운행하며 [[RER C선]] 뇌이-포르트 마요역(Gare de Neuilly - Porte Maillot)과 연결되어 환승이 가능하다. 2020년 이용객은 378만명[* RER 이용분 미포함]을 기록했다. == 역 정보 == 1900년 개통 당시 1호선의 종착역으로 개업했는데, [[서울 지하철 6호선]]과 비슷하게 순환선으로 설계되어 철로 하나짜리 역 두개가 남북으로 마주한 구조로 출발했다. 그러나 1호선을 퐁 드 뇌이역(Station Pont de Neuilly)까지 연장하는 과정에서 역의 구조와 위치가 변경되었다. 당시 1호선은 프티트 생튀르(Petite Ceinture; PC)선[* '작은 벨트'라는 의미이며, 1852년부터 1934년까지 파리 경계를 따라 운행했던 노선이다. [[RER C선]]의 뇌이-포르트 마요역(Gare de Neuilly - Porte Maillot)도 PC선의 역으로 개업한 것이 나중에 RER C선으로 편입된 것이다. ]과 같은 심도에서 운행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순환선 고리에서 시작되는 터널을 판 후 선로가 터널을 통과, 100여미터 뒤에 새로 건설된 역에 정차하도록 구조를 변경한 것이다. 부역명은 팔레 데 콩그레(Palais des Congrès)인데, 이는 역 근처의 컨벤션센터 팔레 데 콩그레에서 가져온 것이다. == 역 주변 정보 == 근처의 불로뉴 숲(Bois de Boulogne) 안에 놀이공원 자르댕 다클리마타시옹(Jardin d'acclimatation)과 루이 뷔통 재단(la Fondation d'entreprise Louis Vuitton)이 자리하고 있다. [[분류:파리 지하철 정거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