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폐선)] [[파일:포천3201.jpg]] [목차] == 노선 정보 == ||<-6><:>{{{#ffffff 포천시 직행좌석버스 3201번}}}|| ||<-2><:>기점||<:>경기도 포천시 소흘읍(직동리)||<-2><:>종점||<:>서울특별시 성동구 행당1동(왕십리역)|| ||<|2><:>종점행||<:>첫차||<:>04:50||<|2><:>기점행||<:>첫차||<:>06:10|| ||<:>막차||<:>23:00||<:>막차||<:>00:20|| ||<-2><:>평일배차||<:>30~40분||<-2><:>주말배차||<:>40분|| ||<-2><:>운수사명||<:>[[선진시내버스]]||<-2><:>인가대수||<:>?대(예비 ?대)|| ||<-2><:>노선||<-4><:>직동1리, 새말 - 직동3리 - 이곡리, 이곡초등학교 - 무림리 - 이동교5리, 축석검문소 - 의정부성모병원 - 금오초등학교 - 의정부시외버스터미널 - 장암주공5단지 - 수락산역 - 노원역 - 하계역 - 태릉입구역 - [[동부간선도로]] - 청량리역환승센터 - 왕십리역|| == 개요 == 선진시내버스에서 운행했던 직행좌석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74.09km였다. == 역사 == * 2013년 12월 29일, 당시 대진대에서 왕십리로 가던 [[포천 버스 3200|3200번]]에서 분리신설되었다. 노선이 분리되면서 3200번은 직동리에서 왕십리로 가는 노선으로, 3201번은 대진대에서 청량리로 가는 노선이 되었다. 그리고 노선 대부분이 겹치게 된 [[포천 버스 70|70번]]을 같은 날에 폐선시켰다. * 하지만 분리 전 3200번의 구간을 3201번이 이어받아 번호의 혼동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 2014년 1월 23일에 번호만 서로 바꾸었다. 즉, 실질적으로 구 70번은 3201번이 이어받은 셈. * 직동리 수요가 사실상 없었던지라 결국 감차가 여러 번 이뤄졌다. 해당 구간은 [[포천 버스 1|1번 버스]], [[남양주 버스 21|21번 버스]], [[포천 버스 30|30번 버스]], [[포천 버스 86|86번 버스]] 등이 최소 30분 간격으로 겨우 운행할 정도로 수요가 적은 지역으로 꼽힌다. * 이후 차의과대학교와 업무 협약을 맺어 차의과대의 교통 편의 및 양주 진출을 위해 2014년 8월 20일에 3201번을 폐선시켰고, 대신 [[포천 버스 3500|3500번]]을 신설했다. 3500번의 연혁은 해당 문서를 참조. == 특징 ==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1호선]] : [[회기역]], [[청량리역]], [[제기동역]] *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2호선]] : [[왕십리역]] * [[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4호선]] : [[노원역]] * [[파일:Seoulmetro5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5호선]] : [[왕십리역]] * [[파일:Seoulmetro6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6호선]] : [[태릉입구역]] * [[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7호선]] : [[수락산역]], [[마들역]], [[노원역]], [[중계역]], [[하계역]], [[태릉입구역]] * [[파일:GJ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청량리역]], [[회기역]], [[왕십리역]] * [[파일:SB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분당선]] : [[왕십리역]] * [[파일:ULine_icon.svg|width=17]] [[의정부경전철]] : [[동오역]] [[분류:포천시의 시내버스]][[분류:2013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2014년 폐지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