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볼리비아]]의 지명 == ||<-3> '''[[유네스코|{{{#fff 유네스코}}}]] [[세계유산|{{{#fff 세계유산}}}]]''' || ||<-3> [[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흰 배경).svg|width=160]] || ||<|4> 이름 || 한국어 || 포토시 광산 도시†[* [[세계유산/위험에 처한 세계유산|위험에 처한 세계유산]]]. || || 영어 || City of Potosí || || 스페인어 || Ciudad de Potosí­ || || 프랑스어 || Ville de Potosí || |||| 국가·위치 || [[볼리비아]] 포토시 주 포토시 || ||<-3> [include(틀:지도,장소=City of Potosi, 너비=100%, 높이=224px)] || |||| 등재유형 || [[세계유산#s-3.1|문화유산]] || |||| 등재연도 || [[1987년]] || |||| 등재기준 || (ii)[* 오랜 세월에 걸쳐 또는 세계의 일정 문화권 내에서 건축이나 기술 발전, 기념물 제작, 도시 계획이나 조경 디자인에 있어 인간 가치의 중요한 교환을 반영할 것], (iv)[* 인류 역사에 있어 중요 단계를 예증하는 건물, 건축이나 기술의 총체, 경관 유형의 대표적 사례일 것], (vi)[* 사건이나 실존하는 전통, 사상이나 신조, 보편적 중요성이 탁월한 예술 및 문학작품과 직접 또는 가시적으로 연관될 것 (다른 기준과 함께 적용 권장)] || |||| 지정번호 || [[https://whc.unesco.org/en/list/420|8420]] || [[파일:포토시은광.jpg]][* 노동에 시달리는 원주민들.] 볼리비아 포토시 주의 도시 및 [[유네스코]] [[세계유산]]이며, [[스페인 제국|스페인 식민지]] 시대인 1545년에 은광이 개발된 뒤 1571년에 [[아말감]] 도입으로 은 산출량이 늘면서 번영했다.[* 아말감 도입 이전에는 기술력이 부족해서 채굴 효율이 떨어졌다.]. 포토시에서 채굴된 은은 스페인을 거쳐 중국으로 유입됐고 세계 경제에 큰 영향을 끼쳤으나, 부를 온전히 누린 건 스페인의 [[콩키스타도르|정복자]]뿐이었고 채굴에 동원된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중노동[* [[잉카 제국]]의 부역 제도인 미타를 스페인에서도 그대로 유지해서 노동력으로 투입했다.]과 [[수은]][* 은 광석에서 은을 추출할 때 아말감을 썼고 그 과정에서 중독되었다.] 중독으로 고통받아야 했다. 이것은 세계 최대의 은광이었으며 에스파냐가 세계 제국으로 군림하는 원동력이 되었다. 이후 [[은]] 채굴량이 줄어들면서 쇠퇴했고 1987년에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하지만, 은 채굴이 중단된 이후 [[주석]], [[텅스텐]]의 채굴이 지속되면서 [[2014년]]에 위험에 처한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https://www.yna.co.kr/view/AKR20150829043300009|#]] [clearfix] == 범선 == 1895년에 [[독일]]에서 건조된 선박. 세계에서 3번째로 건조된 5마스트 [[윈드재머]]였고 [[칠레]]산 초석을 운반하는 수송선이었다. 이후 [[아르헨티나]]에 매각된 뒤 1925년에 침몰했다. [[분류:동음이의어]][[분류:볼리비아]][[분류:볼리비아의 세계유산]][[분류:광산]][[분류:범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