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external/www.wolverinesvcs.com/Ft-Benning_P7120032.jpg]] ||<-2> {{{#white {{{+3 포트 무어 / Fort Moore }}}}}} || ||<-2> [include(틀:지도, 장소=Fort Moore, 높이=250px, 너비=100%)] || [목차] == 개요 == [[미국]] [[조지아 주]] 콜럼버스에 위치한 [[미 육군]]의 종합 군사 기지이다. 여러 군[[부대]]들이 위치해 있고, [[신병교육대|기초군사훈련소]]와 [[육군]] [[보병]] [[후반기교육]]기관, 그리고 그외의 각종 군사교육훈련 학교와 코스들이 밀집해 있다. 부대 운영과 교육훈련, 군사교리 연구 및 개발 등을 통해 미 육군 발전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해내는 일종의 군사도시이다. 12만명의 현역군인과 그 [[가족]]들, [[예비군]] [[병력]]과 퇴역 군인들이 상주하고 있는, 미국 최대 규모의 군사 기지이기도 하다. 기지의 면적은 182,000에이커(737만 제곱미터, 223만평)다. 원래의 이름은 '''포트 베닝'''이다. 포트 베닝이라는 기지 이름은 [[남북전쟁]]당시 [[아메리카 연합국]] 육군 [[장교]]였던 헨리 L. 베닝(Henry L. Benning)의 이름에서 따왔다. 그러나 [[조지 플로이드 사망 사건]]과 관련하여 인종주의를 청산하기로 한 결정에 따라 이름을 [[이아드랑 전투|포트 무어]]로 바꿀 예정이다.[* 영화 [[위 워 솔저스]]에 나오는 제1기병사단 7기병연대 1대대장인 할 무어(Harold "Hal" Gregory Moore Jr.) 중령 맞다. 할 무어 중령은 이후 육군본부 인사참모부장을 지내고 중장 계급으로 퇴역했다. 그리고 할 무어 중장의 부인이자 육군 내 생존자 네트워크와 사상자 통지 팀의 구성을 위해 노력한 줄리아 무어 여사를 의미하기도 한다.] 그리고 2023년 5월 11일부로 포트 베닝에서 포트 무어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기지 관리를 책임지는 사령관은 육군 [[소장(계급)|소장]] 계급의 [[장성]]이 맡는다. [[애틀랜타]]에서 남서쪽 방향으로 116마일(약 187km) 거리에 있으며 자동차로 약 1시간 45분 정도 소요된다. == 기지 연혁 == 1918년 10월, [[제1차 세계대전]] 당시 [[유럽]]으로 파병될 육군 보병들의 훈련을 목적으로 캠프 베닝이란 이름으로 창설되었다. 한때 미 육군[[원수(계급)|원수]] [[드와이트 아이젠하워]] 장군이 복무했던 [[펜실베이니아]] 소재 캠프 콜트에서 교육받던 [[기갑]] 교육생들이 정전이후 본 부대로 이전했고 그는 1918년 12월 24일부터 1919년 3월 15일까지 복무했다. 여기에 1918년 12월 26일 [[노스캐롤라이나]] 랠리 소재 캠프 폴크 기갑교육학교가 본 부대로 이전하고 캠프 베닝의 기갑 교육생들은 1919년 2월19-21일 사이 캠프 미드로 이전한다. 이어 1920년 의회는 본 부대를 영구주둔부대로 지정하고 1백만 달러 이상의 지원금을 부대에 수여 보병학교 건물을 세우게된다. 2년 후인 1922년 캠프 베닝은 현 부대이름인 포트 베닝으로 개칭되고 제 4대 보병학교 사령관이었던 육군[[준장]] 브라이언트 웰스 장군은 부대확장 공사를 확정하는데, 부대관련 근무를 하는 군인들의 야외활동과 레크리에이션을 염두에 둔 것이었다. 이에 운동장과 수영장, 그리고 영화관 같은 관련 편의시설을 건립하게 된다. 아울러 1차 세계대전에서 수많은 사상자를 낸 이유가 훈련과 관련교육의 부족이라는 것을 깨달아 관련교육을 한층 강화시킨다. [[제2차 세계대전]] 때에는 197,159에이커(797.87 제곱 킬로미터)의 부지에 3천 970명의 장교들과 9만 4천 873명의 [[사병]]들을 위한 임시 숙소를 갖추게 된다. 특히 이 부대는 제 555[[낙하산]]보병[[대대]]의 본부대가 되었는데 [[흑인]]만으로 구성된 [[공수부대]]란 점에서 역사적 가치가 컸다. 이 곳에 있는 각종 훈련소와 군사학교들은 본래는 남성전용 훈련소들이었으나 여성들의 전투병과 참여 허가를 국방장관령으로 발표하면서 여성 교육생도 입교하게 되었다.. 2005년 미 국방부의 방침인 미 부대 재편성 및 해단 정책의 일환으로 포트베닝이 보병 관련 부대들 뿐 아니라 기갑부대까지 아우르는 종합적인 훈련 기지로 범위가 확대되었고 이에 따라 전엔 [[포트 녹스]](Fort Knox)에 있던 육군기갑학교[* Army Armor School]를 포트베닝으로 이전하였다. 그리고 기갑부대까지 포함한 통합적인 기동군 작전에 대한 훈련과 연구도 활발히 행해지고 있다. == 포트 무어에 위치한 군사 조직들 == === 부대 === * 제198보병여단 * 제199보병여단 * 제3보병사단 [* 사단본부는 조지아주 포트 스튜어트에 있고, 예하 부대들은 포트 베닝과 포트 스튜어트에 나뉘어져 있다.] * 제28보병연대 * [[제75레인저연대]] * 제194기갑여단 * 제3기갑전투단 * 제316기병여단 * 제11공병여단 * 제17공중지원작전전투단 * 제5군단 [* 본부만 재활성화된 상태로 약 600여 명의 인원이 주둔할 것으로 알려짐. 전방 지휘소는 폴란드에 설치 예정] === 교육훈련/연구 기관 === * 보병학교[* Army Infantry School] * 기초군사학교[* Basic Training School] * 저격수 학교[* Sniper School] * 근접격투술 학교 [* Combatives School] * 지휘관 작전 전술 과정[* Maneuver Captains Career Course] * 기갑학교[* Army Armor School][* 포트 녹스에 위치했었으나 현 부대로 이전함] * 헨리 카로 부사관학교[* Henry Caro Non-Commissioned Officer Academy] * 공수/레인저 훈련여단[* Airborne and Ranger Training Brigade] * 공수 학교[* Airborne School] * [[레인저 스쿨|레인저 학교]][* Ranger School] * 사격술 연구단[* Army Marksmanship Unit] === 기타 기관 === * 서반구협동보안단[* Western Hemisphere Institute for Security Cooperation] * 마틴 육군병원[* Martin Army Community Hospital] * 제14전투지원의무단[* 14th Combat Support Hospital] == 기지 관리 [[사령관]] 및 [[주임원사]] == [[파일:external/www.ranger.org/MGAustinMiller.jpg]] 사령관 육군소장 오스틴 밀러(Austin Miller) [[장군]] [[파일:external/www.benning.army.mil/CSM_Sullivan.jpg|width=200]] 주임원사 육군[[원사(계급)|원사]] 리처드 설리반 3세(Richard Sullivan III) === 여담 === * [[워킹 데드]] 시즌 2에서 언급되는 장소 중 하나이다. 셰인이 이곳으로 가기를 강력히 주장했으나 릭의 의견에 따라 CDC로갔고 그 후 CDC가 자폭하자 다시 여기로 가려는데 릭의 아들 칼이 총에 맞고 소피아가 실종되자 또 차질이 생겼고 결국 좀비때에 함락되었다는 소식만 듣게된다. * 미군의 각종 기초군사훈련소들이 이 곳에 있기 때문에 미군 관련 다큐멘터리 등에서 이 기지의 모습이 종종 나오곤 한다. 예를 들어 아래의 영상. [youtube(HYbbmatf6w4)] [[분류:1918년 설립]][[분류:미합중국 육군]][[분류:군사기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