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포항 아톰즈)] [include(틀:포항 스틸러스/시즌별 일람)] ||<-5><:>'''{{{#fff [[포항 스틸러스|{{{#fff 포항 스틸러스}}}]] 연도별 일람}}}''' || ||<:><#fff>[[포항제철 아톰즈/1994년|{{{#141414 1994년}}}]] ||<:>'''→''' ||<:><#141414>[[포항 아톰즈/1995년|{{{#fff '''1995년'''}}}]] ||<:>'''→''' ||<:><#fff>[[포항 아톰즈/1996년|{{{#141414 1996년}}}]] || [목차] == 개요 == [[포항제철 아톰즈]]의 1995 시즌에 대한 문서. 법인화를 하면서 [[포항 아톰즈]]로 구단명을 변경했다. == 드래프트 == * 1995 시즌부터 참가하게 된 [[전남 드래곤즈]]와 [[전북 다이노스]]에게 창단팀 우선 지명권이 돌아갔다.[* 기존 1994 시즌 참가했던 전북 버팔로는 팀이 해체되었고, 전북 다이노스는 전북 버팔로와 별개의 구단으로 취급했기 때문에 전북 다이노스의 우선 지명 행사가 가능했다.] * 1993년과 마찬가지로, 신생팀들에 지명되는걸 꺼린 일부 선수들이 드래프트를 거부하고 일본행을 택했다. [[곽경근]], [[이우형(1966)|이우형]] 등 [[1996 애틀랜타 올림픽|1996년 애틀란타 올림픽]]대표 선수들이 그들이다. 이들은 이후 1998년 드래프트를 통해 국내로 복귀하였다. 한편 지난 1993년 드래프트에서 완산 푸마의 지명을 피해 실업 리그와 상무 행을 택했던 [[노상래]], [[김태영(1970)|김태영]], [[김도훈]], [[김인완]] 등의 선수들은 1995년 드래프트에 참가했다. * 당시 4순위 지명은 연고지명이라 하여, 각 구단이 후원하는 대학의 졸업 선수를 우선 지명할 수 있게 하였다. * 1995년 1월 10일, 대학진학에 실패한 선수과 실업축구 선수들을 대상으로 추가 드래프트를 실시하여 11명을 추가로 지명하였다. * 전남과 전북이 창단팀 자격으로 3명씩 선 지명한 후 1순위 지명에서는 가장 뒷 순위로 밀려났다. 그 후 전 시즌 리그 순위에 역순하여 1순위 지명 순서를 정하였었다. === 선발 결과 === ||<#141414><:>{{{#fff '''순위'''}}}||<:> {{{#fff '''1순위'''}}} ||<:> {{{#fff '''2순위'''}}} ||<:> {{{#fff '''3순위'''}}} ||<:> {{{#fff '''임의지명'''}}} ||<:> {{{#fff '''5순위'''}}} ||<:> {{{#fff '''6순위'''}}} ||<:> {{{#fff '''7순위 이하'''}}} ||<:> {{{#fff '''추가드래프트'''}}} || ||<#141414><:>{{{#fff '''이름'''}}}|| 장현호 || 박상인 || 강상협 || 박영섭 || 강민순 || 정우창 || 김영호, 박현순, 김인섭. 이철호, 최태종 || 임진용 || == 외국인 선수 == ||
<:>{{{#fff '''국적'''}}}||<:>{{{#fff '''이름'''}}}||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width=30]]|| [[라데 보그다노비치|라데]] || == [[K리그 리그컵|리그컵]] == === 대회 개요 === * [[전남 드래곤즈]]의 창단으로 팀이 8팀으로 시즌을 치렀다. * 정규리그가 개막하기 전인 3월과 4월에 컵대회가 진행되었다. * 단일 풀리그로 1라운드씩을 치룬 뒤 우승을 가린다. === 경기 결과 === ||
<-3><:>{{{#fff 1라운드 }}}|| ||<-3><:>VS [[현대 호랑이]] || ||<-3><:>1995년 3월 25일 || ||<-3><:>[[울산공설운동장]] || || 현대 || 2 ||<:>김현석(42분,75분) || || 포항 || 1 ||<:>[[라데 보그다노비치|라데]](13분) || ||<-3><:>패|| === 결과 === * 7경기 1승 3무 3패(승점 6)로 7위을 기록했다. == [[코리안리그]] == === 대회 개요 === * 이번 대회부터 전기, 후기리그 나누며 전기리그 1위와 후기리그 1위가 챔피언결정전에 올라 2팀이 맞붙게 되어 1위를 결정한다. * [[전북 버팔로]]가 해체하고 [[전남 드래곤즈]]와 [[전북 다이노스]]가 합류하면서 8개팀으로 운영하게 된다. === 경기 결과 === ==== 전기리그 ==== ==== 후기리그 ==== ==== 챔피언결정전 ==== ||
<-3><:>{{{#fff 1차전 }}}|| ||<-3><:>VS [[일화 천마]] || ||<-3><:>1995년 11월 4일 || ||<-3><:>[[동대문운동장]] || || 일화 || 1 ||<:>한정국(13분) || || 포항 || 1 ||<:>[[라데 보그다노비치|라데]](21분) || ||<-3><:>무|| ||
<-3><:>{{{#fff 2차전 }}}|| ||<-3><:>VS [[일화 천마]] || ||<-3><:>1995년 11월 11일 || ||<-3><:>[[포항스틸야드]] || || 포항 || 3 ||<:>[[황선홍]](12분,31분)[br][[라데 보그다노비치|라데]](87분) || || 일화 || 3 ||<:>신태용(57분,65분)[br]고정운(85분) || ||<-3><:>무|| ||
<-3><:>{{{#fff 3차전 }}}|| ||<-3><:>VS [[일화 천마]] || ||<-3><:>1995년 11월 18일 || ||<-3><:>[[안양종합운동장]] || || 일화 || 1 ||<:>이상윤(104분,골든골) || || 포항 || 0 ||<:> || ||<-3><:>패|| === 결과 === * 전기리그 14경기 7승 5무 2패(승점 26점)로 3위를 기록하였고, '''후기리그 14경기 8승 5무 1패(승점 29점)로 우승'''을 차지하여 챔피언결정전에 진출 전기리그 우승팀 [[일화 천마]]를 만나 2무 1패로 통합 준우승을 기록했다. * [[황선홍]]이 24경기 11득점 6도움을 기록하여 득점순위 3위 도움순위 3위를 차지하며 맹활약하였다. * [[라데 보그다노비치|라데]]는 24경기 6득점 6도움을 기록하여 득점순위 9위 도움순위 2위를 차지하며 맹활약하였다. * [[K리그/베스트 일레븐|시즌 베스트 11]]에 소속선수 중 [[홍명보]], [[황선홍]]이 선정되었다. [[분류:포항 스틸러스/역대 시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