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전시장)] ||||||<:> || ||<:> '''정식명칭''' |||| 포항국제전시컨벤션센터 || ||<:> '''영문명칭''' |||| Pohang International Convention & Expo Center || ||<:> '''주소''' ||||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포항)|북구]] [[장성동(포항)|장성동]] 1287 || ||<:> '''개관일''' |||| [[2026년]] || ||<:> '''전시면적''' ||<:> 총계 || 7,183㎡ || ||||||<:> || [목차] == 개요 == [[대한민국]]의 [[전시장]].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포항)|북구]] [[장성동(포항)|장성동]]에 추진하고 있다. 개장하면 [[경상북도]] 도내 4번째 [[전시장]][* [[구미코]]([[구미시]]) - [[경주화백컨벤션센터]]([[경주시]]) - [[안동국제컨벤션센터]]([[안동시]]) - 포항국제전시컨벤션센터([[포항시]]) 순이다.]이 된다. == 배경 == [[포항시]]는 [[포스코]]를 위시로 [[대한민국]] [[대한민국/경제|대한민국 경제]]의 선봉에 있는 도시이다. [[철강]]산업이 강세를 띄고 있으며, [[현대중공업]]과 [[동국제강]]도 있다. 게다가 [[2023년]] [[수소]] [[연료전지]] 클러스터 산업단지 사업이 [[기획재정부]] [[예비타당성조사]]를 [[https://www.nocutnews.co.kr/news/5980946|통과]]했고, 2023년 7월 20일 [[윤석열 정부]]에서 포항시를 [[이차전지]] 특화 산업도시로 지정하기도 했다. [[https://www.newsis.com/view/?id=NISX20230720_0002384724&cID=10810&pID=10800|기사]] 이에 따라 [[에코프로]]가 [[포항시]]에 공장을 증설하는 등 첨단 산업도시로 발전하려 애쓰고 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30406125300053|기사]] 포항시내는 [[포항공과대학교]]와 [[한동대학교]] 등 유명 [[대학교]]도 있다. 유명 대학과 [[포스코]], [[현대중공업]], [[동국제강]], [[에코프로]] 등 각종 기업들이 몰려 있어 [[R&D]] 투자도 꾸준히 집행되고 있어 R&D 컨퍼런스와 같은 회의 수요도 존재했다. 그리고 [[동해선]] [[전철]]화 사업에 따라 [[포항역]]이 [[흥해읍]] 이인리로 옮겨지면서 [[포항역]]에서 [[서울역]]으로 바로 가는 [[KTX]] 노선이 생기는 등 경제적으로 중요한 도시이다. 문제는 포항시가 [[2015년]] 이후 가면 갈 수록 인구가 줄어들고, 산업단지 외에는 도시의 성장 동력이 꺼져 간다는 비판을 많이 받아 왔다. 포항시의 인구가 [[2022년]] 50만 명이 깨지는 등 계속해서 줄어들자 포항시는 단순 산업 뿐 아니라 [[관광]]업 등 지원산업이 필요함을 절감했다. 실제로 [[이강덕]] 포항시장은 [[이데일리]] 인터뷰에서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397286635802112|컨벤션센터 개발 사업에 대해 산업 다각화 전략]]의 일환이라고 밝힌 바 있다. 포항시는 해결 방법을 고민하다 [[주한미군]]이 활용하다가 철수하면서 반환받은 부지(구 캠프 리비)에 기업과 [[대학]]들의 [[R&D]], [[수출]], [[수입]]을 지원할 [[전시장]]([[컨벤션센터]])을 설립하기로 결정했다. 이전에는 포항에 컨벤션센터가 없어서 [[경주시]]의 [[경주화백컨벤션센터]][* 규모가 매우 작다.], [[대구광역시]]의 [[EXCO]], [[부산광역시]]의 [[BEXCO]], 심지어 [[서울특별시]]의 [[COEX]]나 [[고양시]] [[KINTEX]]에서까지 행사를 해야 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01868|2023년에도 킨텍스에서 포항시 관련 행사]]를 했을 정도. == 건립 과정 == === 1단계 === [[파일:포항국제컨벤션센터 1단계.jpg]] 캠프 리비 부지에 [[2024년]] [[4월]] 착공, [[2026년]] [[12월]] 개장 예정이다. 1단계 건립 시 실내전시면적 7,183㎡, 회의실 3,512㎡, [[주차장]] 700대([[지하주차장]]), 건립 예산은 1,766억 원이 들어간다. 국비 270억원, [[경상북도]] 도비 210억 원, [[포항시]] 시비 1,266억 원을 부담한다. [[2023년]] [[11월 12일]] 건립 방안을 확정하였다. [[https://www.newsis.com/view/?id=NISX20231112_0002518143&cID=10810&pID=10800|기사]] === 2단계 === [[파일:포항국제컨벤션센터 2단계.jpg]] 캠프 리비 부지 바로 옆에 있는 [[포항동부초등학교]] 부지를 편입해 포항국제컨벤션센터 2단계 사업을 사실상 동시에 추진하고 있다. 캠프 리비 부지와 동부초등학교 부지 크기가 거의 같아서 1단계 규모(7,600㎡) 그대로 2단계를 확장해 총 실내전시면적 15,000㎡ 가량으로 확장하는 것을 추진하고 있다.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436646635802112|기사]] [[인천광역시]] [[송도컨벤시아]]와 비슷한 규모가 된다. [[2025년]] 착공, [[2027년]] 개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 [[교통]] == === [[철도]]교통 === [[포항역]]이 컨벤션센터 서쪽으로 떨어져 있다. 거리로는 약 10km 정도 떨어져 있다. 포항역에서 포항컨벤션센터까지 바로 올 수 있는 [[대중교통]]은 존재하지 않는다. === [[도로]]교통 === [[925번 지방도]]([[삼호로(포항)|삼호로]])가 있다. [[새만금포항고속도로]] [[포항IC]]와는 상당폭 떨어져 있다. === [[버스]]교통 === == 주변 인프라 == === [[호텔]] === 바로 옆에 3성급 [[호텔]]인 라한호텔 포항이 붙어 있다. 포항국제컨벤션센터에서 주 행사를 진행한 이후 라한호텔 포항에서 작은 연회 등을 제공할 수 있을 전망이다. === [[관광]] === 컨벤션센터 바로 동쪽에 [[영일만]] [[바다]]가 붙어 있다. === [[행정]] === [[두호동]] [[행정복지센터]]가 바로 옆에 있다. [[분류:대한민국의 전시장]][[분류:북구(포항)의 건축물]][[분류:포항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