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초계함]][[분류:해상 병기/현대전]][[분류:핀란드군/군함]] [include(틀:현대전/핀란드 함선)] [[파일:PHZMC1.jpg|width=100%]] [목차] == 개요 == [[핀란드군|핀란드 해군]]의 차세대 [[초계함]]. == 제원 == ||<-5><:> '''{{{+1 {{{#FFFFFF 포흐얀마급 초계함}}} }}} [br] {{{#FFFFFF Pohjanmaa-luokan korvetti[br]''Pohjanmaa''-klass[br]Pohjanmaa-class Corvette}}}''' || ||||<#eeeeee,#1f2023> '''만재배수량''' ||4,300톤 || ||||<#eeeeee,#1f2023> '''전장''' ||117m || ||||<#eeeeee,#1f2023> '''전폭''' ||16m || ||||<#eeeeee,#1f2023> '''흘수선''' ||5m || ||||<#eeeeee,#1f2023> '''승조원''' ||70명 || ||<|3><#eeeeee,#1f2023> '''동력''' ||<#eeeeee,#1f2023> '''방식''' ||[[CODLAG]] || ||<|2><#eeeeee,#1f2023> '''기관''' ||[[제네럴 모터스|GM]] LM2500 가스터빈 × 1|| ||[[MAN]] 12V175D 발전기 × 4 || ||||<#eeeeee,#1f2023> '''최고속도''' ||26노트 (48km/h) || ||||<#eeeeee,#1f2023> '''항속거리''' ||약 6,500km || ||||<#eeeeee,#1f2023><|2> '''레이더''' ||[[사브]] Sea Giraffe 4A FF 3D [[AESA]] 레이더 || ||[[사브]] Sea Giraffe 1X 단거리 3D 레이더 || ||<#eeeeee,#1f2023><|2> '''소나''' ||<#eeeeee,#1f2023> '''선체''' ||콩스베르그 SS 2030 소나 [br] 콩스베르그 SD 9500 소나|| ||<#eeeeee,#1f2023> '''예인''' ||파트리아 Sonac DTS 소나 || ||<#eeeeee,#1f2023><|4> '''무장''' ||<#eeeeee,#1f2023> '''함포''' ||[[보포스 57mm 함포]]|| ||<#eeeeee,#1f2023> '''대공''' ||[[Mk.41 VLS]] 8셀 [br] [[ESSM]] 32발 || ||<#eeeeee,#1f2023> '''대함''' ||가브리엘 V 대함 미사일 8발|| ||<#eeeeee,#1f2023> '''대잠''' ||[[사브]] 400mm 어뢰 || ||||<#eeeeee,#1f2023> '''탑재 항공기''' ||헬기 갑판 및 격납고 존재 || == 상세 == 포흐얀마급 초계함은 [[핀란드]]의 Squadron 2020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건조되는 핀란드 해군의 차세대 초계함이다. 핀란드 해군이 기존에 운용해오던 [[하미나급]] 등의 미사일 고속정과는 차별화된 함선으로, 사실상의 일반적인 호위함 이상의 체급이다. || [[파일:BTC.jpg|width=100%]] || || 발트해에서 개최되는 BALTOPS 2020 || [[핀란드]]가 기존의 해군 교리를 변경하고, 포흐얀마급 초계함 프로젝트를 추진하게 된 배경은 바로 러시아의 부활과 세력확장이다. [[냉전]] 시대에 핀란드는 사실상 [[소련]]에게 끌려다닌 경험이 있는데, 소련 해체 이후 망해가던 [[러시아]]가 2000년대 들어서 부활했고 2010년대 넘어서는 [[동유럽]]에서의 패권을 두고 [[NATO]]와 지속적으로 대립하는 상황까지 이르렀다. 특히 전략적 요충지인 [[발트해]]를 둘러싸고 NATO와 러시아군의 지속적인 충돌이 이어지면서, 핀란드는 상당한 위협감을 느꼈으며 스스로의 전쟁 대응능력에 많은 고민을 하게 되었다. 발트해와 동유럽을 향한 러시아의 세력확장으로 인해서 그동안 국제정치에서 한발 물러나 있던 핀란드는 물론 심지어 오랜 기간 중립국을 표방하던 [[스웨덴]]까지는 NATO 가입을 고려하는 단계까지 이른다.[* 물론 러시아는 핀란드와 스웨덴이 NATO에 가입한다면 군사적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극렬하게 반발했으나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핀란드와 스웨덴은 NATO 가입을 신청했다.] 그리하여 위 이유는 물론, 차후에 NATO에 가입하여 그 일원이 된다면 기존의 하미나급만으로는 충분한 작전 수행 능력이 부족하다 판단되었으며, 그에 대응하기 위하여 핀란드가 요구하는 함의 주요 성능은 거친 발트해에서의 안정적으로 러시아군의 잠수함들을 탐지하여 공격할 수 있어야 하며, 러시아군의 [[지르콘 미사일]]과 같은 강력한 초음속 대함미사일들로부터 대공 방어망을 형성하라는 조건을 내걸었다. 핀란드는 13억 유로[* 한화 1조 7166억 원]의 사업 자금을 토대로 트라우마 조선소에 포흐얀마급 건조를 의뢰했으며, 2019년 9월에는 스웨덴의 [[사브]]에게 전투 시스템과 센서 통합을 맡겼다. 주요 무장으로는 [[ESSM]] 함대공 미사일이 장착되며 무인기도 운용될 예정이다. == 동형함 목록 == ||<-8><:> {{{#FFFFFF '''핀란드 해군'''}}} || ||<:> ||<:> '''함번''' ||<:> '''함명''' ||<:> '''기공일''' ||<:> '''진수일''' ||<:> '''취역일''' ||<:> '''상태''' || ||<:> 1||<:> || || || || || 건조 예정 || ||<:> 2||<:> || || || || || 건조 예정 || ||<:> 3||<:> || || || || || 건조 예정 || ||<:> 4||<:> || || || || || 건조 예정 || == 관련 문서 == * [[러시아군]] * [[NATO]] * [[핀란드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