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920년 영화]][[분류:1939년 영화]][[분류:1970년 영화]][[분류:1985년 영화]][[분류:1988년 영화]][[분류:1992년 영화]][[분류:2011년 영화]][[분류:영국의 로맨스 영화]][[분류:영국의 드라마 영화]][[분류:미국의 로맨스 영화]][[분류:미국의 드라마 영화]][[분류:소설 원작 영화]][[분류:제목이 같은 영화]][[분류:미국 의회도서관 영구 보존 영화]] [목차] == 개요 == [[에밀리 브론테]]의 장편소설 [[폭풍의 언덕]]을 원작으로 하는 영화들. == 1920년 == 영국 영화. == 1939년 == [include(틀:미국 의회도서관 선정 영구 보존 영화, 연도=2007)] [include(틀: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 [youtube(EV1dKYO48Sk)] 영국 영화. 히스클리프 역은 [[로런스 올리비에]]. [[비비안 리]]가 당시 남편이었던 올리비에와 나오고 싶어 수차례 로비했지만 제작사로부터 거절 당했고, 물망에 올랐던 [[캐서린 헵번]]도 한때 출연작들이 전부 흥행을 죽쒀 '흥행국밥'으로 불리게 되면서 떨어지는 바람에 최종적으로 멀 오베런[* Merle Oberon. [[프레드릭 마치]] 주연의 <다크엔젤(The Dark Angel)>(1935)로 [[아카데미 여우주연상]] 후보에 오른 적이 있다.]이 캐서린 역에 캐스팅 됐다. == 1970년 == 영국 영화. == 1985년 == 프랑스 영화. == 1988년 == 일본 영화. == 1992년 == [youtube(ksWD-8oXPt0)] 영국 영화. 영국 배우 [[레이프 파인즈]]가 히스클리프, 프랑스 배우 [[줄리엣 비노쉬]]가 캐서린 린쇼와 그녀의 딸 캐서린 린튼의 1인 2역을 맡았다. 두 사람의 리즈시절과 함께 [[류이치 사카모토]]의 음악까지 어우러진 영화. == 2011년 == ||<-2>
{{{#000000 '''{{{+2 폭풍의 언덕}}}''' (2011)[br]''Wuthering Heights''}}} || ||<-2> [[파일:폭풍의 언덕 2011.jpg|width=100%]] || || '''{{{#000000 장르}}}''' ||[[멜로]], [[드라마]] || || '''{{{#000000 원작}}}''' ||[[에밀리 브론테]] - 소설 <[[폭풍의 언덕]]> || || '''{{{#000000 감독}}}''' ||[[안드레아 아놀드]] || || '''{{{#000000 각본}}}''' ||[[안드레아 아놀드]][br]올리비아 헤트리드 || || '''{{{#000000 제작}}}''' ||로버트 번스타인[br]케빈 로더[br]더글러스 레이 || || '''{{{#000000 출연}}}''' ||[[카야 스코델라리오]] 외 || || '''{{{#000000 촬영}}}''' ||로비 라이언 || || '''{{{#000000 편집}}}''' ||니컬러스 커더지 || || '''{{{#000000 음악}}}''' ||[[멈포드 앤 선즈]] || || '''{{{#000000 제작사}}}''' ||필름 4[br]합웨이 필름[br]에코스 필름[br]영국 영화 위원회[br]스크린 요크셔[br]골드크레스트 필름 || || '''{{{#000000 배급사}}}''' ||[[파일:영국 국기.svg|width=20]] 커존 필름[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찬란]][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오실로스코프 || || '''{{{#000000 개봉일}}}''' ||[[파일:영국 국기.svg|width=20]] [[2011년]] [[11월 11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2년]] [[6월 28일]][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2012년]] [[10월 5일]] || || '''{{{#000000 상영 시간}}}''' ||129분 (2시간 8분 49초) || || '''{{{#000000 제작비}}}''' ||'''500만 파운드''' || || '''{{{#000000 북미 박스오피스}}}''' ||'''$100,915''' (최종) || || '''{{{#000000 월드 박스오피스}}}''' ||'''$1,742,215''' (최종)|| ||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000000 상영 등급}}}]]'''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1|[[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width=30]]]]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1|{{{#000000 15세 관람가}}}]]''' || [youtube(_QrfPazrzvA)] 영국 영화. [[안드레아 아놀드]] 감독에 [[카야 스코델라리오]] 주연이다..[[제68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 경쟁 부문에 초청받았다. 제작까지 우여곡절이 많았던 작품. 2008년 기획에 들어가서 [[나탈리 포트먼]]이 캐서린 역을 맡고, 존 메이버리가 감독을 맡을 예정이었지만 기획 1달만에 포트먼이 하차하고, 대신 [[애비 코니시]]가 캐스팅 되었다. 히스클리프에는 [[마이클 패스벤더]]가 캐스팅 되었다. 여기까진 순조로웠으나... 2009년 존 메이버리가 감독에서 하차하고 피터 웨버가 대신 감독을 맡게 되었고 캐스팅도 에드 웨스트윅과 [[제마 아터턴]]으로 갈아엎어졌다. 그러나 또 엎어졌고 2010년에 [[안드레아 아놀드]]가 감독을 맡고 [[카야 스코델라리오]]가 캐서린으로 캐스팅 되었다. 여러모로 각색물 치고 파격적인 노선을 취했는데, 흑인 히스클리프를 기용한데다 [* 다만 꽤 버프를 받았음에도 배우는 이 영화 이후 활동이 없다.] 전반적으로 요크셔 특유의 황량한 풍경을 강조한 편이다. 아예 동물 사체도 등장할 편. 내용 자체는 1939년작 윌리엄 와일러판하고 유사하지만, 전반적으로 신인 및 비전문 배우를 기용해 기존 각색물들에서 보였던 낭만주의적인 기조가 많이 억제된 편이다.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wuthering-heights, critic=70, user=6.5)]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wuthering_heights_2011, tomato=69, popcorn=47)] [include(틀:평가/IMDb, code=tt1181614, user=6.0)] >'''바람이 탄식하고 들풀이 호소하는 멜로.''' >---- >[[이동진]] (★★★★) >'''정념을 만지다.''' >---- >[[김혜리(평론가)|김혜리]] (★★★★) >'''어릴 적 풍경만 또렷이.''' >---- >[[박평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