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양 철학사/현대 철학)] ||<-2> '''{{{+2 폴 처칠랜드}}}[br]Paul Churchland'''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www.bcp.psych.ualberta.ca/paulChurchland.gif|width=100%]]}}} || || '''본명''' ||폴 몽고메리 처칠랜드[br]Paul Montgomery Churchland|| ||<|2> '''출생''' ||[[1942년]] [[10월 21일]] ([age(1942-10-21)]세)|| ||[[캐나다 자치령]] [[브리티시 컬럼비아]] [[밴쿠버]]||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캐나다 자치령)] → [include(틀:국기, 국명=캐나다)]|| || '''가족''' ||아내 패트리샤 처칠랜드, 슬하 1남 1녀|| || '''직업''' ||철학자, 교수|| || '''학력'''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교]] {{{-2 ([[수학]], [[물리학]], [[철학]] / [[학사|B.A.]]) (1964년) }}} [br] [[피츠버그 대학교]] 대학원 {{{-2 ([[철학]] / [[Ph.D.]]) (1969년) }}} || || '''소속''' ||現 [[UC 샌디에이고]] 철학과 명예교수[br]前 [[매니토바 대학교]] 철학과 교수 || || '''지도 교수''' ||[[윌프리드 셀라스]] || || '''링크''' ||[[http://philosophyfaculty.ucsd.edu/faculty/pchurchland/|[[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2]]]]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ChurchlandPaul, 크기=22)] || [목차] [clearfix] [youtube(qbzCNXxX2HM)] == 개요 == 신경철학(neurophilosophy)과 [[심리철학]]에서 유명한 분석철학자. 현재 [[캘리포니아 대학교/샌디에이고 캠퍼스]] 철학과에서 명예교수로 재직 중이다. 그의 아내 패트리샤 처칠랜드 (Patricia Churchland)도 유명한 철학자다. 부부 모두 철학자인 경우는 있어도 동일한 철학적 입장을 취하고 공동으로 철학적 작업을 하는 경우는 흔치 않은데[* 상대적으로 실험 중심의 과학에서는 부부가 공동으로 연구를 하는 경우가 흔하지만, 철학의 특성상 공동으로 연구하기는 쉽지 않다.] 처칠랜드 부부가 그 경우다. 폴 처칠랜드의 철학적 입장이 바로 패트리샤 처릴랜드의 철학적 입장이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다. 이런 이유로 어떤 철학논문들에서는 폴과 패트리샤를 굳이 구분하지 않고 처칠랜드라고 통틀어 말하는 경우도 있다. == 생애 == 1942년 10월 21일 캐나다 [[밴쿠버]]에서 태어났다. 분석철학에서 미국과 영국 이외의 영미권 국가 출신의 유명한 철학자들은 호주 출신이 많지만 캐나다 출신 철학자는 드문데 처칠랜드가 바로 그 몇 안되는 캐나다인 철학자다. 다만 현재 활동하는 곳이 미국이라 그런지 그가 캐나다인이라는 사실은 잘 안알려져 있는 듯하다. [[UBC]]에서 철학, 수학, 물리학 전공을 했고 1964년에 졸업했다. 학부시절 수학, 물리학도 전공한 탓인지 대학에서 철학만 전공한 다른 철학자들과 다르게 자연과학에 능통하다. 그런 이유에서 철학만 전공한 철학자들과 다르게 철학적 문제들을 과학적인 관점에서 설명하고 해결하려고 한다.[* 비슷한 사람으로 [[대니얼 데닛]]이 있다.] 패트리샤 처칠랜드도 폴과 함께 UBC를 졸업했는데 아마 이 때 만나서 결혼하게 것 같다. 이후 1969년 [[피츠버그 대학교]]에서 윌프리드 셀라스의 지도 아래 철학박사학위를 받는다. 1967-1969년에 [[토론토 대학교]]에서 강사로 재직했고 1969년 [[매니토바 대학교]]에서 조교수로 임용되어 그곳에서 15년 동안 철학을 가르쳤다. 이후 UC 샌디에이고로 옮기고 현재까지 이곳 교수로 재직 중이다. 슬하에 두 명의 자녀를 두고 있으며 현재 둘 다 신경과학자다. (부모의 영향을 받은 듯 하다) == 견해 == 제거적 유물론 (Eliminative Materialism)을 주장한 것으로 유명하다. 제거적 유물론에 따르면 통속 심리학(folk psychology)에서의 (또는 우리의 일상에서 사용되는) 믿음, 느낌, 욕구 등의 심적 용어들은 심적 속성에 대한 엄밀한 용어들이 아니기 때문에 제거되어야 하며 대신 이러한 용어들은 현대 신경과학과 인지과학적 언어 또는 용어들로 대체되어야 한다고 본다. 신경과학과 인지과학에 능통하고 이런 입장에서 철학적 문제들을 해결하려는 그의 철학적 특징 때문인지 몰라도 처칠랜드의 철학은 전통철학자들 보다도 신경과학자/인지과학자들에게 더욱 주목받는 듯 하다. 또한 과학적 실재론자다. 그런데 실재론자치고 입장이 매우 미묘하다. 표준적인 과학적 실재론은 간단히 말해 "과학 이론은 관찰 가능한 영역과 관찰 불가능한 영역 모두에 대해 참이다"라고 이야기하는 입장이다. 반면 반실재론은 관찰 가능한 영역과 불가능한 영역에 대해 다른 태도를 취한다. 즉, "과학 이론은 관찰 가능한 영역에 대해서는 참이지만 관찰 불가능한 영역에 대해서는 참인지 우리가 알 수 없다"는 입장이다. 그런데 폴 처칠랜드는 우리의 관찰은 우리가 믿고 있는 이론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관찰의 이론적재성]]) 관찰 가능한 영역에 대해서도 과학 이론이 참이라고 확신할 수 없다고 말한다. 즉, 관찰은 현상을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이론이라는 필터를 통해 보여주므로 관찰된 현상이 실제 현상 그대로라는 보장이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폴 처칠랜드는 "과학 이론이 관찰 가능한 영역과 불가능한 영역 모두에 대해 참인지 알 수 없다"고 말한다. 그럼에도 그는 자신이 실재론자라고 말하는데, 관찰 가능한 영역과 불가능한 영역 양 쪽에 대해 같은 입장을 취하기 때문이다. == 저서 == * 국내번역서 * <플라톤의 카메라 뇌 중심 인식론>(Plato's Camera), 철학과현실사 * <물질과 의식>(Matter and Consciousness), 서광사, 1992. 심리철학 입문서로 유명하다. 영문판은 3판까지 나왔는데 아쉽게도 번역본은 1판 이후로 나오지 않았다. == 관련 문서 == * [[인지과학]] * [[심리철학]] [각주] [[분류:캐나다의 철학자]][[분류:1942년 출생]][[분류: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교 출신]][[분류:피츠버그 대학교 출신]][[분류:매니토바 대학교 재직]][[분류:UCSD 재직]][[분류:밴쿠버 출신 인물]] [[분류:캐나다의 철학자]][[분류:1942년 출생]][[분류: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교 출신]][[분류:피츠버그 대학교 출신]][[분류:매니토바 대학교 재직]][[분류:UCSD 재직]][[분류:밴쿠버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