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폴아웃 3]][[분류:게임 내 정보]] [include(틀:상위 문서, top1=폴아웃 3)] [[폴아웃 3]]의 관련 정보. [목차] [clearfix] == 줄거리 == [Include(틀:스포일러)] 게임의 시대 배경은 2277년, 즉 [[폴아웃 2]]의 연도인 2241년으로부터 36년이 지난 뒤의 세계이다. 배경 지역도 종래의 미국 서부에서 미국의 수도인 워싱턴 D.C로 바뀌었다.[* 워싱턴 D.C는 핵탄두를 심하게 얻어맞아 세월이 많이 흘렀음에도 깨끗한 물을 찾기 힘들고, 식량 사정도 열악할 정도. 거기다 동부 BoS의 엘리트 부대인 Lyon's Pride 소대가 슈퍼 뮤턴트와 교전을 가능한 피하는 작전 방침을 세울 정도로 위험한 지역이다.] 주인공이 시작하는 장소는 [[볼트 101]]. 영원한 폐쇄를 목적으로 한 이 볼트 101은 구성원의 그 누구도 출입을 불허하는 곳이다. 볼트 101에서 어렸을 적부터 주인공을 길러온 볼트 내부의 유일한 의사인 주인공의 아버지, 제임스가 주인공이 19세가 되고 난 후 어느날 갑자기 볼트를 나가버렸고 그로 인해 볼트 101은 발칵 뒤집힌다. 친구 아마타의 도움으로 주인공도 아버지를 따라 볼트 101을 탈출하여 아버지의 행적을 뒤쫓는다. [[볼트 101]]을 나온 주인공은 우선 근처 도시인 [[메가톤(폴아웃 3)|메가톤]]으로 향하여 [[제임스(폴아웃 3)|아버지]]의 행방을 캐묻는다. 이후 아버지가 [[갤럭시 뉴스 라디오]]의 방송국으로 향했다는 말을 [[콜린 모리아티]]라는 술집 주인으로부터 전해듣고 수많은 위험이 도사리는 워싱턴 DC의 폐허로 향하게 된다. 간신히 도착한 그곳은 [[슈퍼 뮤턴트]]라는 변이 생물체들이 진을 치고 있는 곳이었고, 이윽고 그들과 전투를 벌이고 있는 동부 [[브라더후드 오브 스틸]]의 최정예 분대, '라이언즈 프라이드'와 조우하게 된다. 그들의 도움으로 주인공은 갤럭시 뉴스 라디오탑에 들어가 '쓰리독'이라는 DJ를 만나게 되고, 아버지가 이곳을 거쳐 남쪽의 [[리벳 시티]]로 향했다는 말을 듣고 남쪽으로 향하게 된다. 리벳 시티에 도착해 그곳에 있던 아버지의 동료 과학자 '닥터 리'를 만나게 되고 그녀로부터 아버지가 [[프로젝트 퓨리티]]의 재개를 위해 자료를 수집하는 중 [[제퍼슨 기념관]]으로 향했으며, 그곳이 이전 연구 장소라는 말을 덧붙인다. 폐허가 된 연구소 곳곳에 흩어져 있던 기록들을 모으며 아버지가 이전부터 진행해 오던 수질 정화 사업인 프로젝트 퓨리티를 재개하기 위해 볼트 101을 탈출했다는 사실과 'G.E.C.K.'이라는 물품을 얻기 위해 포토맥 강을 넘어 먼 서부 황무지에 존재하는 해당 물품의 발명자인 '스테니슬로 브라운' 박사의 [[볼트 112]]로 향했다는 것을 알고, 장비를 챙겨 그곳을 향해 긴 여정을 떠난다.[* 특이하게도 이 부분의 메인 퀘스트는 뛰어넘을 수 있다.] 이후 아버지와 재회하게 된 주인공은 아버지의 프로젝트를 돕게 되고 회의적이던 닥터 리를 설득해 프로젝트가 다시금 순조롭게 진행되던 중, 예전부터 프로젝트 퓨리티를 주시하고 있던 [[엔클레이브(폴아웃 시리즈)|엔클레이브]]가 갑작스럽게 프로젝트 퓨리티의 연구소인 토마스 제퍼슨 기념관을 습격하게 된다. 이들은 프로젝트 퓨리티를 이용해 방사능에 오염되지 않은 깨끗한 물을 독점하려는 목적으로 프로젝트의 주도자였던 주인공의 아버지를 협박한다. 주인공의 아버지는 이에 순응하는 듯했으나 연구실에 방사능을 유출시켜 엔클레이브 일당과 함께 죽는 것을 택하며, 주인공은 남은 연구원들과 함께 워싱턴 D.C의 하수도망을 따라 도망친 뒤 시타델의 [[브라더후드 오브 스틸]]에게 도움을 청한다. 이후 [[브라더후드 오브 스틸]]은 [[엔클레이브(폴아웃 시리즈)|엔클레이브]]와의 전면전을 준비하고, 주인공은 이들에게 도움을 받아 파워 아머를 얻고 [[프로젝트 퓨리티]]의 핵심부품인 G.E.C.K.를 얻기위해 [[볼트 87]]로 향한다. 우여곡절끝에 G.E.C.K.를 얻은 주인공은 볼트에서 나오려다 엔클레이브에게 붙잡히게 되고, 이후 존 헨리 이든 대통령을 만나 프로젝트 퓨리티 가동 시 방사능에 노출된 모든 생명체를 일거에 멸망시킬 바이러스를 집어넣게 설득된다. 주인공의 선택에 따라 대통령의 명령을 그대로 따를 수도 있고, 반대로 대통령을 설득하거나 명령을 따르는 척하며 바이러스를 브라더후드에게 넘겨버릴 수도 있다. 결국 주인공은 [[엔클레이브(폴아웃 시리즈)|엔클레이브]]의 본부인 레이븐 락을 탈출해 [[브라더후드 오브 스틸]]과 합류한 뒤 [[리버티 프라임]]의 힘을 빌려 제퍼슨 기념관의 엔클레이브와 교전을 벌이고 지역을 확보한 후, 수도 황무지의 모든 사람들에게 깨끗한 물을 제공하겠다던 아버지의 뜻을 이어받아 자신을 희생하는 것을 통해 프로젝트 퓨리티를 다시 재개하게 된다.[* 이때 바이러스를 넣었는지 여부, 그리고 주인공의 카르마와 지금까지 수행해 온 퀘스트에 따라 엔딩이 조금씩 달라진다.] 이후 공식 [[DLC]]인 Broken Steel에서 주인공은 2주 동안의 혼수상태에서 깨어나 [[브라더후드 오브 스틸]]의 나이트가 되어 엔클레이브의 잔당을 소탕하게 된다. === [[폴아웃 3/엔딩|엔딩]] === == 시스템 == * [[SPECIAL]] * [[폴아웃 3/Perk|Perk]] * [[V.A.T.S.]] * [[Pip-Boy|핍-보이]] * [[폴아웃 시리즈/랜덤 인카운터]] * [[소매치기#s-4.3|소매치기]] * [[함정(폴아웃 시리즈)|함정]] == 기초 사항 == === [[폴아웃 3/설치|게임 설치 방법]] === 폴아웃 3 기본 게임 설치 방법 및 주요 기반 모드 적용 방법에 대해서는 [[폴아웃 3/설치|설치 및 최적화]] 문서를 참고하기 바란다. === 조작법 === [[https://strategywiki.org/wiki/Fallout_3/Controls|조작법(영문)]] 폴아웃 3을 비롯한 베데스다 게임은 초보자에게 매우 불친절한 게임이다. '그냥 게임 플레이하다 보면 다 알게 되겠지'란 생각으로 게임을 하다간 난해한 인터페이스와 조작법에 막혀서 바로 게임을 지우는 꼴이 날 수 있다. 되도록이면 게임 내 도움말이나 게임 밖 공략글들을 보면서 기초적인 조작법이나 인터페이스 사용법을 파악하고 게임을 시작하길 바란다. == 저장의 습관화 == '''폴아웃 3을 플레이할 때는 저장을 자주 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다.''' 폴아웃 3은 게임 자체가 버그가 많고 불안정해 자주 바탕 화면으로 튕기거나(crash to desktop; ctd) 게임이 멈춰 버리는(freezing) 경우가 많다. 게다가 여기에 모드까지 깔 경우 불안정해 ctd가 날 가능성이 더 높아진다. 저장을 오랫동안 안 하고 플레이를 할 경우 짧게는 수십 분에서 길게는 수 시간까지 플레이했던 것을 다시 해야 한다. 보통 다음과 같은 순간에 저장을 해주는 것이 좋다. * 야외 필드에서 일정 시간마다[* 건물 안은 공간을 넘어갈 때 자동 저장이 되는데 야외는 자동 저장이 안 된다. 죽으면 수십 분 뒤로 가는 경우가 다반사다.] * 문이나 입구 앞에서[* 어딘가 다른 공간으로 이동하기 전에 저장해야 튕기는 사태가 일어나도 불러와서 복구할 수 있다.] * 적으로 보이는 대상으로부터 수십 미터 앞에서[* 적 코 앞에서 저장했다 죽으면 불러오기 해도 또 죽는 일이 벌어지기 쉽다.] * 중요 퀘스트 분기점에서[* 저장을 해 놔야 선택을 잘못했을 때 복구할 수 있다.] * 아이템 거래를 하기 전에[* 실수로 물건을 판다고 해 놓고 사 버리거나 산다고 해 놓고 팔아 버리는 경우가 많다.] * 개조나 아이템 제작을 하기 전에[* 실수로 개조를 잘못했거나 분해했을 때 복구할 수 있다.] * 소매치기나 몹 매혹을 할 때[* 하드코어하게 정석대로 플레이하고 싶다면 저장하지 않아도 된다.] 폴아웃 3의 저장은 크게 5가지로 나뉜다. 되도록이면 수동 저장을 하도록 하자. * 수동 저장: 말 그대로 수동으로 저장하는 방법이다. 게임 중 ESC 키를 눌러 메뉴 창을 연 뒤, 왼쪽 메뉴에서 저장을 선택해 원하는 슬롯에 저장한다. 기존에 저장했던 저장 슬롯에 덮어씌워 저장할 수도 있고 새로 저장을 선택해 새 슬롯을 만들어 저장할 수도 있다. 되도록이면 수동 저장을 자주 하는 습관을 들이자. 또한 귀찮아서 기존 저장 파일에 덮어씌워 저장하지 말고, 되도록이면 새로 저장을 해서 새 저장 파일을 만들고 이전에 저장한 파일을 지우는 습관을 들이자. * 빠른 저장: 게임 중 F5 키를 누르면 자동으로 한 슬롯에 빠른 저장을 한다. 게임 중 ESC 키를 눌러 메뉴 창을 연 뒤, 위의 퀘스트, 일반 정보, 시스템 메뉴 중 시스템을 선택하고, 왼쪽 메뉴에서 조작 설정을 누르면 키를 바꿀 수 있다. 빠른 저장의 단점은 한 저장 슬롯에만 계속 저장을 한다는 것이다. 즉 기존 저장 슬롯의 저장 파일을 지우지 않는 수동 저장과 달리, 빠른 저장은 기존 저장 슬롯에 있던 저장 파일을 지우고 새 저장 파일로 대체한다. 때문에 만약 저장을 적을 바로 앞에서 마주친 상황 같이 이상한 시점에 했거나 저장 파일이 망가졌을 경우 수십~수백 시간 동안 했던 게임을 말아먹을 수 있다. 그러니 '''되도록이면 빠른 저장보다는 수동 저장을 하자.''' 스카이림의 경우 아예 [[엘더스크롤 5: 스카이림/모드/기본 시스템 변경 및 개선|빠른 저장을 여러 세이브 슬롯에 순차적으로 돌아가며 저장하게 해주는 모드]]나 [[엘더스크롤 5: 스카이림/모드/기본 시스템 변경 및 개선|빠른 저장을 수동 저장으로 대체하는 모드]]도 있으나 아쉽게도 폴아웃 3에는 아직 그런 모드는 없다. * 자동 저장: 게임 플레이 과정에서 폴아웃 3 게임이 자동으로 저장하는 것을 말한다. 게임 중 ESC 키를 눌러 메뉴창을 연 뒤, 위의 퀘스트, 일반 정보, 시스템 메뉴 중 시스템을 선택하고, 왼쪽 메뉴에서 옵션을 선택한 뒤 오른쪽 메뉴에서 게임플레이 항목을 선택하면 휴식 중 저장, 대기 중 저장, 여행 중 저장, 캐릭터 메뉴에서 저장을 켜거나 끌 수 있다. 따로 ini 설정을 건드리지 않았다면 최대 3개까지 자동 저장 슬롯이 마련되며, 자동 저장이 되면 이전의 가장 오래된 자동 저장 파일에 새 자동 저장 파일을 덮어씌운다. 내 문서-My Games에 있는 Fallout3 폴더의 Fallout.ini 파일을 열어 [SaveGame] 항목 아래에 있는 iAutoSaveCount=의 숫자를 바꾸면 최대 자동 저장 슬롯 개수를 더 늘려 줄 수도 있다. 자동 저장은 최적화가 잘못됐는지 위쳐같은 다른 게임들과 달리 '''자동 저장 중에 렉이 발생한다.''' 특히 게임 안에 있는 여행 중 저장 옵션의 경우 맵이나 셀을 이동할 시에 자동 저장을 하는 기능인데 이 옵션을 켜면 로딩이 길어진다고 한다. 또한 빠른 저장 키를 눌렀는데 비슷한 순간에 폴아웃 3 게임이 자동 저장을 하면 그 저장 파일이 망가진다는 보고도 있다. 이 때문에 대기 중 저장 또는 여행 중 저장 기능만 켜거나, 아예 자동 저장 관련 옵션 4가지를 다 끄고 수동 저장만 하는 유저도 있다. * 특수 저장: 특정 퀘스트나 지역으로 이동하는 등의 이벤트 발생 시 게임이 자체적으로 자동 저장을 한다. 이 저장은 자동 저장을 꺼도 동작한다고 한다. 있는지 모르는 사람이 많을 정도로 존재감이 없는 기능이고, 사실 쓸모도 별로 없다. * 콘솔 저장: 사람들이 잘 모르는 기능으로, PC 버전의 경우 콘솔에서도 저장이 가능하다. 게임 중에 숫자 키 1번 키 왼쪽에 있는 `키를 눌러 콘솔 창을 연 뒤, 'save 저장명' 을 치면 저장 파일이 저장된다. save vault111 이라 치면 vault111이라는 저장 파일이 만들어지는 식이다. 이 콘솔 저장은 가장 안정적인 저장 방식이다. 안정적인데다 따로 저장 파일 이름을 정해 줄 수 있으므로 자주 애용해 주는 것이 좋다. 주로 클린 저장 파일을 만들거나 중요 퀘스트 분기를 저장 파일로 저장할 때 이 저장 방식을 써 주면 좋다. === 저장 시스템 관련 논란 === 빠른 저장 및 자동 저장과 관련해서 논란이 있다. 그 논란점은 크게 다음의 두 가지이다. 1. 빠른 저장과 자동 저장은 스크립트를 일부 누락시키고 저장시키는가? 2. 새로 새 저장 슬롯에 저장하지 않고 기존 저장 슬롯에 덮어씌워 저장하면 오류가 발생하는가? 빠른 저장을 남용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하는 측은 폴아웃의 빠른 저장과 자동 저장은 기본적으로 굉장히 불안정하며, 자동 저장 과정 자체가 스크립트 데이터가 누락되거나 오류가 나는 경우가 굉장히 많고, 특히 계속 한 슬롯에 덮어씌우기 때문에 그런 오류가 더 심해진다고 주장한다. 실제로 수동 저장은 안 하고 빠른 저장만 계속하다가 그 저장 파일이 망가져서 수십 분에서 길게는 수 시간까지 플레이했던 것을 다시 해야 하는 불상사를 겪은 사람들이 많다는 점도 주장의 근거로 든다. 그리고 빠른 저장을 쓰는 경우는 움직이거나, 스크립트가 진행되거나 하는 과정에서 누르는 경우가 많으며, 이 경우 스크립트가 깨지던가 저장돼야 할 상황이 누락되면서 빠른 저장/불러오기를 이용한 버그 플레이 기법도 많이 발견되었다. [[https://youtu.be/SAAuVWb_Jes?t=77|폴아웃3 벽뚫기 버그]],[[https://youtu.be/QK8CczHdu-I?list=PLfndWzNAXra06znz1QPRdyApj0-W_2-lW&t=148| 폴아웃 뉴 베가스의 빠른 저장으로 낙하 피해 무시하기 버그]] 이유야 어쨌든 한 저장 슬롯에 저장 파일을 덮어씌워 저장하는 짓은 하지 않는 게 좋다. 그렇게 저장하다 그 하나만 있는 저장 파일이 오류 나면 수십 시간 버리는 건 사실이기 때문이다. 기존 수동 저장 파일에 덮어씌워 저장하는 건 하든 말든 상관 없지만, 되도록이면 저장 슬롯을 여러 개 만들어 순차적으로 저장을 하자. == 등장인물 == 주로 유명 주연들이 많이 참전했는지라 성우진은 [[https://www.imdb.com/title/tt1073664/fullcredits#cast|여기 참조.]] * [[볼트 101]] * '''[[제임스(폴아웃 3)|제임스]](주인공의 아버지)''' * '''[[외로운 방랑자]](주인공)''' * [[감독관|알폰스 알모도바르]](오버시어) * [[아마타 알모도바르]] * [[베아트리체]] * 에드윈 브로치 * [[루시 팔머]] * [[조나스]] * [[부치 들로리아]] * 폴 헤넌 부치 들로리아의 친구 1. 흑인이며 10살 생일 때 아마타와 함께 외로운 방랑자의 생일을 축하해준다. 그리고 외로운 방랑자에게 평소에 장난이 심하긴 했지만 큰 의미는 두지 말라며 그/그녀와 친해지려 하지만 부치와 월리의 야유 때문에 외로운 방랑자와 친구가 되길 그만둔다. 외로운 방랑자가 16살 때 친구들의 권유대로 터널 스네이크 갱이 되었고, 아마타를 괴롭히는 부치를 거드는 모습으로 등장하며, 외로운 방랑자와 손절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ai문제로 주인공하고 한번 눈이 마주치면 계속해서 주인공을 주시한다. 이건 부치나 월리도 마찬가지.] GOAT 시험에서 엔지니어의 재능이 있다고 나온다. * 월리 맥 부치 들로리아의 친구 2. 백인으로 10살 생일 때 처음 만나는데도 본인 생일 파티에 비하면 형편 없다며 상당히 재수 없게 군다. 외로운 방랑자가 16살 때는 부치와 터널 스네이크 갱을 결성했다. GOAT 시험에서 로켓 공학자의 재능이 있는 것으로 밝혀진다. * 오피서 맥 볼트 경비원 중 한 명. 외로운 방랑자를 잡아들이기 위해 오버시어와 함께 아마타를 심문하고 있었다. 고메즈를 제외한 다른 경비원들과 마찬가지로 외로운 방랑자를 발견하면 공격해온다. * 켄달 경관 볼트 경비원. 10살 생일 때 처음 등장하며 혼자 생일 파티에 끼지 못하고 윗층 문 앞에 서서 경비를 서고 있다. 이름으로 봐서 16살 때 외로운 방랑자의 동급생 중 한명인 크리스틴 켄달의 아버지로 짐작된다. 19살 때도 등장. 기념비적인 첫 적대자이다. 대사를 들어보면 이전부터 제임스가 마음에 안 들었던 듯 하다. 오버시어에게 외로운 방랑자를 잡아들이라는 명령을 듣고 그/그녀를 발견하고 습격하려 하나, 정작 그 순간에 갑툭튀한 라드로치 3마리와 싸운다. 라드로치를 해치운 다음 무시하든[* 경찰봉을 들고 덤비는데 데미지가 구려서 지구력을 5만 찍어도 그렇게 아프지 않다.], 아니면 죽이고 장비를 루팅할 수 있다. * 크리스틴 켄달 16살 때 등장하는 볼트 101의 여학생. 본인은 과학이나 가정 쪽 일을 맡고 싶은데 GOAT 시험을 낙제하는 바람에 브로치 선생에게 유지보수부가 되어야 한다는 말을 듣자, 아빠한테 다 이를 거라고 말한 뒤에 뛰쳐나가 버린다. 뛰쳐나가기 전에 말을 걸어 보면 브로치 선생을 욕한다. * 스탠리 외로운 방랑자가 사용하는 핍-보이 3000을 수리한 장본인으로, 볼트 101의 유일한 핍-보이 수리공이다. 그리고 말 그대로 유일한 핍-보이 기술자인데 정작 볼트 안에 있는 사람들은 10살이 넘으면 모두 핍-보이를 착용해야 하기 때문에, 매일 대량의 망가진 핍-보이를 고치느라 과로에 시달리고 있다. 16살 때 G.O.A.T를 보러 가기 전에 아버지의 컴퓨터를 확인해 보면 조명 때문에 두통을 호소한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아버지는 이미 그에게 사탕을 주듯이 두통약을 주고 있었으며 과로와 수면 부족 탓에 두통을 겪고 있는 것이라고 진단하였다. 볼트 병원을 잘 살펴보면 방 한쪽에서 조너스에게 조명 때문에 두통이 난다며 빨리 치료해달라고 호소한다. 외로운 방랑자가 19살 때 다른 이들과 마찬가지로 라드로치 떼에게 둘러싸이나 같이 있던 미스터 핸디인 앤디가 전부 퇴치해 줘서 살아남는다. * [[오피서 고메즈]] * 프레디 고메즈 오피서 고메즈의 아들. 16살 생일 때 처음 등장. 아버지의 컴퓨터 기록에 의하면 볼트 우울증에 걸려 있다. G.O.A.T에서도 시험지를 제한 시간까지 작성하지 못하고 있으며[* 에드윈 선생이 연필 내려놓으라고 한 말 못 들었냐고 핀잔을 준다. 그럼에도 계속해서 답안을 고치고 있다.], 도덕성 문제[* 할머니가 함께 차 마시자고 불러서는, 갑자기 총을 쥐어주고 다른 사람들을 죽이라는 말을 했을 때 어떻게 할지 고르라는 문제.]에서 깊이 고민하거나 맨 마지막 오버시어 찬양 문제[* 답이 모두 오버시어다.]에서 헤메는 등 아무래도 집중력 결핍 문제도 있는 듯. * [[앨런 맥]] * 브로치 에드윈 외로운 방랑자가 16살 때 등장하는 볼트 101의 교원. G.O.A.T 시험 담당이기도 하다.[* 다른 문제 내용은 그나마 목소리에 힘을 주고 읽어주는데 맨 마지막 오버시어 찬양 문제 내용은 감정 없는 목소리로 읊어주는 게 조금 웃기다.] 말썽꾼인 부치 들로리아의 시험지를 받아들고 이 순간을 음미해야겠다고 말하는 등 좀 능글맞은 면이 있는 인물. 대화 선택지에 따라 주인공의 G.O.A.T 시험 결과를 위조해준다. * 앤디 주인공이 10살 생일을 맞았을 때 처음으로 등장하는 [[미스터 핸디]]. 전기톱으로 케이크를 박살내고 모두에게 사과하거나, 16살 때는 한쪽 벽 구석에서 청소를 하고 있는데 다가가면 미끄러져서 머리가 깨질 수 있으니 위험하다고 경고해주기도 한다. * 수지 맥 16살 때 등장하는 여학생. GOAT 시험에서 교육계가 될 거라는 말을 듣자, 대담하게도 교육계가 되고 나면 자주 얼굴 보게 될 것이라며 브로치 선생을 더 이상 선생님이라고 부르지 않고 에드윈이라고 이름으로 부른다. * 테일러 부인 외로운 방랑자가 19살이 되었을 때 등장하는 할머니. 하지만, 살아서 만날 수는 없고 이미 라드로치 3마리에게 물어뜯겨 사망한 상태이니 볼트 슈트나 벗겨 가자. 루시 팔머의 모델링을 돌려 썼다. * 홀든 부부 제임스가 볼트 101에서 나가고 라드로치 떼에게 습격당했을 때 등장하는 부부. 남편인 홀든이 제임스처럼 볼트를 나가고 싶다며 출구 쪽을 향해 달려갔다가 경비원들에게 사격당하여 사망. 아내인 메리도 남편을 쫓아갔다가 마찬가지로 경비원들의 총알에 맞고 죽는다. * 리처즈 & 오브라이언 경관 볼트 101의 경비원 2인조. 오버시어에게 출구 쪽으로 향하는 자에 대한 사살 명령이라도 떨어졌는지 제임스와 마찬가지로 볼트를 탈출하려 한 홀든 부부를 쏴 죽인다. * 플로이드 루이스 볼트 101 거주민 중 하나. 이미 라드로치 떼에게 당해서 사망한 상태. 볼트 슈트 말고도 안경을 루팅할 수 있다. * 경비대장 해넌 폴 해넌의 아버지이자 볼트 101 경비대의 대장. 오버시어의 명을 받고 외로운 방랑자를 습격한다. * 오피서 파크&울프 외로운 방랑자가 볼트 문을 열면 숏컷을 열고 등장하는 볼트 101 경비대원. 하지만 볼트 밖으로 나가는 건 무서웠는지 볼트 문 밖으로 나서면 더 이상 쫓아오지 않는다. * [[볼트 108]] * [[게리(폴아웃 3)|게리]] * [[볼트 112]] * [[스테니슬로 브라운]] * [[엔클레이브(폴아웃 시리즈)|엔클레이브]] * '''[[존 헨리 이든 대통령]]''' * '''[[어거스투스 어텀|어텀 대령]]''' * [[브라더후드 오브 스틸]] * '''[[오윈 라이언스]]''' * '''[[사라 라이언스]]''' * [[서기 로스차일드]] * [[서기 이얼링]] * [[아서 맥슨]] * [[팔라딘 호스]] * [[팔라딘 트리스탄]] * [[크로스(폴아웃 3)|스타 팔라딘 크로스]] * [[이쉬마엘 에셔]](현 핏 레이더의 보스) * [[리버티 프라임]] * [[브라더후드 아웃캐스트]] * [[캐스딘]] * [[모건]] * 락파울 * 맥그로 * 모릴 * 시블리 * 올린 * 린든(현 오아시스의 주민) * [[레이더(폴아웃 시리즈)|레이더]] * [[제리코(폴아웃 3)|제리코]](현재는 은퇴) * [[러그-넛]] * [[라그-볼트]] * 제이미(구울) * [[록서트]] * [[라이언 브릭]] * [[마담]] * [[명랑한 잭]](비적대 레이더+[[암시장]] 상인) * 온건파 [[슈퍼 뮤턴트]] * [[포크스]] * [[엉클 레오]] * 3세대 [[신스(폴아웃 시리즈)|신스]] * [[하크니스]](A3-21) * [[아미타지]](S3-47) * [[레일로드(폴아웃 시리즈)|레일로드]] * 빅토리아 왓츠 * [[라일리 레인저]] * [[라일리(폴아웃 3)|라일리]] * 버쳐 * 도노반 * 브릭 * [[그레이디치]] * [[브라이언 윌크스]] * [[닥터 레스코]] * [[파라다이스 폴스]] * [[율로지 존스]] * [[로리 맥클라렌]] * 그루즈 * 프론토 * 캐롤라이나 레드 * 커터 * 포티 * 요툰 * [[이미르]] * [[리틀 램프라이트]] * [[로버트 J. 맥크레디]] * 루시 * 에클레어 * 닉낵 * 빌리 * 범블 * [[빅 타운]] * 레드 * 쇼티 * 타임밤 * 더스티 * [[스티키]] * 비터컵 * [[리벳 시티]] * 베라 웨덜리 * [[닥터 리]] * [[닥터 짐머|짐머 박사]] * [[하크니스]] * [[시스터]] * [[브라이언 윌크스]](그것들! 퀘스트 이후) * [[부치 들로리아]](고향에서 발생한 문제 이후) * 애나 홀트 * 재니스 카플린스키 * 메이 왕 * [[닥터 핑거톤|핑거톤]] * [[베논]] * [[텐페니 타워]] * [[알리스터 텐페니]] * [[미스터 버크]] * [[구스타보 대장]] * [[로이 필립스]] * [[허버트 대쉬우드]] * [[리디아 몬테네그로]] * [[메가톤(폴아웃 3)|메가톤]] * [[루카스 심즈]] * [[모이라 브라운]] * [[콜린 모리아티]] * [[고해사제 크롬웰|크롬웰 신부]] * [[제리코(폴아웃 3)|제리코]] * [[노바(폴아웃 3)|노바]] * [[괍]] * [[로리 맥클라렌]](낙원으로부터의 구출 퀘스트 이후) * 레오 스탈 * [[루시 웨스트]] * [[매냐 발가스]] * [[나다니엘 발가스]] * 닥터 처치 * 빌리 크릴 메가톤에 살고 있는 용병. 레이더 무리에게 습격받은 것을 구출한, 메기라는 소녀를 딸처럼 키우고 있다.[* 하지만 콜린 모리아티는 그가 과거에 레이더였을 것이며 메기의 부모님을 몰살하고 그녀를 트로피처럼 거뒀을 것이라 추측하고 있다. 굉장히 그럴듯하게 써놔서 유저들 사이에서는 추측이다vs진실이다로 나뉘어 해석한다.] * [[아르푸]] * [[에반 킹]] * [[언더월드]] * [[크로울리]] * [[아즈루칼]] * [[켈베로스]] * [[윈스럽]] * [[튤립]] * [[닥터 베로우]] * [[스노우플레이크]] * [[그레타]] * [[시드니(폴아웃 3)|시드니]](독립 쟁취 퀘스트 이후) * [[케롤]] * [[모이라 브라운]](메가톤을 폭파시켰을 때) * 그리폰 * [[다리그늘 마을]] * [[로날드]] * [[시에라 페트로비타]] * 패밀리 * [[밴스#폴아웃3의 등장인물]] * 이안 웨스트 * 캔터베리 커먼 * 엉클 로 * [[개미여인]](타냐 크리스토프) * [[메카니스트]](스캇 월린스키) * [[템플 오브 유니온]] * [[한니발 햄린]] * 미국군 * [[콘스탄틴 체이스]] * [[벤자민 몽고메리]] * 중공군 * [[징웨이]] * [[더 피트(도시)|더 핏]] * [[이쉬마엘 에셔]] * [[산드라 쿤데니카]] * [[마리(폴아웃 3)|마리]] * [[미디어]] * [[웨르너]] * 에버렛 * 페이드라 * [[포인트 룩아웃]] * [[나딘]] * [[데스몬드]] * [[칼버트 교수]] * [[토바(폴아웃 3)|토바]] * [[할리]] * [[파나다]] * [[오바디아 블랙홀]] * [[마르셀라]] * [[Mothership Zeta|마더쉽 제타]] * [[샐리(폴아웃 3)|샐리]] * [[소마(폴아웃 3)|소마]] * [[엘리엇 테코리언]] * [[폴슨]] * [[토시로 카고]] * 기타 * [[의문의 사나이]] * [[실버]] * [[바퀴 왕]] * [[쓰리 독]] * [[해롤드(폴아웃 시리즈)|해롤드]] * [[아가사]] * [[연설자]] * [[스티그]] * [[리로이 워커]] * [[폐품업자]] * [[버튼 그윈넷]] * [[깁슨(폴아웃 3)]] * [[핀트 사이즈 슬래셔]] === 동료 === [include(틀:폴아웃 3(동료))] 본편의 동료 8명(?)만 지속적으로 데리고 다닐 수 있다. DLC 지역 동료는 기본적으로 다 임시 동료들이며, 수도 황무지로 데리고 올 수 없다. 반대로 본편 동료를 DLC 지역으로 데리고 가는 것도 치트를 쓰지 않는 한은 불가능하다. 원칙적으로 동료는 1명만 데리고 다닐 수 있지만 [[도그밋]](개)은 다른 동료의 영입 여부나 카르마와는 관계없이 별도로 영입 가능하다. 즉 주인공, 도그밋, NPC 동료로 최대 3명이 같이 파티를 맺을 수 있다.[* 인간형 동료 1, 비인간형 동료 1의 구성은 [[폴아웃: 뉴 베가스]] 및 [[엘더스크롤 5: 스카이림]]에도 이어진다.] 단, 퀘스트에서 임시로 동료가 되는 NPC들은 예외. 대개 최초로 영입하기 위해서는 카르마 및 돈이 요구되는 경우가 많고, 메인 퀘스트가 어느 정도 진행되어야 영입할 수 있는 경우도 있다. 동료는 기본적으로 고유 기본 무기가 있고, 기본 무기는 탄약을 소모하지 않지만[* [[부치 들로리아]]는 최소 10mm 탄약을 1발이라도 소지하고 있어야 기본 원거리 무기를 사용한다. 실제로 탄약을 소비하는 것은 아님.] 그 이상의 무기를 사용하게 하기 위해서는 무기 및 탄약도 제때제때 공급해 주어야 사용한다. 무기를 주었을 때 팔을 맞아 무기를 놓친 경우에는 줍지 않고 기본 무기로 전환하는 것에도 유의. RL-3, 도그밋을 제외하고는 스팀팩을 미리 주면, 전투 중에 알아서 사용한다. 동료는 전투가 끝나거나 주위에 적이 없다면 천천히 치유된다. 거기다 도그밋, 풕스, RL-3를 제외한 인간형 동료들에게 갑옷을 입힐 수 있는데, 특히 방어력이 높은 [[파워 아머(폴아웃 시리즈)|파워 아머]]를 지급하면 생존률이 높아지고 전투도 수월해진다.[* 초중반에 얻은 파워 아머는 어차피 훈련받지 못한 상태라 입을 수 없어 계륵 같은 상태가 된다. 이때 동료에게 입히면 이런 문제점이 해결된다.] 동료의 인벤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무게 제한의 압박도 덜 수 있다. 동료 혼자서 적을 죽이면 주인공은 경험치를 전혀 얻지 못한다. 플레이어는 1명의 적에게 최소 30%의 데미지는 입혀야 경험치를 얻을 수 있다. 그래서 동료를 초반에 얻으면 게임의 난이도는 낮아지지만, 레벨업은 조금 느려진다. 참고로 [[폴아웃:뉴 베가스]]에서는 동료가 전적으로 처치한 적에 대해서도 100% 경험치를 얻을 수 있고, [[폴아웃 4]]에서는 플레이어가 최소 25%의 데미지를 입혀야 경험치를 얻을 수 있다. 인간형 동료들은 주인공의 레벨에 따라 같이 레벨이 오르며, 도그밋, [[포크스]], [[RL-3]] 같은 크리쳐 동료들은 다른 인간형 동료와 다르게 레벨이 고정되어 있다. 단, [[DLC]]인 [[Broken Steel]]을 설치하면 크리쳐 동료들도 주인공의 레벨에 맞게 레벨이 상승하는데 HP가 Broken Steel을 설치하지 않았을 때보다 수십~수백 배 이상 높아지는 치명적인 버그가 있으니 주의할 것.[* 다만, 이미 동료로 들여 놓은 상태에서 Broken Steel을 설치할 경우에는 버그가 적용되지 않는다.] 도그밋, 포크스, RL-3를 고용하면 게임의 난이도가 극도로 낮아진다. 특이한 것은 중립, 악 성향 동료들은 동료 상태에서 카르마가 올라가도 떠나기는 커녕 선행에 질투하며 투덜대기만 할 뿐 동료로 남아 있는데 그때는 도움이 안 되지만, 이 상태에서 동료를 더 받을 수 있다. 선 성향 동료들은 카르마가 나빠지면 떠나 버리거나 공격을 하니 반대 순서의 조합은 불가능. === 임시 동료 === 공식적으로는 목적지에 도착하는 등의 관련 퀘스트를 끝내면 파티에서 떠나지만 스티키처럼 일부 동료는 목적지에서의 볼 일을 미리 끝낸 뒤 동료로 얻고 목적지에 일부러 안 가거나 하며 퀘스트를 끝내지 않거나, 핍보이 사용이 가능해지는 즉시 다른 지역으로 빠른 이동을 하는 등의 방식을 이용해 동료로 남길 수도 있다. 이들은 정식 동료가 아니기에 DLC에서도 동행이 가능해 [[외로운 방랑자]]의 여행을 버그로나마 덜 외롭게 만들어준다. 다만 어디까지나 임시 동료기에 레벨업이 불가능해서 장비와 스팀팩을 챙겨주지 않으면 죽기 십상이란 점이 문제. 대신 맨몸인 NPC도 맨손 싸움만 고집하는 바보는 아니라서 맨손으로 전투하다가 적이 죽으며 바닥에 떨어뜨린 무기가 있으면 즉시 주워서 사용하기도. 그래도 역시 갑옷이나 스팀팩 등은 직접 챙겨줘야 한다. NPC라 총알은 1발만 배치해줘도 잘만 쓰는 동료들도 있는 게 그나마 다행일 듯. 다만 마인필드의 알칸소나 Robco 시설의 프로텍트론들, 빅 타운의 지뢰들처럼 플레이어와 동료들에게 적대하지 않는 상태로 바꿀 수 있는 NPC들 및 함정들은 임시 동료는 여전히 적대하므로 이런 경우는 미리 처리해 놓고 동료로 얻어야 보다 더 안전해진다. * 본편의 임시 동료들 * [[범블]] * [[체리]] * [[닥터 리]]와 그녀의 일행들 * [[레드]] * [[쇼티]] * [[스티키]] * [[시드니(폴아웃 3)|시드니]] * [[로리 맥클라렌]] * [[Operation: Anchorage]]의 임시 동료들 * [[벤자민 몽고메리]] * 타격대 소총수(Strike Team Infantryman) * 타격대 척탄병(Strike Team Grenadier) * 타격대 미사일병(Strike Team Missile Unit) * 타격대 지정사수(Strike Team Sniper) * 타격대 미스터 것시(Strike Team Mister Gutsy) * 타격대 센트리봇(Strike Team Sentry Bot) * [[Mothership Zeta]]의 임시 동료들 * [[샐리(폴아웃 3)|샐리]] * [[소마(폴아웃 3)|소마]] * [[엘리엇 테코리언]] * 대니얼스 중사(Sergeant Daniels) - 관련 퀘스트 수행 시 동행. * 베켓 이등병(Private Beckett) * [[폴슨]] * [[토시로 카고]] * 지원 드론 - 드론 제어 장치를 입수했을 경우 드론들을 임시 동료로 사용 가능 * 경비 드론 === 동료 8명 전부 얻기 === 위에 나와 있듯 원칙적으로는 동료 1명+도그밋만 동료로 얻을 수 있지만 8명 전부를 동료로 얻을 수 있는 편법도 있다. 하지만 게임 상에 거의 필요 없는 퍽인 "강아지다!"를 찍어야 하는 데다 게임 후반부에나 가능하고, 과정도 복잡하니 차라리 동료를 얻을 때만 한글 모드를 잠시 해제하고 동료 제한 및 카르마 제한을 풀어주는 모드를 사용하는 게 나을 수 있다. 자세한 방법은 하단 메뉴에 후술. http://fallout.wikia.com/wiki/Fallout_3_companions#Notes 2가지 방법이 있다. 1.강아지다! 퍽이 필요하다. 우선 [[도그밋]]을 제외한 영입 가능한 동료를 영입한 후 고철 하차장에서 [[도그밋]]을 영입한다. 다음 영입하고자 하는 동료가 있는 곳에 가서 [[도그밋]]을 죽인다.[* 쉽게 죽이는 방법은 도그밋에게 [[볼트 101]]로 가서 기다리라고 명령을 내린 후에 소매치기를 통해 수류탄을 넣어 주면 된다. 다만 다른 동료나 NPC가 보는 곳에서 하면 주변 인물들이 적대적으로 돌변하니 [[스텔스 보이]]나 [[중국 스텔스 아머]] 등을 활용하자.] [[도그밋]]이 죽었다는 메시지가 뜨면 2번째 동료를 영입한다. 이것은 [[도그밋]]이 죽어서 생긴 동료의 슬롯 때문에 영입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이후 [[볼트 101]]로 돌아가 [[도그밋]]의 새끼를 영입한다. 이것을 반복해서 8명의 동료를 얻을 수 있다. [[크로스(폴아웃 3)|크로스]]같이 성향이 악으로 변하면 떠나가는 동료는 먼저 영입해 두면 떠나가지 않는다. 아무래도 이 과정을 반복하며 마지막으로 영입한 동료만 카르마의 영향을 받아 떠날 것인지 남을 것인지 판단을 하는듯. 2.우선 [[RL-3]]를 영입한다. 다음 영입하고 싶은 동료가 있는 곳에 가서 [[RL-3]]에게 대기 명령을 내린 후, 대기 상태에서 다시 말을 걸어 [[RL-3]]를 해고한다. 그리고 바로 새로운 동료를 영입한 후에 [[RL-3]]를 공격한 후[* 적대상태로 만들 필요는 없음]에 다른 건물로 들어가서 그 자리에서 7~8일 정도 시간을 보낸다. "[[RL-3]]가 캔터버리 커먼으로 돌아갔습니다."라는 메시지가 뜨면 [[RL-3]]를 재고용한다. 이 과정을 반복한다. 하나는 강아지다! 퍽이 필요해서 22레벨 이후에나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고, 하나는 [[RL-3]]를 고용할 때마다 중립 카르마로 맞춰 줘야 한다는 단점이 있으니 선택은 자유이다. == 몬스터 == === 비인간형 === ==== 포유류 ==== * [[몰랫]] * [[야오과이]] * [[브라민]] * 개 ==== 곤충, 갑각류 및 파충류 ==== * [[라드로치]] * [[마이얼럭]](혹은 마이어러크)[* 마이얼럭 킹과 스웜프러크 퀸은 파충류] * [[라드스콜피온]] * [[거대 개미]] * [[화염 개미]] * [[거대 파리]] ==== 이물(Abomination) ==== * [[데스클로(폴아웃 시리즈)|데스클로]] * [[켄타우로스(폴아웃 시리즈)|켄타우로스]] === 인간형 === ==== 비 팩션 및 돌연변이계 ==== * [[페럴 구울]] * [[레이더(폴아웃 시리즈)|레이더]] * [[에일리언(폴아웃 시리즈)|에일리언]] * [[습지인]] * [[원주민]] * [[밀수업자]] * [[인간 사냥꾼(폴아웃 3)|인간 사냥꾼]] * [[슈퍼 뮤턴트]] * [[트로그(폴아웃 시리즈)|트로그]] * [[무법자]] * [[어보미네이션]] ==== 팩션계 ==== * [[엔클레이브 군인]] * [[중공군(폴아웃 시리즈)|중공군]] * [[탈론 컴퍼니 용병]] * [[레귤레이터]] * [[노예 사냥꾼]] * [[피트 레이더]] === 기계 === * [[미스터 핸디]] / [[미스터 것시]] * [[프로텍트론]] * [[센트리봇]] * [[로보브레인]] * [[아이봇|엔클레이브 아이봇]] * [[외계인 드론]] == 진영 == * [[엔클레이브(폴아웃 시리즈)|엔클레이브]] * [[브라더후드 오브 스틸]] * [[브라더후드 아웃캐스트]] * [[탈론 컴퍼니]] * [[레귤레이터]] * [[레인저]] * [[캐러밴(폴아웃 3)]] * [[패밀리]] == 지역 == === 주요 도시, 마을, 건물 === * [[메가톤(폴아웃 3)|메가톤]] * [[리벳 시티]] * [[텐페니 타워]] * [[파라다이스 폴스]] * [[빅 타운]] * [[리틀 램프라이트]] * [[오아시스(폴아웃 3)|오아시스]] * [[앤데일]] * [[아르푸]] * [[더 피트(도시)|더 피트]] * [[캔터베리 커먼스]] * [[포인트 룩아웃]] * [[언더월드#s-3]] * [[볼트(폴아웃 시리즈)|볼트]] * [[볼트 87]] * [[볼트 92]] * [[볼트 101]] * [[볼트 106]] * [[볼트 108]] * [[볼트 112]] === 기타 지역 === * [[수도 황무지]] * 워싱턴 DC * [[시타델(폴아웃 3)|시타델]] * [[백악관]] 하수구로 가볼 수는 있지만, 핵을 직격으로 맞아 아무것도 없고 그냥 방사능 구덩이만 남아있다. * [[베데스다 폐허]] * [[국회의사당(폴아웃 3)|국회의사당]] * [[제퍼슨 기념관(폴아웃 3)|제퍼슨 기념관]] * [[워싱턴 기념비]] * [[링컨 기념관]] * [[역사 박물관]] * [[언더월드]] * [[갤럭시 뉴스 라디오]] * [[타코마 공원]] * [[레인저 주둔 기지]] * 국립기록원 * 요새 * [[방위군 본부]] * [[베니스터 요새]] * [[콘스탄틴 요새]] * [[인디펜던스 요새]] * 주요 거점 * [[레이븐 락]] * [[아담스 공군 기지]] * [[모빌 베이스 크롤러]] * 기타 * [[올드 올니]] * [[마마돌체]] * [[데스클로 서식지]] * [[데이브 공화국]] * [[스프링베일 초등학교]] * [[스프링베일]] * [[템플 오브 유니온]] * [[위성 통신 기지 NW-05a]] * [[위성통신기지 NN-03d]] * [[던위치 빌딩]] * [[송신탑]] * [[듀코브의 거처]] * [[그레이디치]] * [[다리그늘 마을]] * [[세발자전거 공장]] * [[마인필드]] * [[알링턴 도서관]] * [[혈암다리]] * [[누카콜라 공장]] * [[저먼타운 경찰본부]] * [[슈퍼-두퍼 마트]] * [[에버그린 밀스]]([[암시장]]) * [[폴아웃 3/기타 장소들]] * 공중설비 * [[풀로스키 보호 셸터]] === [[폴아웃 3/하우징|하우징]] === * [[폴아웃 3/하우징]] 항목 참조. == 무기 == 유니크(☆): 보통의 경우 버그나 콘솔 명령어를 사용하지 않으면 단 하나밖에 얻을 수 없는 무기들이다. 1~2개를 더 얻을 수 있는 일부 예외도 존재한다. 보통 기본 무기보다 내구성, 공격력, 효율성 등에서 뛰어나지만 일부 능력치가 기본 무기보다 더 떨어지는 경우도 있으며 개조도 불가능하기 때문에 오히려 유니크 무기가 일반 무기보다 종합 성능이 떨어지는 경우도 있다. 기본 무기와 외형 차이가 조금 있고, 보통 방법으로는 얻을 수 없다. 크게 4가지로 얻는 방식을 나눌 수 있다. * 특정 인물과 대화에 성공 및 거래 * 퀘스트의 서브 조건까지 전부 완료해서 획득 * 필드나 던전을 돌아다니다가 발견 * 가지고 있는 NPC를 사살하거나 소매치기로 획득 유니크 무기는 그 무기의 원형이 되는 일반 무기를 이용해 수리가 가능하다. 주의할 점은 '''일반 무기를 유니크 무기로 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 실수로 유니크 무기로 일반 무기를 수리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제작 무기: 설계도(Schemetics)를 획득한 뒤 [[작업대]]에서 제조할 수 있는 무기류. 설계도는 각 무기마다 3~4개씩 존재하며, 반복해서 얻을수록 버전(version)이 올라간다. 하지만 설계도가 4개 있는 무기(록잇 런쳐, 병뚜껑 지뢰)라도 레벨은 3까지밖에 올릴 수 없다. 누카 수류탄, 병뚜껑 지뢰는 설계도 레벨이 올라갈 수록 한 번에 제조 가능한 개수가 올라가고, 나머지 종류는 설계도 레벨이 올라갈수록 자신의 수리스킬 비례 시작 내구도가 올라간다. 설계도가 하나 있을때는 내구도의 백분율이 수리 스킬의 75%, 설계도 2개를 얻었을때엔 100%, 그리고 마지막 3개일 때에는 수리 스킬의 125%에 달한다. 만약 수리 스킬이 100이라면 2개만 얻어도 조합 무기는 100% 꽉 차서 나오니 딱히 3번째 설계도를 얻을 필요는 없다는 뜻. 달리 말 하자면 설계도의 레벨에 따른 무기 성능 차이는 내구도 차이에서 나오는 성능 차이를 제외하곤 없으니 딱히 조합 아이템 아낀다고 나중까지 기다리지 않아도 된다는 뜻이다. 설계도 3레벨 찍고 만든 무기도 쓰다보면 걸레짝되고, 설계도가 하나밖에 없을 때 만든 무기도 여러 개를 만든다거나 NPC에게 돈을 내고 수리만 해주면 100퍼센트 내구도로 바꿀 수 있으니 말이다. 물론, 소모품 폭발물들은 웬만하면 설계도 3을 찍고 만드는게 이로울 것이다. 특히나 귀한 누카콜라 퀀텀을 쓰는 누카 수류탄은 더욱 더. === 격투 무기(Unarmed) === 말 그대로 맨손에 장착하는 장갑형 무기다. 3종류밖에 없고, 상위 2종과 하위 1종의 성능 차가 크다. * 너클 * [[너클류 격투 무기(폴아웃 시리즈)#브래스 너클|브래스 너클]](Brass Knuckles) * [[강철 너클]](Steel Knuckles) ([[폴아웃 3 - 더 핏|The Pitt]]) ☆ * [[너클류 격투 무기(폴아웃 시리즈)#스파이크드 너클|스파이크 너클]](Spiked Knuckles) * [[플렁켓의 중요한 지적]](Plunkett's Valid Points) ☆ * 건틀릿 * [[파워 피스트(폴아웃 시리즈)#s-2|파워 피스트]](Power Fist) * [[피스토!]](Fisto!) ☆ * [[쇼커(폴아웃 3)|쇼커]](The Shocker) ☆ * [[데스클로 건틀릿#s-1]](Deathclaw Gauntlet) '''(제작)''' === 근접 무기(Melee) === 맨손보다는 도구로 싸우는 근접 유형의 무기들. 가볍게는 단검류부터, 무겁게는 망치류, 자동으로는 리퍼/자동 도끼까지 종류가 의외로 다양하다. * 한손 무기 * [[밀대(폴아웃 시리즈)#s-2|밀대]](Rolling Pin) * 칼(Knife): 흔히 보이는 식칼. 공격력은 매우 낮지만 단검류 모두 공격 속도가 초당 3회로 격투, 근접 무기 중 가장 빠르다. * [[개미의 독침]](Ant's Sting) ☆ * 제사용 칼(Ritual Knife) ([[폴아웃 3 - 포인트 룩아웃|Point Lookout]]) ☆: 일반 칼에 비해 공격력 1.5배(6), 치명타율 3배, 치명타 추가 피해 3배, AP소모 0.6배(12), 내구도 약 2.67배로 훨씬 강력하다. 치명타 관련 퍽을 찍고 VATS를 사용한다면 스탭해피보다도 좋아진다. * 장난감 칼(Toy Knife) ([[폴아웃 3 - 포인트 룩아웃|Point Lookout]]) ☆: 일반 칼에 비해 AP소모가 절반(10)으로 무기 중 가장 적은 AP를 소모하지만 공격력(1)과 내구도도 가장 낮다. 플라스틱이라 재료가 달라서인지 다른 칼들과 수리 호환이 안 된다. * [[스위치 블레이드(폴아웃 시리즈)#s-3|스위치블레이드]](Switchblade) * [[부치의 이쑤시개]](Butch's Toothpick) ☆ * [[타이어 렌치#s-2]](Tire Iron) * 노상강도의 친구(Highwayman's Friend) ☆: [[캔터베리 커먼스|캔터베리 커먼]]의 도미닉의 집의 선반에서 획득 가능하다. 임자가 없는지 가져가도 카르마 감소는 없다. 유니크이다 보니 공격력이 조금 더 높고 공격 속도도 나쁘지 않은 편이지만, 쇠막대 자체가 [[레이더(폴아웃 시리즈)|레이더]]들이나 들고 다닐 만큼 공격력이 시원찮고(같은 금속제 막대로만 따지자면 쇠파이프가 훨씬 낫다.), 내구력도 상당히 낮은 수준에 들기 때문에 수집이나 장식 외에는 잘 쓰이지 않는다. * [[삼단봉(폴아웃 시리즈)#s-2|경찰봉]](Police Baton) * [[납 파이프#s-1]](Lead Pipe) * [[군용 나이프(폴아웃 시리즈)#s-3|전투 나이프]](Combat Knife) * [[오컴의 면도날#s-5.2]](Occam's Razor) ☆ * [[스탭해피]](Stabhappy) ☆ * 참호용 단검(Trench Knife) ([[폴아웃 3 - 오퍼레이션 앵커리지|Operation Anchorage]]) ☆: 능력치는 일반 전투 나이프와 같고 손잡이에 너클이 추가된 외형만이 차이점. * [[중공군 장교 검#s-2]](Chinese Officer's Sword) * [[흡혈귀의 검]](Vampire's Edge) ☆ * [[징웨이의 전기검|징웨이의 전격검]](Jingwei's Shocksword) ([[폴아웃 3 - 오퍼레이션 앵커리지|Operation Anchorage]]) ☆ * [[리퍼(폴아웃 시리즈)#s-3|리퍼]](Ripper) * [[잭 더 리퍼(폴아웃 3)|잭 더 리퍼]](Jack) ☆ * [[살충 막대|땅두더지 퇴치 몽둥이]](Repellent Stick) ☆ * [[충격봉]](Shock Baton) ([[폴아웃 3 - 마더쉽 제타|Mothership Zeta]]) * 전자-억제기(Electro-Suppressor) ([[폴아웃 3 - 마더쉽 제타|Mothership Zeta]]) ☆: 추가 전격 피해가 없고 대신 치명타 시 2초간 대상을 기절시킨다. * [[사무라이의 검]](Samurai's Sword) ([[폴아웃 3 - 마더쉽 제타|Mothership Zeta]]) ☆: 일반 무기 버전인 [[일본도(폴아웃 시리즈)|일본도]]가 취소되면서 자체 유니크가 되었다. 중공군 장교 검으로 수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중공군 검 바리에이션으로 분류하기도 하지만 기획 상으로는 3편에도 일본도가 별도로 존재했으며 뉴 베가스에서야 정식으로 추가된다. [[Tale of Two Wastelands]]에서는 수리 대응 아이템이 일본도로 변경된다. * [[시쉬케밥(폴아웃 시리즈)#s-1|시쉬케밥]](Shishkebab) '''(제작)''' * 양손 무기 * [[당구채(폴아웃 시리즈)#s-2|당구채]](Pool Cue) * [[더 브레이크|파괴자]](The Break) ☆ * [[판자(폴아웃 시리즈)#s-2|못박힌 막대기]](Nail Board) * [[사랑의 매]](Board of Education) ☆ * [[야구 방망이(폴아웃 시리즈)#s-2|야구 방망이]](Baseball Bat) * [[슬레지해머(폴아웃 시리즈)#s-2|대형망치]](Sledgehammer) * [[텐더라이저]](The Tenderizer) ☆ * [[슈퍼 슬렛지#s-2|초대형망치]](Super Sledge) * [[포크스의 슈퍼 슬렛지|풕스의 초대형망치]](Fawkes' Super Sledge) ☆ * [[자동 도끼]](Auto Axe) ([[폴아웃 3 - 더 핏|The Pitt]]) * 전기톱(Steel Saw) ([[폴아웃 3 - 더 핏|The Pitt]]): 자동 도끼의 원형으로, 개조 전이라 훨씬 약하다. * [[사람따개]](Man Opener) ([[폴아웃 3 - 더 핏|The Pitt]]) ☆ * [[폭행기]](The Mauler) ([[폴아웃 3 - 더 핏|The Pitt]]) ☆ * [[삽(폴아웃 시리즈)#s-2|삽]](Shovel) ([[폴아웃 3 - 포인트 룩아웃|Point Lookout]]) * [[거름 푸는 삽]](Fertilizer Shovel ) ([[폴아웃 3 - 포인트 룩아웃|Point Lookout]]) ☆ * 도끼(Axe) ([[폴아웃 3 - 포인트 룩아웃|Point Lookout]]): 주로 습지인과 원주민이 들고 나오는 무기. 다른 포인트 룩아웃 무기들처럼 적이 들면 플레이어에게 방어도 무시 35피해를 준다. * [[절단기#s-2]](The Dismemberer) ([[폴아웃 3 - 포인트 룩아웃|Point Lookout]]) ☆ === 경화기(Small Gun) === 비에너지계 소총 이하 규격의 재래식 총기들을 포괄하며, 권총과 소총으로 분류가 된다. 실탄 계열이므로 생명체에는 강해도 기계류, 중장갑에는 위력이 반감된다. * 한손 무기 * [[.32 피스톨]](.32 Pistol) * --[[로 독]](Law Dog)--[* 서부극에서 자주 보이는 홀스터가 달리고 총알이 꽂혀 있는 허리띠를 뜻하는 말. Texas Jockstrap이라고도 불림.] : 더미 데이터. 콘솔 명령어로만 획득 가능. * [[와일드 빌의 부무장]](Wild Bill's Sidearm) ([[폴아웃 3 - 더 핏|The Pitt]]) ☆ * [[차이니즈 피스톨#s-3|중공군 권총]](Chinese Pistol) * [[축융 v418 중국식 권총]](Zhu-Rong v418 Chinese Pistol) ☆ * [[10mm 권총#s-2]](10mm Pistol) * [[10mm 권총#s-2|소음 10mm 권총]](Silenced 10mm Pistol) * [[어텀 대령의 10mm 권총]](Colonel Autumn's 10mm Pistol) ☆ * [[10mm 기관단총#s-3]](10mm SMG) * [[시드니의 10mm "울트라" SMG]](Sydney's 10mm "Ultra" SMG) ☆ * [[쌍열 산탄총(폴아웃 시리즈)#s-3|단총신 산탄총]](Sawed-Off Shotgun) * [[무릎따개]](The Kneecapper) ☆ * [[.44 매그넘(폴아웃 시리즈)#s-1.3|.44 매그넘 리볼버]](Scoped .44 Magnum Revolver) * [[블랙호크(폴아웃 3)|블랙호크]](Blackhawk) ☆ * [[캘러핸의 매그넘]](Callahan's Magnum)[* 더티 해리 패러디] ([[폴아웃 3 - 브로큰 스틸|Broken Steel]]) ☆ * [[폴슨의 리볼버]](Paulson's Revolver) ([[폴아웃 3 - 마더쉽 제타|Mothership Zeta]]) ☆ * [[다트건]](Dart Gun) '''(제작)''' * 양손 무기 * [[BB건(폴아웃 시리즈)#s-3|BB건]](BB Gun) * [[R91 돌격소총|돌격 소총]](Assault Rifle) * [[차이니즈 어설트 라이플#s-1|중공군 돌격 소총]](Chinese Assault Rifle) * [[현룡 돌격소총]](Xuanlong Assault Rifle) ☆ * [[사냥용 소총(폴아웃 시리즈)#s-1.3|사냥용 소총]](Hunting Rifle) * [[올 페인리스]](Ol' Painless) ☆ * [[링컨의 리피터]](Lincoln's Repeater) ☆[* 외형은 레버 액션 소총이나 수리는 사냥용 소총으로 하기 때문에 별개의 종류로 취급.] * [[전투 산탄총(폴아웃 시리즈)#s-2|전투 산탄총]](Combat Shotgun) * [[무시무시한 산탄총]](The Terrible Shotgun) ☆ * [[저격 소총(폴아웃 시리즈)|저격 소총]](Sniper Rifle) * [[예비군의 소총]](Reservist's Rifle) ☆ * [[승리의 소총]](Victory Rifle) ☆ * [[인필트레이터(폴아웃 3)|침입자]](Infiltrator) ([[폴아웃 3 - 더 핏|The Pitt]]) * [[천공기(폴아웃 3)|천공기]](Perforator) ([[폴아웃 3 - 더 핏|The Pitt]]) ☆ * [[쌍열 산탄총(폴아웃 시리즈)#s-3|쌍열 산탄총]](Double-Barrel Shotgun) ([[폴아웃 3 - 포인트 룩아웃|Point Lookout]]) * --[[아빠의 낚시 도우미]](Pa's Fishing Aid) ([[폴아웃 3 - 포인트 룩아웃|Point Lookout]])-- : 더미 데이터. 콘솔 명령어로만 획득 가능. * [[레버액션 소총(폴아웃 시리즈)#s-2.1|레버액션 소총]](Lever-Action Rifle) ([[폴아웃 3 - 포인트 룩아웃|Point Lookout]]) * [[깡촌 소총]](Backwater Rifle) ([[폴아웃 3 - 포인트 룩아웃|Point Lookout]]) ☆ * [[개못 소총#s-2]](Railway Rifle) '''(제작)''' === 에너지 무기(Energy Weapons) === 에너지 탄환을 사용하는 총기류. 하이테크 무기답게 단발 공격력이 소형 총기류보다 높다. 기계류에는 강하고 경장갑에는 위력이 반감된다. * 한손 무기 * [[레이저 피스톨#s-2]](Laser Pistol) * [[어텀 대령의 레이저 피스톨]](Colonel Autumn's Laser Pistol) ☆ * [[밀수업자의 종말]](Smuggler's End) ☆ * [[프로텍트론의 응시]](Protectron's Gaze) ☆ * [[플라즈마 피스톨(폴아웃 시리즈)#s-2|플라즈마 피스톨]](Plasma Pistol) * [[MPLX 노바서지]](MPLX Novasurge) ([[폴아웃 3 - 마더쉽 제타|Mothership Zeta]]) ☆ * [[에일리언 블래스터#s-2.2]](Alien Blaster) ☆: 2개까지 얻을 수 있는 자체 유니크. * [[파이어랜스]](Firelance) ☆ * [[메스메트론]](Mesmetron) ☆ * [[초고주파 발생기]](Microwave Emitter) ([[폴아웃 3 - 포인트 룩아웃|Point Lookout]]) ☆[* 메스메트론과 모델링만 같고 별개의 무기. 탄약도 메스메트론 셀이 아니라 마이크로 퓨전 셀을 사용한다.] * [[외계 분무기]](Alien Atomizer) ([[폴아웃 3 - 마더쉽 제타|Mothership Zeta]]) * [[원자 분쇄기]](Atomic Pulverizer) ([[폴아웃 3 - 마더쉽 제타|Mothership Zeta]]) ☆ * [[함장의 부무장]](Captain's Sidearm) ([[폴아웃 3 - 마더쉽 제타|Mothership Zeta]]) ☆[* 생긴 건 에일리언 블래스터지만 수리도 원자 분무기로 되고, 탄약도 에일리언 파워 셀이 아닌 에일리언 파워 모듈을 사용한다.] * 양손 무기 * [[AER9 레이저 소총#s-3|레이저 소총]](Laser Rifle) * [[웨이저 와이플]](Wazer Wifle) ☆ * [[강철 블래스터]](Metal Blaster) ([[폴아웃 3 - 더 핏|The Pitt]]) ☆ * [[플라즈마 소총(폴아웃 시리즈)#s-2|플라즈마 소총]](Plasma Rifle) * [[A3-21의 플라즈마 라이플]](A3-21's Plasma Rifle) ☆ * [[가우스 소총(폴아웃 시리즈)#s-4.1|가우스 소총]](Gauss Rifle) ([[폴아웃 3 - 오퍼레이션 앵커리지|Operation Anchorage]]) ☆: 폴아웃 3에서는 자체 유니크지만 후속작에서는 일반 무기로 바뀌었으며 별도의 유니크 바리에이션도 추가되었다. * [[트라이 빔 레이저 라이플#s-1]](Tri-beam Laser Rifle) ([[폴아웃 3 - 브로큰 스틸|Broken Steel]]) * [[테슬라 캐논#s-1]](Tesla Cannon) ([[폴아웃 3 - 브로큰 스틸|Broken Steel]]) * [[에일리언 디스인티그레이터|외계 파쇄기]](Alien Disintegrator) ([[폴아웃 3 - 마더쉽 제타|Mothership Zeta]]) * [[불안정화 장치]](Destabilizer) ([[폴아웃 3 - 마더쉽 제타|Mothership Zeta]]) ☆ === 폭발계 무기(Explosive) === 지뢰, 수류탄 계열을 포함한 폭발성 무기. 폭발 시 피아 구분을 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 시 주의해야 한다. 단 지뢰의 경우 설치한 본인은 밟아도 터지지 않는다. * 수류탄 * [[수류탄(폴아웃 시리즈)#s-3.1|수류탄]](Frag Grenade) * [[펄스 수류탄#s-2]](Pulse Grenade) * [[플라즈마 수류탄(폴아웃 시리즈)#s-3|플라즈마 수류탄]](Plasma Grenade) * [[수류탄(폴아웃 시리즈)#s-3.7|생화학 가스 포집통]](Bio-Gas Canister) ([[폴아웃 3 - 포인트 룩아웃|Point Lookout]]) * [[냉동 수류탄#s-2]](Cryo Grenade) ([[폴아웃 3 - 마더쉽 제타|Mothership Zeta]]) * [[누카 수류탄#s-1]](Nuka-Grenade) '''(제작)''' * 지뢰 * [[지뢰(폴아웃 시리즈)|대인 지뢰]](Frag Mine) * 펄스 지뢰(Pulse Mine) * 플라즈마 지뢰(Plasma Mine) * 냉동 지뢰(Cryo Mine) ([[폴아웃 3 - 마더쉽 제타|Mothership Zeta]]) * [[병뚜껑 지뢰#s-2]](Bottlecap Mine) '''(제작)''' === 중화기(Big Guns) === 미니건, 개틀링 레이저 등 중화기 무기류. * 직격 무기 * [[미니건(폴아웃 시리즈)#s-4|미니건]](Minigun) * [[유진(폴아웃 시리즈)|유진]](Eugene) ☆ * [[개틀링 레이저#s-2.2]](Gatling Laser) * [[복수(폴아웃 3)|복수]](Vengeance) ☆ * [[정밀한 개틀링 레이저]](Precision Gatling Laser) ([[폴아웃 3 - 브로큰 스틸|Broken Steel]]) ☆ * [[화염방사기(폴아웃 시리즈)#s-3|화염방사기]](Flamer) * [[번마스터]](Burnmaster) ☆ * [[신속 화염방사기]](Rapid-Torch Flamer) ([[폴아웃 3 - 브로큰 스틸|Broken Steel]]) ☆ * [[지속 화염방사기]](Slo-Burn Flamer) ([[폴아웃 3 - 브로큰 스틸|Broken Steel]]) ☆ * [[헤비 인시너레이터#s-2.1|대형 소각기]](Heavy Incinerator) ([[폴아웃 3 - 브로큰 스틸|Broken Steel]]) * [[드론 캐논]](Drone Cannon) ([[폴아웃 3 - 마더쉽 제타|Mothership Zeta]]) * [[드론 캐논 Ex-B]](Drone Cannon Ex-B) ([[폴아웃 3 - 마더쉽 제타|Mothership Zeta]]) ☆: 2개까지 얻을 수 있는 유니크. * [[로킷 런처|록-잇 런처]](Rock-It Launcher) '''(제작)''' * 폭발성 무기 * [[미사일 발사기(폴아웃 시리즈)#s-2|미사일 런처]](Missile Launcher) * [[미스 런처]](Miss Launcher) ☆ * [[팻 맨(폴아웃 시리즈)#s-2|팻 맨]](Fat Man) * [[Experimental MIRV|실험용 MIRV]](Experimental MIRV) ☆ == 방어구 == 적의 원거리, 근접 데미지를 감소시켜 주는 아이템. 무기와 마찬가지로, 공격을 방어할 때마다 내구도가 감소하며 방어력이 내려가고, 같은 계열의 방어구로 수리가 가능하다. 당연하게도, 무거운 방어구일수록 이동 속도는 느려진다. 몸을 방어하는 여러 재질의 아머와 함께, 머리를 방어하는 천 모자, 헬멧 계열의 방어구를 착용할 수 있다. 파워 아머 훈련을 받기 전까지 다양한 방어구를 착용할 수 있으나, 무게 대비 성능으로 컴뱃 아머 계열이 무난하여 자주 사용된다. 다만 컴뱃 헬멧은 착용하는 몹이 없어, 대부분 상점에서 사서 수리해야한다. 컴뱃 헬멧은 어느 정도의 방어력을 보장하는 대신 능력치를 올려주지는 않으므로, 능력치를 노리고 천 계열의 모자를 착용하는 것도 선택이 될 수 있다(대부분 인지력 +1). 다만 천 모자 계열은 내구도가 낮아 조금만 맞아도 내구도가 0이 된다는 점에 유의하자.(일부 유니크 모자는 예외. 대표적인 것으로 링컨의 모자와 쓰리독의 두건이 있다) 파워 아머 계열의 아머와 헬멧은 따로 훈련을 받아야만 착용할 수 있다.[* DLC인 오퍼레이션 앵커리지를 클리어하거나, --올드 올니의 메딕 파워아머 근처에 떨어저있는 훈련 홀로테입을 입수하던가--(순정 상태의 게임에선 해당 없음) 본편 스토리의 중후반쯤 시타델에 입장하면 배울 수 있다.] 상기한 방어구 외에도 몇몇 능력치를 올려 주는 천 옷이나 유니크 방어구는 많이 있지만 대다수가 외형의 차이도 없이 성능만 약간 향상된 큰 특색이 없는 종류들이라 논외. * 머리 * [[르두의 하키 마스크]] ☆ * [[버튼의 가발]] ☆ * [[구울 가면]] ☆ * 행운의 선글라스 ☆: 운 +1. * 몸 * [[볼트 점프슈트#s-3]] * [[레이더 아머#s-2]] * [[컴뱃 아머(폴아웃 시리즈)#s-2.1|컴뱃 아머]] * [[레인저 배틀 아머#s-1]] * [[컴뱃 아머(폴아웃 시리즈)#s-2.6|라그-볼트의 컴뱃 아머]] ([[폴아웃 3 - 브로큰 스틸|Broken Steel]]) ☆ * [[금속 아머(폴아웃 시리즈)#s-2|메탈 아머]] * [[리콘 아머#s-2]] * [[중국 스텔스 아머#s-2]] ([[폴아웃 3 - 오퍼레이션 앵커리지|Operation Anchorage]]) ☆ * [[T-45 파워 아머#s-2.1|T-45d 파워 아머]] * [[프로토타입 메딕 파워 아머]] ☆ * [[부족 파워 아머]] ([[폴아웃 3 - 더 핏|The Pitt]]) ☆ * [[T-51 파워 아머#s-3|T-51b 파워 아머]] ☆ * [[T-51 파워 아머#s-3.1|방한 T-51b 파워 아머]] ([[폴아웃 3 - 오퍼레이션 앵커리지|Operation Anchorage]]) ☆ * [[어드밴스드 파워 아머#s-3.2|엔클레이브 파워 아머]] * [[테슬라 아머#s-3.1]] * [[지옥불 파워 아머#s-3.1]] ([[폴아웃 3 - 브로큰 스틸|Broken Steel]]) == 소비 아이템 == * [[누카-콜라]] * [[누카콜라 퀀텀]] * [[슈가 밤]] * [[스텔스 보이]] * [[이상한 고기]] * [[스팀팩(폴아웃 시리즈)|스팀팩]] * [[멘타츠]] * [[버프아웃]] * [[사이코(폴아웃 시리즈)|사이코]] * [[제트(폴아웃 시리즈)]] * [[스킬북]] * [[크램]] * [[펑가]] ([[폴아웃 3 - 포인트 룩아웃|Point Lookout]]) * [[무기 수리 키트|에일리언 에폭시]] ([[폴아웃 3 - 마더쉽 제타|Mothership Zeta]]) == 기타 아이템 == * [[링컨의 유품]] * [[보블헤드]] * 행운의 8번 당구공: [[빅 타운]]의 퀘스트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아이템. 소지하고 있으면 운 +1. * [[폴아웃 3/기타 아이템]] == 개념 == * [[프로젝트 퓨리티]] * [[G.O.A.T.]] == [[폴아웃 3/모드|모드]] == [[폴아웃 3/모드]]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