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로마 집정관/3세기)] ||<-2><#8B0000> '''{{{+1 {{{#fecd21 Publius Valerius Eutychianus Comazon [br] 푸블리우스 발레리우스 에우티키아누스 코마존}}}}}}''' || || '''출생''' ||미상 || || '''사망''' ||미상 || || '''직위''' ||원로원 의원, [[집정관]], 야전 사령관, 근위대장, 수도 장관 || [목차] [clearfix] == 개요 == [[로마제국]] [[세베루스 왕조]]의 [[엘라가발루스]] 시대의 [[권신]]. 원로원 의원, 집정관, 야전 사령관, [[프라이토리아니]] 근위대장으로, 엘라가발루스 정권의 탄생부터 몰락까지 함께 한 [[율리아 마이사]]의 친구이자 동맹자이다. 코마존은 4년의 악행을 책임지지 않고자 동료 근위대장으로 자신이 엘라가발루스 제거 작전을 기획할 당시에 내세운 플라비우스 안티오키아누스 장군에게 죄를 뒤집어 씌운 뒤, 본인은 은퇴 후 편히 여생을 마무리한 악인으로 유명하다. 자신의 권력과 성공을 위해, 함량미달의 엘라가발루스 치세를 4년여 간 보필하면서 로마 제국 역사상 최초로 4년 연속 수도 장관 자리와 근위대장 자리를 겸직하면서 막강한 권세를 휘둘렀다. 그러다가 엘라가발루스의 난잡하고 악몽 같은 치세가 흔들리자, 황제의 외할머니 율리아 마이사와 함께 엘라가발루스, [[율리아 소아이미아스]] 제거 작전을 기획해 이를 222년 3월 성공시켰다. == 생애 == 전체 이름은 푸블리우스 발레리우스 에우티키아누스 코마존이다. 얼핏 전체 이름 중 "푸블리우스 발레리우스"만 놓고보면 로마 건국과 시작을 함께 한 [[파트리키]] 명문가 [[발레리우스]] 가문 출신 같은 로마인이다. 그렇지만 그리스식 이름에서 따온 "에우티키아누스"에서 드러나듯이, 그는 그리스 혈통의 신참자이다. 코마존은 로마군 병졸로 입대해, 군생활을 시작했고, 장교의 길을 걸으며 승진의 길을 얻게 된 시기는 트라키아에서 근무 중일 당시에 만난 [[콤모두스]] 덕분이었다. 이 당시, 콤모두스는 공동황제로 있으면서, 맏누나 [[루킬라]] 공주가 시기심 아래에서 벌인 암살 미수 사건 전의 아주 정상적이고 평균 이상의 시절이었다. 그래서 코마존의 승진은 그가 영리하고 용감한 부분을 높게 산 공동황제 콤모두스와 그의 매형 [[폼페이아누스]] 장군 등의 추천 덕에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콤모두스 아래에서 경력을 시작하면서, 다누비우스 전선으로 알려진 [[다뉴브 강]] 주둔 군단들에서 장교로 있었다. 그러다가 그곳에 있는 동안, 상관으로 부임한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아탈루스 파테르쿨리아누스와 갈등이 생겨, 파테르쿨리아누스 장군에게 징계를 받고 강등 조치를 당했다고 한다. 그렇지만 이 강등 조치는 일시적이었고, 그의 군생활과 승진에 어떤 영향도 미치지 않았다고 한다. 허나 이런 일 때문에 코마존은 218년 권력을 쥔 직후, 자신과 갈등관계였던 파테르쿨리아누스를 비롯해, 무나티우스 술라 등 정적들을 마크리누스 지지자로 모함해 살해했다. 그는 [[네르바-안토니누스 왕조]]의 콤모두스 아래에서 계속 승진했는데, 정황상 콤모두스 시대 말에 원로원 명부에 이름을 올리게 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런데 192년 12월 31일 콤모두스가 암살되고, 193년부터 [[다섯 황제의 해]]가 터졌다. 이때 그의 행보는 분명치 않다. 다만, [[셉티미우스 세베루스]]와 갈등을 빚지 않았고, 여전히 [[안토니누스 역병]]에 따른 인재 수급이 어려워진 제국 현실상, 원로원 의원이 되고 이를 바탕으로 군경력을 이어 나간 것은 확실하다. 그의 이름이 다시 기록에 등장한 것은 서기 218년이었다. 때는 [[카라칼라]]가 217년 암살되고 [[마크리누스]]가 황제로 등극한 지 1년 뒤인데, 이때 코마존은 제국 동부의 제2 군단을 지휘 중이었다. 이때 제3군단 갈리카가 엘라가발루스를 앞세운 율리아 마이사, [[율리아 소아이미아스]], 간니스와 함께 반란을 일으켰다. 그런데 여기에서 코마존은 2군단을 이끌고 이들과 합세한 뒤, [[세베루스 왕조]]의 재건 1등 공신으로 맹활약했다. 따라서 코마존은 이때의 공로를 인정받아, 엘라가발루스와 두 시리아 여제가 안티오키아에 입성할 무렵부터 실질적인 엘라가발루스 군대 총사령관으로 있었고, 그 치세의 시작부터 실권을 쥐게 됐다. 이때 그는 친구이자 동맹자 율리아 마이사의 요청에 따라 로마로 먼저 건너가서, 엘라가발루스 이름으로 충성 보너스를 [[프라이토리아니]]에게 지급하고 근위대장에 올랐다. 엘라가발루스의 4년여 재위 기간 내내, 권력을 쥐고 로마 제국 안에서 실력자로 핵심 요직을 겸직하면서 연임했다. 218년부터 근위대장 두 자리 중 수석 자리를 항상 차지했고, 220년 집정관, 220년~222년까지 3년 연속 수도 장관을 지냈다. 이때 그는 수도 경비대, 소방대 장관직까지 사실상 편법으로 겸직했고, 원로원 감시와 정치공작을 직접 명령했다. 하지만 엘라가발루스가 계속해서 로마의 전통을 무시하고, 온갖 실정 속에서 난잡함을 보이자, 율리아 마이사에 앞서 먼저 엘라가발루스 제거를 기획했다고 한다. 그 시작은 베스타 여사제 [[아퀼리아 세베라]]가 엘라가발루스에게 납치된 뒤 순결을 잃고 강제 결혼을 한 사건부터였다. 이때 엘라가발루스에게 항의한 아퀼리아 세베라의 아버지 퀸투스 아퀼리우스 사비누스를 엘라가발루스는 죽이라고 명령했다. 그런데 코마존은 부하들에게 명령을 내려, 엘라가발루스의 에메사, 중동 사투리가 심한 그리스어를 알아듣지 못한 척하고 아퀼리우스 사비누스를 정중히 이탈리아 밖으로 도피시킨 다음 추방했다고 거짓보고를 올렸다. 이어 그는 율리아 마이사 등을 압박해 이를 경고하고, 사건을 마무리지었다. 따라서 율리아 마이사는 이 사건 이후 코마존의 행동을 보고, 외손자 엘라가발루스 갱생을 사실상 포기하고 그의 뜻에 따라 손자 제거를 다짐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코마존은 이후 율리아 마이사와 함께, [[율리아 마마이아]]의 둘째 아들 [[알렉산데르 세베루스]]를 옹립할 기획을 세웠다. 그러면서 그는 안티오키아 출신의 장군으로 서방, 동방, 남부 로마군 모두에게 덕장, 용장으로 존경과 사랑을 받던 플라비우스 안티오키아누스 장군의 집정관 추천과 그의 동료 근위대장 취임도 은밀히 손을 썼다. 하지만 엘라가발루스는 매우 인기 없는 황제였고, 할머니에게 속아 양자로 입양하고 카이사르 직위를 내린 알렉산데르를 죽이려고 했다. 이때 엘라가발루스는 코마존을 부하 취급하면서, 알렉산데르를 죽이라고 독촉했다. 따라서 코마존은 안티오키아누스와 함께, 엘라가발루스와 그 어머니 율리아 소아이미아스를 더 이상 못 봐주겠다고 뜻을 굳혔다. 그는 안티오키아누스와 함께, 프라이토리아니에게 이 사실을 솔직히 털어놓았고, 이 사건은 222년 3월 11일 프라이토리아니와 엘라가발루스, 율리아 소아이미아스 그리고 알렉산데르의 3자 대면으로 이어졌다. 그러자 그는 이를 주선하면서 판을 짜고, 엘라가발루스 정권 붕괴를 유도했다. 따라서 엘라가발루스, 율리아 소아이미아스는 살해됐는데, 이때 코마존은 사건이 터지자마자 프라이토리아니를 이끌면서 이 사건을 주도하면서도 원로원에게 "임기가 끝났기 때문에 은퇴하겠다."고 뜻을 밝힌 다음, 시골로 떠났다. 아울러 그는 은퇴를 하면서 자신의 모든 권력을 활용해, 엘라가발루스 실정에 어떤 책임도 없던 안티오키아누스가 울피아누스에게 살해되는 것을 방치했다. 그래서 이 사건은 228년 [[울피아누스]]가 프라이토리아니에게 증오 끝에 암살된 사건의 원인 중 하나를 제공했으며, 세베루스 왕조가 235년 무너질 때까지 군대의 신뢰를 완전히 얻지 못한 결정타가 됐다. 은퇴한 222년 이후 언제 사망했는지는 모르나, 어떤 처벌도 받지 않고 여생을 마친 뒤 자연사했다고 알려져 있다. [[분류:로마 제국 집정관]][[분류:몰년 미상]][[분류:3세기 집정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