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기원전 1세기 집정관]][[분류:로마 제국 집정관]][[분류:로마 출신 인물]] [include(틀:역대 로마 집정관/기원전 1세기)] |||| {{{+3 '''푸블리우스 실리우스 네르바''' }}}[br]{{{-1 [[라틴어]]: Publius Silius Nerva}}} || || '''생몰년도''' ||미상 ~ 미상 || || '''출생지''' ||[[로마 공화국]] 로마 || || '''사망지''' ||[[로마 제국]] 로마 || || '''지위''' ||[[파트리키]] || || '''국가''' ||[[로마 공화국]] → [[로마 제국]] || || '''가족''' ||푸블리우스 실리우스(아버지)[br]코포니아(아내)[br]푸블리우스 실리우스(장남)[br]아울루스 리키니우스 네르바 실리아누스(차남)[br]가이우스 실리우스(삼남) || || '''직업''' ||[[로마 제국]] [[집정관]] || |||| '''로마 제국 집정관''' || || '''임기''' || 기원전 20년 || || '''전임''' || [[마르쿠스 롤리우스]][br][[퀸투스 아이밀리우스 레피두스]] || || '''동기''' || [[마르쿠스 아풀레이우스]] || || '''후임''' || [[가이우스 센티우스 사투르니누스(기원전 19년 집정관)|가이우스 센티우스 사투르니누스]] || [목차] [clearfix] == 개요 == [[로마 공화국]] [[집정관]]. == 생애 == 기원전 56년 [[법무관]], 기원전 51~50년 비티니아 총독을 역임한 푸블리우스 실리우스의 아들이다. [[옥타비아누스]]가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양자로 발탁된 이래 그의 여전을 함께한 충직한 장군이었으며, 옥타비아누스가 최종적으로 로마 제일의 권력자가 된 뒤 [[아우구스투스]] 칭호를 받은 후 그동안의 공헌을 인정받아 [[파트리키]]로 지명되었다. 기원전 20년 [[마르쿠스 아풀레이우스]]와 함께 집정관에 선임되었다. 기원전 19년 히스파니아 타라코텐시스 속주에 [[레가투스(로마)|레가투스]]로 부임해 기원전 17년까지 통치했다. 이후 일리리쿰의 레가투스로 부임하여 기원전 16년까지 통치했다. 이후의 행적은 전해지지 않는다. 기원전 49년 법무관을 역임한 가이우스 코포니우스의 딸 코포니아와 결혼해 세 자녀를 두었다. 장남 푸블리우스 실리우스는 서기 3년 집정관을 역임했고, 아울루스 리키니우스 네르바 실리아누스는 리키니우스 가문으로 입양된 뒤 7년에 집정관으로 선임되었다. 세번째 아들 가이우스 실리우스는 13년 집정관을 역임했지만, 24년 [[대 아그리피나]]와 친분이 두텁다는 이유로 [[세야누스]]에게 고발당하고 당해 집정관 루키우스 비셀리우스 바로에게 갈리아 반군을 묵인하고 사크로비우스의 음모를 숨긴 혐의로 비난당하자 최종 판결이 내려지기 전에 자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