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장시성의 지급시]][[분류:중국의 도시]] [include(틀:다른 뜻1,other1=푸젠성의 성도 푸저우(福州), rd1=푸저우시)] [include(틀:장시성의 행정구역)] ||<-3> [[파일:중국 국기.svg|height=20]] {{{#000,#ddd '''[[중국|{{{#000,#ddd 중화인민공화국}}}]] [[장시성|{{{#000,#ddd 장시성}}}]]의 [[지급시|{{{#000,#ddd 지급시}}}]]'''}}} || ||<-3> {{{#ff0 '''{{{+1 [ruby(抚州, ruby=Fǔzhōu)][ruby(市, ruby=Shì)] | [ruby(抚州, ruby=Fu3ziu1)][ruby(市, ruby=Si5)]}}}'''[br]푸저우시 | Fuzhou City}}} || ||<-3> [include(틀:지도, 장소=抚州市, 너비=100%, 높이=100%)] || ||<-2> '''{{{#ffff00 시정부 소재지}}}''' || [[장시성]] 푸저우시 린촨구[br]간둥다다오 시정부청사[br]江西省抚州市临川区赣东大道市政大楼 || ||<-2> '''{{{#ffff00 지역}}}''' || [[화둥]] || ||<-2> '''{{{#ffff00 면적}}}''' || 18,811.12km² || ||<-2> '''{{{#ffff00 하위 행정구역}}}''' || 2구 9현 || ||<-2> '''{{{#ffff00 시간대}}}''' || UTC+8 || ||<-3> '''{{{#ffff00 인문 환경}}}'''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2> '''{{{#ffff00 인구}}}''' || 3,614,866명 ^^(2020)^^ || ||<-2> '''{{{#ffff00 인구밀도}}}''' || 192명/km² || ||<-2> '''{{{#ffff00 서기}}}''' || 샤원융(夏文勇) || ||<-2> '''{{{#ffff00 시장}}}''' || 가오스원(高世文) || ||<|2> '''{{{#ffff00 GRDP}}}''' || '''{{{#ffff00 전체}}}''' || $266억 4,392만 ^^(2020)^^ || || '''{{{#ffff00 1인당}}}''' || $7,371 ^^(2020)^^ || ||<|2> '''{{{#ffff00 상징}}}''' || '''{{{#ffff00 시화}}}''' || [[연꽃]] || || '''{{{#ffff00 시목}}}''' || [[녹나무]] || ||<-2> '''{{{#ffff00 차량번호}}}''' || '''赣F''' || ||<-2> '''{{{#ffff00 행정구역 약칭}}}''' || '''抚''' || ||<-2> '''{{{#ffff00 행정구역코드}}}''' || '''36'''1000 || ||<-2> '''{{{#ffff00 지역전화번호}}}''' || '''794''' || ||<-2> '''{{{#ffff00 우편번호}}}''' || '''344000''' || ||<-2> '''[[ISO 3166-2|{{{#ffff00 ISO 3166-2}}}]]''' || '''CN-JX-10''' ||}}}}}}}}} || ||<-3> [[http://www.jxfz.gov.cn/|홈페이지]] || [[파일:중국 푸저우 2.jpg|width=450]]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장시성]] 동부의 지급시. [[난창]]에서 동남쪽으로 60km 떨어진 평지에 위치한다. 관할 인구 400만명 중 도시 자체에는 110만이 거주한다. 시가지는 푸양호로 흘러드는 러수이강(汝水)과 푸허 (抚河)가 만나는 합수구에 위치한다. 옛 지명은 임천(臨川)이며, 장시에서 푸젠, 저장성으로 향하는 교통로 상에 위치한 요충지이다. [[북송]] 시기의 재상 [[왕안석]]과 명대의 극작가 [[탕현조]]의 고향으로, 그들의 기념관이 위치한다. 농업과 식품, 방직 산업이 발달하였다. == 교통 == 난창-[[싼밍]]간 고속철이 지난다. 공항은 없다. == 역사 == 현 도시에서 동남쪽으로 40km 떨어진 난청현은 [[전한]] 대부터 예장군 남성현 (南城縣)이었다. 그러다 [[후한]] 대인 서기 96년 현 시가지에 임려현 (臨汝縣)이 설치되었고, [[손오]] 시기인 257년에 신설된 임천군 (臨川郡)의 치소가 되었다. 임천군의 영역은 현 푸저우 지급시와 거의 일치한다. [[수나라]]의 통일 후 무주 (撫州)가 설치되어 현 지명의 유래가 되었다. 한편 임려현은 기존 군의 이름을 빌어 임천현 (臨川縣)으로 개칭되었다. 수당교체기에는 [[임사홍(당나라)|임사홍]]의 근거지였으나 622년 [[당나라]]에 토벌되었고, 강남서도 무주 혹은 임천군에 편성되었다. 송대에는 군구인 건창군에 속하였고, 신법당의 [[왕안석]]과 주자의 논적이던 육구연 등이 이곳에서 태어났다. [[원나라]] 대에는 무주로 (抚州路)에 이어 건창로가 설치되었다. 1363년 [[파양호 대전]] 후 [[주원장]]은 임천부 (临川府)를 두었다가 곧 무주부 (抚州府)로 바꾸었다. 청대에도 무주부 혹은 건창부로 불렸고, 남무건도 (南抚建道)에 속하였다. 20세기 들어 일대는 난창의 일부가 되어 소외되었다. 그러다 1949년 푸저우 분구와 린촨시가 설립되었고, 1967년 푸저우 지구를 거쳐 2000년에 지급시로 승격되었다. 기존 린촨시는 린촨구로 개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