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푸조|[[파일:1975 푸조 로고.jpg|width=15%]]]]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Peugeot_405.jpg|width=100%]]}}} || || {{{#fff '''405'''}}} || [목차] '''Peugeot 405''' == 개요 == [[파일:IMG_0553.jpg|width=100%]] [[피닌파리나]]가 디자인하고 다양한 파워트레인을 탑재한 우수한 상품성으로 가장 많이 팔리고 1987년 출시되어 가장 오래 생산된 [[푸조]]의 대표적인 [[중형차]].[* 글로벌 시장에서는 1997년에 단종되었으나, [[이란]]에서는 [[이란 코드로]]에서 2022년까지, 페이스리프트까지 감행해서 현재까지도 현지 생산 중이다.] 소형차를 선호하고 중형차급 이상이 상대적으로 부진한 유럽 시장의 특성상, 8-90년대 푸조의 사실상의 [[기함]]급으로 좋은 평가를 받으며 활약하였다. 1991년 동부산업에 의해 한국에도 수입되었으며 상당한 판매량을 기록하였다.[* 주력 트림은 SRi였으며, 고성능 버전인 Mi 16 역시 수입해 판매했다.] [[1988년]]에 역대 최다 득표차 및 최다득표라는 기록을 세우며 [[유럽 올해의 차]]에 선정되었고 일본의 COY를 석권하기도 하였다. 푸조의 북미시장 철수 직전에 마지막으로 판매된 차량이기도 하다. == 역사 == ||[[파일:1989 푸조 405 S.jpg|width=100%]]||[[파일:1994 푸조 405 GLDT.jpg|width=100%]]|| || 1989년식 405 S 세단 || 1994년식 405 GLDT 브레이크 || ||[[파일:1988 푸조 405 SRi.jpg|width=100%]]||[[파일:1991 푸조 405 Mi16.jpg|width=100%]]|| || 1988년식 405 SRi 세단 || 1991년식 405 Mi 16 || === 파생형 === || [[파일:푸조 405 쿠페 프로토타입.jpg|width=100%]] || || 405 쿠페의 프로토타입 || 북미시장용으로 405 쿠페를 개발하여 판매할 계획이었으나 양산 직전에 출시가 무산되어 프로토타입으로만 남게 되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푸조의 차량)] [include(틀:유럽 올해의 차/1980년대)] [[분류:푸조/생산차량]][[분류:1987년 출시]][[분류:1997년 단종]][[분류:중형 세단]][[분류:중형 왜건]][[분류:올해의 차/유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