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우인단)]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83240, #E0116F)" '''{{{+1 {{{#FFFFFF 풀치넬라}}}}}}'''[br] {{{#FFFFFF Pulcinella}}}}}}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풀치넬라a.jpg|width=10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83240, #E0116F)" '''{{{#FFFFFF 프로필}}}'''}}} || || '''{{{#FFFFFF 본명}}}''' ||불명 || || '''{{{#FFFFFF 이명}}}''' ||'''수탉''' || || '''{{{#FFFFFF 성별}}}''' ||남성 || || '''{{{#FFFFFF 소속}}}''' ||[[스네즈나야]] → [include(틀:우인단 소속)] [[우인단]] || || '''{{{#FFFFFF 직위}}}''' ||우인단 집행관 서열 5위[br][[스네즈나야]]의 시장 || || '''{{{#FFFFFF 원소}}}''' ||[include(틀:신의 눈 얼음)] 얼음[* 발자취 PV에서 묘사를 보면 얼음 속성 능력을 가졌으나 신의 눈인지 사안인지 불명] || || '''{{{#FFFFFF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Pulcinella[br] [[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ruby(普契涅拉, ruby=Pǔqìnièlā)][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プルチネッラ || || '''{{{#FFFFFF 성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강구한]][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쵸]][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왕샤오빙[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데이브 B 미첼]]|| [목차] [clearfix] == 개요 == [[원신]]의 등장인물. [[우인단]] 집행관이며 서열은 5위이다.  [[스네즈나야]] 출신이자 시장이며, 소년기 시절의 [[타르탈리아]]가 혼자서 우인단원들을 박살내는 모습을 목격하고는 그가 가진 굉장한 재능에 주목하여 타르탈리아를 우인단에 입단시켰다. 코드 네임은 '수탉([ruby(公鸡, ruby=Gōngjī)] / [ruby(雄鶏, ruby=おんどり)] / The Rooster / Петух)'. == 작중 행적 == ||<-2>
{{{#ffffff,#dddddd '''스토리 진행 순서'''[br]{{{-4 ( 모험 등급, 개방 전제 조건, 실장 시기를 바탕으로 임무를 시계열순으로 작성.)}}}}}} || || '''임무명''' || '''비고''' || || [[풀치넬라#s-2.1|한겨울 밤의 광대극]] || || || [[#연옥불의 장 제1막 - 난롯불이 꺼지는 순간|난롯불이 꺼지는 순간]] || [* 모험 등급 40 이상, 마신 임무 제4장・제5막 「죄인의 원무곡」 클리어.] || === 티바트편 막간 PV - 「한겨울 밤의 광대극」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MgcKHysZ_Dc)]}}} || || '''{{{-1 티바트편 막간 PV - 「한겨울 밤의 광대극」}}}''' || || {{{#!wiki style="margin:0 -10px" {{{-1 {{{#!folding 기타 언어 버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iki style="margin:0px; min-width: 8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일본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34jc0Y4bzT0)]}}} ||}}}}}}}}} {{{#!wiki style="margin:0px; min-width: 8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중국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j9fzP0Qn4hw)]}}} ||}}}}}}}}} {{{#!wiki style="margin:0px; min-width: 8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영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TmaAOV4SJNQ)]}}}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풀치넬라_01.jpg|width=100%]]}}} || >'''우린 동료를 기리기 위해 오늘 이 자리에 모였소.''' >'''스네즈나야는 [[시뇨라|그녀]]의 희생을 위해 반나절 동안 모든 걸 멈추고 애도해야 할 것이오.''' 티바트편 막간 PV '한겨울 밤의 광대극'에서 [[시뇨라]]의 장례식에 참석한 다른 우인단 집행관들과 함께 등장, 그녀를 기리고자 온 [[스네즈나야]]는 반나절간 모든 것을 멈추고 묵념의 시간을 가져야 한다며 시뇨라를 애도하나, [[판탈로네(원신)|판탈로네]]로부터 고작 반나절 동안 밖에 추도하지 않느냐는 비아냥을 들었고, 이후 [[아를레키노(원신)|아를레키노]]에게는 핑계나 대며 국내에서만 서성이는 정치인에게 그녀의 희생을 공감해 줄 자격은 없다는 뉘앙스의 비난을 들어야했다.[* 다만 카피타노도 "비록 명예를 더럽혔지만, 로헤팔터의 희생은 여전히 안타까워. 그녀의 죽음은 우리를 멈출 수 없어."라는 발언으로 미루어 보았을 때 풀치넬라의 발언은 비록 자신들의 동료의 비극적인 죽음을 애도하기는 하지만, 그러면서도 한편으로는 그들 입장에서는 추진해야 할 계획들이 있기에 내내 애도하는 데만 시간을 쏟을 수는 없다는 의미로도 추측해 볼 수 있다. 실제로 우인단 집행관의 수장인 [[피에로(원신)|피에로]]도 우인단들이 시뇨라의 추모식에 집합한 상태에서 "대국에서 버리는 패란 없어."라는 말을 통하여, 여왕의 뜻에 따라 그들의 계획을 진행시키려는 뉘앙스로 말한 것을 보아 그들은 자신들이 추구하는 대의를 보다 중시하여 과거 동료의 죽음이라는 사적인 감정에 얽매이지 않는다는 의미로도 볼 수 있다.] === 전설 임무 === ==== [[아를레키노(원신)|연옥불의 장]] 제1막 - 난롯불이 꺼지는 순간 ==== [[타르탈리아]]와 아를레키노의 대화에서 언급된다. [[판탈로네]]와 함께 「한겨울 계획」이라는 계획을 추진중인 듯 하며, 여기에 타르탈리아는 물론이며 아를레키노와 벽난로의 집도 가세하게 될 예정이라 한다. == 능력 / 강함 == 작은 체구와 풋풋한 인상을 가진 노인의 외견이지만, 실력으로 서열이 매겨진다는 11 집행관에서 상위 서열인 5위를 차지하고 있다. 과거 서열 6위였던 스카라무슈보다 더 강력한데다가, 직접 등용했다는 11위 타르탈리아와는 상당한 격차를 갖고 있다. 또한 뾰족귀와 같이 특이한 신체적 특징들을 보아 인외격의 이종족 출신이라는 추측도 꽤 받고 있는 편. 자세한 내막은 드러나지 않았지만 PV에 나온 스네즈나야 스토리의 중심 인물이라고 추정되는 만큼 차후 그 설정에 걸맞는 실력과 연출이 나올 수 있다. 우인단의 집행관직과 동시에 스네즈나야의 시장을 맡고 있는 인물로서 순수 무력뿐만 아니라 지략이나 정치적인 손익계산에도 유능하다고 평가받고 있다. 층암거연의 우인단원들이나 같은 집행관인 아를레키노에 의하면, "[[공리주의|작은 희생으로 더 큰 이윤을 창출]]"하는 이성을 갖고 있다고 한다. 이를 통한 수완이 탁월하기 때문인지 스네즈나야의 정계에서 상당한 호평을 받고 있는 한편, 그 작은 희생을 감수하는 일각에서는 그의 행보를 탐탁치 않게 보고 있다.[* 벽난로의 집의 아를레키노가 대표적이다. 간헐적으로 고아원이 피해를 입는 대신에 상당한 이익을 취하는 풀치넬라의 방식을 꺼리며, 그녀의 대사집에서는 조만간 그와의 앙금을 풀겠다는 듯한 언급이 있다.] == 언어별 표기 ==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한국어 || 풀치넬라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영어 || Pulcinella ||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출력= )] 중국어 || [ruby(普契涅拉, ruby=Pǔqìnièlā)][*간체자] [ruby(普契涅拉, ruby=Pǔqìnièlā)][*번체자]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일본어 || プルチネッラ || ||[include(틀:국기, 국명=독일, 출력= )] 독일어 || Pulcinella || ||[include(틀:국기, 국명=프랑스, 출력= )] 프랑스어 || Pulcinella || ||[include(틀:국기, 국명=포르투갈, 출력= )] 포르투갈어 || Pulcinella || ||[include(틀:국기, 국명=스페인, 출력= )] 스페인어 || Pulcinella ||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출력= )] 러시아어 || Пульчинелла || ||[include(틀:국기, 국명=인도네시아, 출력= )] 인도네시아어 || Pulcinella || ||[include(틀:국기, 국명=태국, 출력= )] 태국어 || Pulcinella || ||[include(틀:국기, 국명=베트남, 출력= )] 베트남어 || Pulcinella || == 여담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스네즈나야의 풀치넬라.png|width=100%]]}}} || * 메인 스토리 PV에 등장하는 캐릭터들이 전부 해당 지역 스토리의 메인 캐릭터인 것으로 볼 때, 향후 스네즈나야 메인 스토리의 주요 등장인물로 나올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지금껏 스토리 PV에 등장한 캐릭터들은 모두 여행자를 도와 문제를 해결하는 조력자 겸 아군 포지션이였는데[* [[다이루크]], [[응광]], [[카미사토 아야카]], [[사이노]], [[리니(원신)|리니]], [[리넷]].] 여행자와 대립하는 적대 관계에 있는 우인단의 집행관인 풀치넬라 또한 동료로 나올지 많은 유저들의 관심이 쏠리는 중이다.[* 같은 집행관 캐릭터인 [[타르탈리아]] 역시 사건 해결에 도움을 준 조력자 포지션이긴 하나 완전한 아군으로 보기는 힘들다. 하지만 이후 폰타인에서 벽난로의 집과 큰 갈등 없이 오히려 서로를 돕는 모습을 자주 보였고, 리니와 리넷의 변호를 돕는등 큰 기여를 했기에 신뢰할 수 있다고 판단할 가능성이 늘기는 했다. 폰타인에서는 타르탈리아도 대놓고 거리낌없이 주인공에게 신의 눈을 맡길 정도였으니, 집행관들 사이에서는 싸우기는 꺼려지지만 아군으로 둘 가능성과 가치는 있다고 판단할지도.] 특히 타르탈리아가 긍정적으로 보는 몇 안되는 집행관이라는 점[* 생판 남인 타르탈리아의 재능을 보고 우인단에 입대시켜 아낌없는 지원을 해주었고 타르탈리아가 해외 파견을 갔을 때 대신 가족들을 돌봐 주었다고 한다.] 때문에 우인단이지만 근본적으로 심성은 선한 인물일 것이라는 추측도 있지만 [[위악]]을 하는 악인이라는 추측도 이다. 다만 PV에서 세부적인 디자인이 공개된 이후 외모와 체형 때문에 조력자로는 나와도 플레이어블은 무리같다는 의견이 많다. 비주얼부터가 주 유저층에게 수요가 적은 수수한 단신 노인 모습인 데다가, 지금까지의 남성 플레이어블 캐릭터에는 없는 키가 작은 체형이기 때문. 플레이어블 캐릭터 모델링 우려먹기로 악명 높은 원신에서 신규 체형을 추가할 가능성은 낮다고 여겨진다. 아예 여자 꼬맹이 체형을 그대로 넣어버리고 다다다 달리기를 할 거라는 드립도 있다. [[https://arca.live/b/genshin/54199063|#]] * 눈에 띄는 외형으로는 기다란 코와 귀가 있는데, [[앨리스(원신)|앨리스]]나 [[클레]]와 같은 엘프로 추측되고 있다. 단 뾰족한 귀를 가진 생명체가 엘프만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다른 종족일 확률도 있으며[* 풀치넬라의 귀는 클레와 달리 귓바퀴가 정면을 향해있다는 차이점이 있다.], 키와 특이한 코 때문에 고블린이나 드워프 같은 종족일 수도 있다. * 층암거연에 등장하는 대원 '안톤'의 언급에 의하면 더욱 의미있는 모험을 지원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가치가 낮은 자산을 포기하는 이성을 가진 사람이라고 한다. * 2.8 버전 이후에 추가된 타르탈리아의 대사에 따르면 그를 가족처럼 대하고 타르탈리아가 스네즈나야를 떠나있는 동안 그의 가족을 보살펴주고 있다고 한다. 현재 유일한 플레이어블 집행관인 타르탈리아가 긍정적으로 보는 몇 안되는, 아니 사실상 유일한 인물이다.[* 실제로 아를레키노 전설 임무에서도 타르탈리아는 풀치넬라를 [[영감]]이라는 상당히 격의 없는 호칭으로 칭한다. 타르탈리아의 성격을 생각하면 당사자 앞이라고 호칭을 바꿀 것 가진 않으니 그만큼 격의 없는 사이라는 반증인 셈.] 카피타노에 대해도 나름 긍정적인 평가를 해주긴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그의 강한 무력을 칭찬했을 뿐, 인품 자체를 긍정적으로 평가한 건 풀치넬라가 유일하다. 그러나 전 집행관 6위였던 방랑자는 풀치넬라가 진심으로 대가 없이 가족을 돌보고 있다 생각하는 건 타르탈리아뿐이며, 오히려 가족이 인질로 잡힌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못한다고 말한다. * 한겨울 밤의 광대극 PV에서 나온 모습은 노인의 모습이고, 메인 스토리 PV에 등장하는 캐릭터들 중에서 유일한 노인 캐릭터다. 판탈로네의 언급에 따르면 [[시장(공무원)|시장]]이라고 하는데 스네즈나야의 수도를 관할하는 시장으로 보인다.[* 일반적인 시장의 권위를 가지고 있다고 보기에는 어려운 것이 사실상 원신의 국가들은 자연의 범위가 넓고 도시 문명 환경은 좁은 도시 국가 형태여서 얼음 여왕을 대통령이라 비유하면 시장인 풀치넬라는 국무총리급의 위상을 가지고 있을 수도 있다.] * 4.0 버전 기준으로 아직 어느 나라 출신인지는 나오지 않았으나, 스네즈나야 출신일 것이라는 추측이 있다. 스네즈나야의 장에서 주요 캐릭터로 등장했다는 것이 근거 중 하나. 상식적으로 생각해보면, 타 국가 출신이 정치적으로 높은 자리인 시장까지 올라가는건 힘들기도 하고, 타르탈리아의 가족들을 대신 보살피기도 힘들것이다. * 난쟁이 모습을 한 노인이지만 우인단 서열 5위라는 점을 보아 그 역시 보통 실력이 아님을 짐작할 수 있다. 우인단 집행관의 서열이 실력순임이 밝혀진 이상 최소 [[시뇨라]]와 [[타르탈리아]]보다 몇 수 위의 [[스카라무슈]]보다도 뛰어난 전투력을 지닌 것으로 추정된다. == 관련 문서 == * [[여왕(원신)]] * [[우인단]] == 둘러보기 == [Include(틀:원신)] [[분류:우인단]]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우인단/집행관, version=165, paragraph=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