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파일:attachment/friday.jpg]] [[로버트 A. 하인라인]]의 [[SF]] [[소설]]. 1982년 출간되었고 [[네뷸러상]]과 [[휴고상]] 후보작. [[클래스]]는 영원하다는 것을 보여준 작품. == 주인공 == 제목은 [[인조인간]] '''[[여자]]''' 주인공 이름이다. 인간들로부터 강력한 편견의 시선을 거듭 겪고 있으며, 별로 신경 안쓰는 것 처럼 보이지만 그래도 신경쓰고 있다. 미국이 조각조각 쪼개져서 싸우는 와중에서 전 우주적으로 비밀입무를 수행하기 위해 돌아다니는 여자 [[007]]이지만, 그래도 인간관계를 매우 중시한다. 재미있는 점은, 이전 작에서 긍정적으로 묘사한 다부다처제 시스템([[달은 무자비한 밤의 여왕]]에 등장하는)을 소설 속에서 뒤집어 깐다. 결국 조직이나 시스템의 운명은 그걸 운영하는 사람들에게 달려 있다는 이야기. 주인공은 [[필립 K. 딕]]의 [[안드로이드는 전기양을 꿈꾸는가?]](1968)의 [[리플리컨트]]와는 다른 방식으로 자기 자신을 받아들이고 성장해 나간다. 그리고 [[고양이]]가 나온다[* "고양이를 버리는 자에게는 가장 차갑고 깊은 지옥이 준비되어 있다"]! 그리고 이 책을 완결된 소설이 아닌, 하인라인의 [[미래사 시리즈]]에 꽂아넣는 해석도 있다. 달은 무자비한 밤의 여왕에 나오는 주인공 마누엘의 조상 중 한명이 보타니 베이로 가는 유형선을 탔다고 자랑하는데, 보타니 베이는 이 작품에서도 나오는 건 물론 유형 식민지이기까지 해서 그렇다. 그리고 프라이데이의 임무는 [[윌리엄 깁슨]][* 엔하위키에 작성된 이 작가 관련 항목으로 장르 [[사이버펑크]], 대표작 [[뉴로맨서]]가 있다.]의 자니 니모닉(Johnny Mnemonic, 1981)[* 1995년 [[키아누 리브스]], [[기타노 다케시]] 주연의 영화로 만들어졌으며 한국에서는 코드명 J라는 제목으로 소개되었다.]과 같지만 자니와는 수준이 다르게 섹시하고 강하다. 참고로 [[http://www.isfdb.org/cgi-bin/titlecovers.cgi?1899|원판 표지]]는 프라이데이의 일러스트가 그려져 있는데 순수한 서구 백인이 아닌 동양인 느낌이 난다. 이는 의도된 것으로 다양한 인종의 장점만을 모아 프라이데이를 만들 때 [[한국인]]의 유전자도 들어갔기 때문이다. 일종의 프리퀄이 있다. "Gulf"라는 중편으로, 국내에는 아이디어회관 문고에서 "초인부대"란 제목으로 일본의 아동용 축약판을 중역해 소개했다.[* 읽어보면 알겠지만 어린이가 읽을만한 작품이 아니다. 악당들이 주인공을 붙잡아 심문하다가 입을 열지 않자, 주인공과 면식이 있던 여성을 데려다가 실컷 고문한 후 주인공 눈앞에서 양손을 기계에 넣어 짓이겨 죽여버리는 장면이 있다. 일본판은 아동용이라는데도 이 장면이 그대로 나온다...] 이 작품의 남녀 주인공이 프라이데이의 생물학적 부모에 해당한다. 또한 프라이데이가 그토록 좋아하는 대장님 역시 출연.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프라이데이, version=51)] [[분류:미국 SF 소설]][[분류:로버트 A. 하인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