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도미네이션즈/전술성 병력(지상)/이벤트]] [include(틀:관련 문서, top1=도미네이션즈/전술성 병력(지상(이벤트)))] [include(틀:도미네이션즈/전술성 병력(지상(이벤트)))] [목차] == 개요 == ''French Arbalestier'' >이 병력들은 보통의 궁수에 비해 증가된 공격 범위, 데미지, HP를 보유합니다. 다시 로딩하는 시간이 꽤 걸리지만 매번 발사 할 때마다 적군 방어병에 놀라운 데미지를 입히기 때문에 기다릴 가치는 있습니다. >These troops have increased range, damage, and health compared to normal archers. Their long reload times are well worth the wait, as each bolt deals incredible damage against enemy defenders. == 상세 == || 레벨 || HP || || 1 || ? || || 2 || ? || || 3 || ? || || 4 || ? || || 5 || ? || || 6 || ? || || 7 || ? || || 8 || ? || || 9 || ? || || 10 || ? || || 11 || ? || ||강점 ||수비병 공격 시 4배 데미지 || ||약점 ||낮은 이동 속도, 기병에 취약 || ||주요 목표물 ||적 보병대 || ||공격 범위 ||5 || ||부대 공간 ||5 || ||성벽 너머 공격 ||O || ||스플래시 데미지 ||X || == 부스트 == [include(틀:도미네이션즈 고정상자 틀 전술성 병력 국가 부스트)] == 추가 정보 == >프랑스 중세 시대에 석궁은 병사, 용병, 평민 사이에 꽤 흔했습니다. 이후 석궁의 '중장갑' 모델은 더 커졌고, 강철로 된 프로드를 사용해 발사력이 증가했습니다. 프랑스인들은 이러한 종류의 석궁을 아버리스트라고 불렀으며, 이 말은 활과 발리스타를 뜻하는 로마어에서 유래했습니다. 이 석궁은 종종 화살을 준비하기 위해 특별히 제작된 기기를 필요로 했습니다. 잘 훈련된 석궁 사수라도 1분에 2개의 화살만 쏠 수 있었습니다. 이들은 재장전하는 동안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 땅에 큰 방패를 세워 놓고는 했습니다. > >동일한 기술을 보유한 사수에게 수 십년의 훈련이 필요했던 것에 비하면 보병 부대는 몇 주 안에 능숙한 석궁 사수가 될 수 있었습니다. 기사의 판금 및 쇠사슬 갑옷을 멀리에서도 관통할 수 있는 힘 때문에 기사와 귀족은 중장갑 석궁을 혐오하면서도 두려워했습니다. 사의 판금 및 쇠사슬 갑옷을 멀리에서도 관통할 수 있는 힘 때문에 기사와 귀족은 중장갑 성궁을 혐오하면서도 두려워했습니다. >During the French Medieval period, crossbows were fairly common among soldiers, mercenaries, and commoners. Later “heavy” models of the crossbow were larger and used steel prods which allowed for much greater firing force. The French called these kinds of crossbow Arbalests, a term that comes from the Roman words for bow and ballista. These crossbows would often require specially made devices to ready their bolts. A well-trained crossbowman would only be able to fire two bolts per minute. To protect themselves while reloading, they would plant a large shield in the ground for cover. > >An army of infantry could become fully skilled crossbowmen in a matter of weeks compared to the decades of training required for an equally skilled bowman. This, coupled with the power to pierce a knight’s plate and chain armor from a large distance, made knights and nobles view heavy crossbows with both disgust and fear. == 기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