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도미네이션즈/전술성 병력(지상)/이벤트]] [include(틀:관련 문서, top1=도미네이션즈/전술성 병력(지상(이벤트)))] [include(틀:도미네이션즈/전술성 병력(지상(이벤트)))] [목차] == 개요 == ''French Crossbowmen'' >프랑스 크로스보우 사수는 대부분의 궁수보다 더 좋은 장비를 갖고 있습니다. 이들의 무기는 재장전이 필요하기는 하나, 적에게 가하는 거대한 공격을 감안하면 장전 시간을 기다릴 가치가 있습니다! >These French Crossbowmen are more well equipped than most archers. Their weapons have to be reloaded, but enemies will face a tremendous assault that makes the wait worth it! == 상세 == || 레벨 || HP || || 1 || ? || || 2 || ? || || 3 || ? || || 4 || ? || || 5 || ? || || 6 || ? || || 7 || ? || || 8 || ? || || 9 || ? || || 10 || ? || || 11 || ? || ||강점||수비병 공격 시 4배 데미지|| ||약점||낮은 이동 속도, 기병에 취약|| ||주요 목표물||적 보병대|| ||공격 범위||5|| ||부대 공간||5|| ||성벽 너머 공격 ||O || ||스플래시 데미지 ||X || == 부스트 == [include(틀:도미네이션즈 고정상자 틀 전술성 병력 국가 부스트)] == 추가 정보 == >결국 크로스보우와 롱보우 모두를 대체한 화약 무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크로스보우가 전쟁터에서 롱보우보다 반드시 더 효과적인 것은 아니었습니다. 비 때문에 수 천명의 제노바 크로스보우 용병이 쓸모 없게 된 크레시 전투에서 프랑스인들은 이 점을 발견했습니다. 반면 영국의 롱보우 사수는 활을 빠르게 놓고 당기며 날씨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었습니다. 중세 시대 후반까지 롱보우는 먼 거리로 훨씬 더 빨리 발사될 수 있었습니다. > >크로스보우는 무기로서 관통력이 좋은 이점이 있었습니다. 프랑스인들은 크로스보우를 말 위에서도 사용했습니다. 하지만 총의 경우처럼 가장 큰 이점은 사용하기 용이하다는 것이었습니다. 롱보우사수의 경우 어릴 때부터의 전문 교육이 필요했습니다. 반면 크로스보우는 누구나 빨리 배울 수 있었습니다. 이 때문에 잘 훈련된 기사의 우수성으로 세계 질서가 정해진다는 생각을 지녔던 상류층은 겁을 먹었습니다. 이 때문에 카톨릭 교회는 카톨릭 신자 간 전쟁에서의 크로스보우를 사용을 금지했습니다. 하지만 편의성 때문에 현실에서는 이러한 금지령이 무시되었습니다. >Like the gunpowder weapons that would eventually supersede them both, crossbows were not necessarily more effective on the battlefield than longbows. The French discovered this at the Battle of Crécy when rain rendered their thousands of Genoese crossbow mercenaries useless. The English longbowmen, on the other hand, could rapidly unstring and restring their bows to protect them from the weather. Longbows could be fired much faster and, until the late Middle Ages, over a greater distance. > >The crossbow did have some advantages as a weapon such as greater penetrating power. The French apparently also employed them from horseback. However, like guns, their biggest advantage was ease of use. Longbowmen required specialized training that started in early youth. On the other hand, anyone could quickly learn to use a crossbow. This horrified the upper classes, whose conception of the world order was founded in part on the superiority of well-bred knights. This led the Catholic Church to ban crossbows in wars between Christians. But they were too useful to pass up, so in practice the ban was simply ignored. == 기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