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프랑스의 대외관계)] [include(틀:카타르의 대외관계)]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100%]] || [[파일:카타르 국기.svg|width=100%]] || || [[프랑스|{{{#ffffff '''프랑스'''}}}]] || [[카타르|{{{#fff '''카타르'''}}}]] || [목차] [clearfix] == 개요 == [[프랑스]]와 [[카타르]]의 관계. 양국은 교류, 협력이 활발한 편이며 카타르는 [[아랍에미리트]]와 함께 [[아라비아 반도]]에서 [[프랑코포니]]회원국이 되었다. == 역사적 관계 == === 20세기 === 카타르는 [[영국]]의 보호령에서 벗어난 뒤, 프랑스와 공식수교했다. 그리고 카타르와 프랑스는 교류와 협력이 활발해지기 시작했다. === 21세기 === 양국은 교류와 협력이 활발한 편이다. 2003년 발발한 [[이라크 전쟁]] 당시 [[프랑스]]에서 [[알자지라]] 방송 보도의 공정성을 높이 샀었다. [[킬리안 음바페]]의 [[파리 생제르맹]] 잔류 배경에는 [[마크롱]] 현 대통령, [[니콜라 사르코지]] 전 대통령 그리고 카타르 당국의 입김도 있었다는 보도가 심심찮게 돌고 있다. 이유는 2022년 카타르 월드컵과 2024년의 파리 올림픽 때문인데, 2개를 유치함으로써 프랑스와 카타르 모두 경제적인 이득은 챙길 수 있음은 물론 두 국가간의 우호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데 만일 음바페가 [[레알 마드리드]]로 자유 이적을 할 경우, 카타르 월드컵과 파리 올림픽을 여는 두 국가의 지원 자체를 무시하는 행동이며 또한 두 국가 간의 경제, 정치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기에 대통령까지 관심을 보이는 것이다. 2022년 9월 24일, 프랑스가 카타르 가스전에 15억 달러를 투자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460560?sid=104|#]] 12월 14일, 마크롱 대통령이 카타르 월드컵 기간에 프랑스 vs 모로코 경기를 관람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6520639?sid=104|#]] [[킬리안 음바페]]가 [[파리 생제르맹 FC]]과의 연장계약을 거부하자, [[나세르 알 켈라이피]]를 포함한 카타르 주관의 파리 생제르맹 관계자들은 이에 분노하여 2군으로 강등시키고 일본/한국 투어 명단에 제외시켰다. 도덕적 학대라는 논란이 일면서 [[프랑스 축구 연맹]]은 이런 파리의 행동에 반발하며 [[https://www.bbc.com/sport/football/66279076|법적 조치를 취하겠다고 한다.]] [[2024 파리 올림픽]]이 있다는 점을 감안해도 프랑스와 카타르 간의 외교관계가 급랭해질 것으로 보인다. == 갈등 == 프랑스에서도 민간 차원에서 카타르의 [[이슬람주의]] 선교에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게다가 프랑스는 기본적으로 [[세속국가]]이고 [[라이시테]] 정책을 추진중이지만, 카타르가 이슬람주의 국가이고 사우디와 함께 이슬람주의를 퍼뜨리고 있다보니 양국간에 갈등이 심한 경우가 많이 있다. 프랑스 내 시민단체들은 이슬람주의 단체들이 카타르와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등으로부터 후원금을 받는 것을 제한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카타르의 경우 사우디아라비아처럼 노골적이지는 않지만 민주주의를 사탄의 창작품이라 주장하는 책이나 [[사이드 쿠틉]]의 저서 등을 프랑스어로 번역 및 온라인 배포를 지원하였었다는[* Kalamullah.com 이라는 사이트를 통해 무료로 웹북 및 PDF 파일을 배포했으나 2014년 다에시 발흥 이후 해당 사이트는 극단주의 서적 배포 문제로 철퇴를 맞고 사라졌다.] 부분에서 비판을 받았다. 영국과 독일의 경우 카타르 정부의 직접 지원을 받는 이슬람 선교사 [[아부 아미나 빌랄 필립스]][* 노골적인 증오발언이나 비무슬림 공격 선동 언행은 하지 않으나, 대신 해당 선교사와 친분이 있는 사람들이 근본주의자가 많은 편이다.]의 내방 및 서적 배포를 정부 차원에서 제한한 것과 다르게 프랑스는 정부 차원에서는 해당 선교사의 활동을 제한하지는 않고 있으며, 해당 선교사의 프랑스어판 선교 가이드북도 아마존 등을 통해 아직 판매거래가 이루어지고 있다.[[https://www.amazon.fr/Islamic-Studies-Ameenah-Bilal-Philips/dp/9960850943|#]] == 대사관 == 양국 모두 대사관을 두고 있다. [[도하]]에는 주 카타르 프랑스 대사관, [[파리(프랑스)|파리시]]에는 주 프랑스 카타르 대사관이 존재한다. == 문화 교류 == 오늘날 카타르에서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인구는 전체 인구의 약 1%에 해당하는 인도계 [[푸두체리]] 출신 이민자가 전부이지만, 카타르의 외교 노력에 힘입어 [[프랑코포니]]에 가입되어 있고 준회원국이다. == 교통 교류 == [[도하 하마드 국제공항]]을 허브로 삼는 [[카타르 항공]]은 프랑스의 [[파리 샤를 드 골 국제공항]]과 한국, 일본, 호주, 인도네시아의 여러 공항들을 잇는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반대로 카타르가 2022년 카타르 월드컵을 제외하고는 그렇게 관광산업이 유명한 동네는 아니다보니 프랑스 항공사들이 하마드 국제공항에 취항하는 경우는 드물다. == 관련 문서 == * [[프랑스/외교]] * [[카타르/외교]] * [[프랑코포니]] * [[프랑스/경제]] * [[카타르/경제]] * [[대국관계일람/유럽 국가/서유럽 국가]]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서아시아 국가]]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카타르/외교, version=68, paragraph=3.2)] [[분류:프랑스의 대국관계]][[분류:카타르의 대국관계]][[분류:프랑코포니]][[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